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선교랑” 에 대한 검색결과 4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0)

사전(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6품 상계(上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 하계는 선무랑(宣務郞)으로 정하였다. → 문산계 『경국대전(經國大典)』 『...
  • 선무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6품 하계(下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 하계는 선무랑으로 정하였다. 종6품 문산계 선무랑(宣務郎)과 무산계 병절교위(秉節校尉) 이상을
  • 의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6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6품의 승의랑(承議郎)‧승훈랑(承訓郎)‧돈용교위 (敦勇校尉)‧진용교위(進勇校尉)의 적처(嫡妻)와 종6품의 ()‧선무랑 (宣務郎)‧여절교위(勵節校尉)...
  • 성영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할아버지는 () 세거(世琚)이고, 아버지는 진사 열(悅)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병마우후(慶尙右道兵馬虞候)로 참전하여
  • 이극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 13)에 ()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639년에는 지평(持平)에 이르렀다. 仁祖實錄 國朝榜目 號譜 海南郡誌
    이칭별칭 사안(士安)| 송정(松汀)

고서·고문서(428)

  • 1555년 부 () 분재기(分財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문서는 어머니가 일찍 죽자, 아버지가 세 딸 중 나이가 가장 많은 큰 딸에게 노 1구를 주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軍資監 主簿 朴震英을 龍宮縣監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194 1187_01 軍資監 主簿 朴震英을 龍宮縣監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38.JPG 軍資監 主簿 朴震英을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軍資監 主簿 朴震英을 龍宮縣監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195 1187_02 軍資監 主簿 朴震英을 龍宮縣監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38.hwp 吏曹萬曆二十七年十二 月三十日奉 敎...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681년 부(父) () 이(李)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87년 () 최경함(崔慶涵) 준호구(準戶口)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687년(숙종 13) 대구광역시부(大丘府)에서 해서촌면(海西村面)지묘리(智妙里)에 거주하는 ()최경함(崔慶涵)에게 발급해준 준호구(準戶口)로, 오늘날의 호적등본에 해당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6품 상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 하계는 선무랑(宣務郞)으로 정하였다.

  • 선무랑 / 宣務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6품 하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문산계의 상계는 (), 하계는 선무랑으로 정하였다. 종6품 문산계 선무랑(宣務郎)과 무산계 병절교위(秉節校尉) 이상을 조회에 참여할 수 있다고 하여 참상관이라 하였

  • 권구 / 權渠 [종교·철학/유학]

    1672년(현종 13)∼1749년(영조 25).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군수 권단. 부친 권징과 모친 졸재 유원지의 딸 풍산유씨의 1남 6녀 가운데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이의의 딸 재령이씨이다. 갈암 이현일 문하에서 수학, 권두경·이재·권두인·조덕

  • 문위 / 文緯 [종교·철학/유학]

    1554(명종 9)∼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통정대부 산두, 어머니는 함양 오세평의 딸이다. 조식·오건·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창에서 의병들을 모집하고, 의병장 김면과 함께 고령에서 왜군을 맞아 싸

  • 신권 / 愼權 [종교·철학/유학]

    1501년(연산군 7)∼1573년(선조 6) 12월 23일. 훈도를 지냈다. 아내는 임득번의 딸이다. 구암 이정, 갈천 임훈과 여러 날 학문을 강마하다가 더러는 시를 주고 받기도 하였다. 인조 연간에 후손 신경직이 성팽년의 후손 성경창 등과 함께, 신권이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