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무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9)
사전(61)
- 선교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종6품 상계(上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선교랑, 하계는 선무랑(宣務郞)으로 정하였다. → 문산계 『경국대전(經國大典)』 『...
- 선무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종6품 하계(下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선교랑(宣敎郎), 하계는 선무랑으로 정하였다. 종6품 문산계 선무랑(宣務郎)과 무산계 병절교위(秉節校尉) 이상을
- 현덕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4(중종 39)∼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성주(星州). 아버지는 선무랑(宣務郎) 기(琦)이다. 1569년(선조 2) 무과에 급제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군공(軍功)을 세워 여러 고을의...
- 의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6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6품의 승의랑(承議郎)‧승훈랑(承訓郎)‧돈용교위 (敦勇校尉)‧진용교위(進勇校尉)의 적처(嫡妻)와 종6품의 선교랑(宣敎郎)‧선무랑 (宣務郎)‧여절교위(勵節校尉)...
- 오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0(광해 9)∼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경부(慶夫), 호는 한계(寒溪).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익전(益烇), 어머니는 은진송씨(恩津宋氏) 선무랑(宣務郞) 익(翊)의 딸이다.이칭별칭 경부(慶夫)| 한계(寒溪)
고서·고문서(298)
- 宣務郞(朴公)墓碣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墓碣銘 16 宣務郞(朴公)墓碣銘 17_071_065.jpg 宣務郞(朴公)墓碣銘 珥友成徵君渾, 狀竹山朴君之行, 求碣銘于珥。 珥曾知朴君長者, 軒豁無拘礙, 好善慕義。 出入聽松先生門下甚密, 重然諾, 喜周急, 法宜得銘。 謹按: 朴氏爲著姓, 有諱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한원진 선무랑종부사주부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27년(雍正4) 8월 23일에 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前司禦 韓元震을 宣務郞宗簿寺主簿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宣務郞은 종6품 하계의 관계로 이 고신은 5품이하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敎牒이다. 붉은색의 ‘吏曹之印’을 찍었으며, 參議와 假郞廳이 서압하였다. 종부시는 조...분야문학 | 유형문헌
- 宣務郞行三陟敎授公墓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501 2083_01 宣務郞行三陟敎授公墓表 01 문화ㆍ생활 문헌 현대 주경안 종가, 사회관계, 문중생활, 서간통고류, 행장 한자 고문서 JKA050.JPG 宣務郞行三陟敎授公墓表 행장 南珍永 隆熙 紀元後56년(1962)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二十七年 三月 十四日 宣務郞 趙靖을 宣務郞 行禧陵參奉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35 1208_01 萬曆二十七年 三月 十四日 宣務郞 趙靖을 宣務郞 行禧陵參奉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첩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06.JPG 萬曆二十七年 三月 十四日...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二十七年 三月 十四日 宣務郞 趙靖을 宣務郞 行禧陵參奉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36 1208_02 萬曆二十七年 三月 十四日 宣務郞 趙靖을 宣務郞 行禧陵參奉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첩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06.hwp 吏曹萬曆二十七年 三月十...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7)
-
선무랑 / 宣務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6품 하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선교랑(宣敎郎), 하계는 선무랑으로 정하였다. 종6품 문산계 선무랑(宣務郎)과 무산계 병절교위(秉節校尉) 이상을 조회에 참여할 수 있다고 하여 참상관이라 하였
-
선교랑 / 宣敎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6품 상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선교랑, 하계는 선무랑(宣務郞)으로 정하였다.
-
종육품 / 從六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2등급의 품계. 종6품 문산계 선무랑과 무산계 병절교위 이상을 조회에 참여할 수 있다고 해 참상관이라 하였다.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선교랑, 하계는 선무랑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승의교위, 하계는
-
김세용 / 金世鏞 [종교·철학/유학]
1673년(현종 14)∼1742년(영조 1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좌랑 김학배, 외조부는 개성 선무랑 고이절, 처부는 도이망이다. 적암 김태중·갈암 이현일·밀암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제산 김성탁과 도의로써 교의를 맺었으며, 평생을 처사로 지냈다. 만
-
김우태 / 金宇泰 [종교·철학/유학]
1647년(인조 25)∼1708년(숙종 34). 조선 후기 유생. 증조는 김경신, 조부는 김계미. 부친 장사랑 김상현과 모친 선무랑 홍호약의 딸 부림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이절의 딸 일선김씨이다. 자라서 목재 홍여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처음 학문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