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석지형” 에 대한 검색결과 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7)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10-?) 필적 1610(광해군 2)-? .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
    이칭별칭 숙진(叔珍)| 수현(壽峴)
  • 남한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이 1636년(인조 14)의 병자호란 때 겪은 사실을 일기체로 쓴 저술. [서지적 사항] 4권 4책. 필사본. [내용] 1636년 청나라가 조선을 침입하여 남한산성에 위협을 가하던 시기로부터 시작하여...
  • 수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1709년(숙종 35) 아들 규서(奎瑞)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鄭斗經)ㆍ허목(許穆)의 서문과 권말에 김성호(金性豪)ㆍ규서의 발문이 있다. 장서...
  • 남한일기(南漢日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전한다. ()을 비롯해 감상헌(金尙憲), 유계(兪棨) 등이 찬술한 『남한일기』가 그것이다. 이 밖에도 나만갑(羅萬甲)의 『병자록(丙子錄)』, 남잡(南磼)의 『병정일기(丙丁日記)』를 비롯해 의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등도 병자호란 당시 인조가 남한...
    상위어남한산성(南漢山城), 병자호란(丙子胡亂), 일기(日記) | 관련어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기(日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7세기 이후에는 점차 일기의 대상 내용이 확대되면서 사행일기나 전란일기 등이 다수 작성되었다. 최기(崔沂)의 『조천일기』를 비롯해 오윤겸(吳允謙)의 『동사상일록(東槎上日錄)』, ()의 『남한일기(南漢日記)』 등이 이에 해당한다. 17세기 말부터 18세기에...
    하위어감란록(勘亂錄), 서정일기(西征日記), 자내일기(自內日記), 정난일기(靖難日記) | 동의어기(記), 록(錄), 실기(實記), 실록(實錄), 일력(日曆), 일록(日錄), 일지(日誌) | 관련어사관(史官)

고서·고문서(80)

  • 주역대전 : 해제_8. ()의 『오위귀감(五位龜鑑)』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8. ()의 『오위귀감(五位龜鑑)』 (, 1610~?)의 저술이다. 저자는 본관은 화원(花園), 자는 숙진(叔珍), 호는 수현(壽峴)이다. 아버지는 경하(擎廈)이다. 1633년(인조11년) 진사가 되고 이듬해 별시문과...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남한일기(南漢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의 「남한일기(南漢日記)」,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등과 함께 남한산성 및 병자호란에 대한 연구자료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 1610~?)이 병자호란 당시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으로 인조(仁祖)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피신했을 때 겪은 일을 기록한 것이다. 이 일기는 금나라의 성립 역사에서부터 시작하여 1636년 12월 9일 청나라가 조선의 국경을 넘은 날과 이듬해...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746 B014746 강요주 江瑤柱 수산물 東史綱目第十下 庚戌三十七年 二月 _ ○東眞寇東邊○遣使如蒙古○以庾部事⁄初碩爲東北面兵馬使先是有一兵馬使始以江瑤柱餽怡遂爲常例江瑤⁄柱海物出耽津縣捕之甚艱邑民五十餘戶因之失業逃散碩禁絶之流亡⁄盡還時守令爭事侵漁以媚權貴碩移牒禁之東北人感...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경하이다. 1633년(인조 11) 진사가 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뒤에 형조좌랑이 되었다. 횡성현감으로 재직중 김해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와 오랫동안 강화부교수를 지냈다. 현종 때 개성부교수를 지냈다.

  • 수현집 / 壽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1709년(숙종 35) 아들 규서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허목의 서문과 권말에 김성호·규서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6수, 부 7편, 계 1편, 잡저 3편, 상량문 1편, 계수부 1편

  • 남한일기 / 南漢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이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의 항전을 기록한 일기. 4권 4책. 필사본. 1636년 청나라가 조선을 침입하여 남한산성에 위협을 가하던 시기로부터 시작하여 45일간의 방어사실과 피침상황(被侵狀況) 등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남한일기≫가

  • 주빙하지형 / 周氷河地形 [지리/자연지리]

    는 가장 보편적인 주빙하지형으로서, 기계적 풍화 작용에 의해 단애면(斷崖面)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진 암괴들이 사면 기저부에 쌓인 지형이다. 애추는 과거에 만들어진 전형적인 화이다. 구조토는 활동층에서 동결·융해의 반복으로 암설과 미립의 토양물질이 서로 분리되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