검색결과 필터

[전체] “선무사” 에 대한 검색결과 2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6)

사전(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양호(楊鎬)를 제향하는 사당이다. 1598년(선조 31) 창건하여 처음에는 형개의 위패만을 봉안하였다가 1604년 양호를 추배하였으며, 1760년(영조 36) 마당에 별도의 전각을 마련하여 전에 민충단(愍忠壇)에 있던 임진왜란 때 명나라 전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魚允中)을 양호(兩湖)로 파견한 일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에 와 유사한 성격을 띤 직함으로는 선유사(宣諭使)‧위무사(慰撫使)‧안무사(安撫使)‧위유사(慰諭使) 등이 있었는데, 사건이 일어난 시기와 상황에 따라 호칭을 달리하였다. ...
    이칭별칭선유사(宣諭使)|위무사(慰撫使)|안무사(安撫使)|위유사(慰諭使)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금나라의 화친 요구에 응하는 송나라측 대표이다. 심부름꾼 총각으로 가장한 동선이 서문적을 천거하자 그를 중용하여 벼슬을 높여 준다. 휘하 장수 안기의모함을 받아 금나라에 체포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역 민심을 위무하고 조정의 명령을 직접 중개하기 위해 설치된 지방 관청
    정의지역 민심을 위무하고 조정의 명령을 직접 중개하기 위해 설치된 지방 관청 | 문광부표기Seonmusa | MR표기Sŏnm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328 유적 () 임진왜란 때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조선을 도운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형개(邢玠)와 경리 조선군무 도찰원 우첨도어사(經理朝鮮軍務都察院右僉都御史) 양호(楊鎬)를 제향하는 사당. 서울특...
    유형분류유적

고서·고문서(210)

  • (使) 감결(甘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감결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감결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의궤(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융희연간에 명나라 장수 형개 등을 모신 에서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축식을 모아놓았다. 축식과 관군사(官軍祠)축식 2종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치제문(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치제문(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17927 B017927 거사비 去思碑 문화 承政院日記 英祖 33年 9月 23日_029 之時, 不可不令地部及各軍門, 各送銅鐵若于斤, 添鑄以用, 何如? 上曰, 卿言是矣, 而卽今省費之時, 不可爲此, 姑遲之, 可也。 啓禧曰, 春初, 上歷入時, 令臣改撰其碑文, 蓋以臣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內部醫師李鎬瀅은今日부터下午五時로七時...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內部醫師李鎬瀅은今日부터下午五時로七時지鐘路濟生社의在오니論症실 僉君子屈期來臨시오 年六月二十十日 告白
    게재일1900년 6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命官制釐正所議定官叅政大臣趙秉式三月十八日 完順君李載完副將閔泳煥中樞院議長朴定陽仝贊議徐正淳副長沈相蕪中樞院贊議李鍾健仝洪淳馨法部大臣李址鎔農商工部大臣朴齊純軍部大臣權重顯中樞院贊議李道宰命表動院議定官三月廿日 命全州府使仝觀察使李勝宇 命官制釐正委員議政府主事金益商 秘書監丞李範仁仝宋昌燮...
    게재일1905년 3월 25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3)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난의 수습을 위해 파견되었다. 그 두드러진 예로는 1862년(철종 13) 임술민란 때 조구하·이삼현 등을 삼남지방에 파견한 일과 1893년(고종 30) 동학교도의 보은집회 때 어윤중을 양호로 파견한 일을 들 수 있다.

  • 이삼현 / 李參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7∼?). 진흥 증손, 할아버지는 종호, 아버지는 재익, 어머니는 유한철의 딸이다. 1862년 진주에서 민란이 일어났을 때 경상도가 되어 영남 지방의 민심을 수습하였으며, 1864년(고종 1) 함흥부안핵사가 되어 흉흉한 북방의 민심을 무

  • 조선국가제향처략기 / 朝鮮國家祭享處略記 [정치·법제]

    사직서, 환구단, 동명왕릉, 고려왕릉을 비롯해 단군, 기자, 주몽, 박혁거세, 왕건 등을 모신 전, 묘, 관왕묘, 대보단, 등의 이름과 위치를 간략하게 기록한 문서. '궁내부 제도국'이라는 판심으로 보아 궁내부제도국이 신설된 1906년(광무 10) 1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