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공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7)
사전(513)
- 분선공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선공감(繕工監)의 일을 나누어 맡아보던 임시관서. [내용] 분선공감은 공조(工曹)에서 관장하는 선공감과 달리 의정대신(議政大臣)들에 의해 통섭(統攝)되어 인신(印信)을 소유하고 전곡(錢穀)을 비축하고 군졸(軍卒)을 부렸기에 폐지...이칭별칭선결도감(繕缺都監)
- 선공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품)‧소감(종4품) 각 1인, 승(종6품) 2인, 주부(종7품) 2인을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선공감으로 고쳐 판사를 없애고 감을 종3품으로 올렸다.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또 선공사(繕工司)로 고쳐 영사(領事, 종2품) 1인, 영(令, 정3품...
- 선공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에 각종 토목 공사와 건축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서. 己亥五月十一日繕工監爲相考事今此國葬都監別工作奉事權德徵分差爲有置相考施行爲只爲, (국장1903/042ㄴ10~1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선공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토목‧영선에 관한 일을 맡아본 관청.정의조선시대 토목‧영선에 관한 일을 맡아본 관청.[두산백과] | 문광부표기Seon-gonggam | MR표기Sŏn’gong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선공감(繕工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선공감 선공감 繕工監 공조(工曹) 분선공감(分繕工監), 자문감(紫門監), 탄색(炭色), 삭색(索色), 공작색(工作色), 철물색(鐵物色), 환하색(還下色), 죽색(竹色), 재목색(材木色), 장목색(長木色), 압도색(鴨島色) 장작감(將作監...상위어공조(工曹) | 하위어분선공감(分繕工監), 자문감(紫門監), 탄색(炭色), 삭색(索色), 공작색(工作色), 철물색(鐵物色), 환하색(還下色), 죽색(竹色), 재목색(材木色), 장목색(長木色), 압도색(鴨島色) | 관련어장작감(將作監), 선공사(繕工司), 선공시(繕工寺)
고서·고문서(192)
- 繕工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060 繕工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京畿道庄土文績_제24책 : 京畿道金浦郡所在庄土李根培提出圖書文績類 2. 道光六年十一月日金浦郡所在繕工監鴻島三坪打量成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0342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24책 : 京畿道金浦郡所在庄土李根培提出圖書文績類 24-002 2. 道光六年十一月日金浦郡所在繕工監鴻島三坪打量成冊 양안류 4 26x47.3 한지, 관인, 접혀서 보존 불량 4장, 26x4...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677년 윤이석(尹爾錫)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77년(肅宗3) 10월에 이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들어 윤이석을 선공감 가감역관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884년 정연학(鄭然學)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84(고종 21)년 10월에 이조에서 정연학을 선공감가감역관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84년 정연학(鄭然學) 차첩(差帖)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84(고종 21)년 10월에 이조에서 정연학을 선공감가감역관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2)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로 지정되었다. 2) 작품: 대화호미걸이, 송포호미걸이, 맹계사줄다리기, 용구재. 이무기제, 말박는 소리, 고양 쌍그네놀이, 선공감 김감엽 호상 상여놀이, 12지신 불한당몰이, 고양 12채가락 3) 이무기제: 경기도 고양군 송포면 대화리(현 고양시 송포동)의 용구재는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현규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로 지정되었다. 2) 작품: 대화호미걸이, 송포호미걸이, 맹계사줄다리기, 용구재. 이무기제, 말박는 소리, 고양 쌍그네놀이, 선공감 김감엽 호상 상여놀이, 12지신 불한당몰이, 고양 12채가락 3) 이무기제: 경기도 고양군 송포면 대화리(현 고양시 송포동)의 용구재는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경희
주제어사전(46)
-
분선공감 / 分繕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선공감의 일을 나누어 맡아보던 임시관서. 분선공감은 공조에서 관장하는 선공감과 달리 의정대신들에 의해 통섭되어 인신을 소유하고 전곡을 비축하고 군졸을 부렸기에 폐지가 논의되다가 1485년(성종 16)에 선결도감으로 개칭되었다.
-
선공감 / 繕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토목과 영선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문종 때 관제를 고쳐 판사(종3품)·감(정4품)·소감(종4품) 각 1인, 승(종6품) 2인, 주부(종7품) 2인을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선공감,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선공사(
-
감역관 / 監役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기 이후 선공감의 종9품 관직. 정원은 3인. 궁궐과 관청의 건축·수리공사 감독을 위하여 성종 때부터 선공감의 정원 외 임식관직인 가관을 두어 서반직 녹을 받도록 하였다. 명종 때부터 선공감의 종9품관으로 정식 직제화하였다.
-
송종오 / 宋鍾五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문신(1828∼1904). 벼슬은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제수된 이후 의빈도사·고령현감·종묘령 등을 역임하였다. 1888년(고종 25)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장원 급제한 뒤 주로 내직을 두루 지냈다. 저서로 <한창유고>가 있다.
-
부봉사 / 副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봉상시·내의원 등 여러 관서의 정9품 관직. 봉상시에 1인, 내의원에 2인, 군기시(軍器寺)에 1인, 군자감(軍資監)에 1인, 제용감(濟用監)에 1인, 선공감(繕工監)에 1인, 관상감(觀象監)에 3인, 전의감(典醫監)에 4인, 사역원(司譯院)에 2인, 풍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