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석주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29)
- 석주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권은 그밖의 잡문을 모은 것으로 1632년 그의 문하인 홍보(洪?)가 본집과 함께 간행하였다. ≪석주집≫ 별집 2권은 1674년 이동직(李東稷)이 남은 원고 가운데서 시 100여 수와 문 9편을 뽑아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정구(李廷龜)‧홍보‧장유(張維)의 서문...
- 천하창창취중주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고시(七言古詩)로 작자의 문집인 『석주집(石洲集)』에 수록되어 있다. 칠언(七言)이 주조를 이루나 사언과 오언이 뒤섞여 있다. 모두 72구, 414자로 되어 있다. 작자가 세상...
- 충주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오언과 칠언의 잡언체(雜言體)로 모두 24구이며 『석주집(石洲集)』 권2에 수록되어 전한다. [내용] 백거이(白居易)의 신악부(新樂府)인 「청석(靑石)」을 본받은 것...
- 과정송강묘유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로 작자의 문집 『석주집(石洲集)』에 전한다. 정철(鄭澈)의 무덤에서 그의 풍류를 아쉬워하며 지은 작품이다. [내용] 시의 내용은 “쓸쓸한 빈 산에 우수수 비...
- 곽색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가전체소설. [개설] 무장공자(無腸公子)인 ‘게’를 의인화한 것이다. ‘곽색’이란 무장공자의 별칭으로 게가 조급히 걷는 모양을 형용한 말이다. 『석주집(石洲集)』에 「주사장인전(酒肆丈人傳)」과 함께 실려
고서·고문서(11)
- 석주집(石洲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석주집(石洲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석주집(石洲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석주집(石洲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석주집(石洲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주제어사전(4)
-
석주집 / 石洲集 [종교·철학/유학]
32년 그의 문하인 홍보가 본집과 함께 간행하였다. ≪석주집≫ 별집 2권은 1674년 이동직이 남은 원고 가운데서 시 100여 수와 문 9편을 뽑아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정구·홍보·장유의 서문, 별집 뒤에 송시열이 쓴 발문이 있다.
-
권필 / 權韠 [문학/한문학]
기도 고양시 위양리에 있고, 묘갈은 송시열(宋時烈)이 찬하였다. 『석주집(石洲集)』과 한문소설 「주생전(周生傳)」이 현전한다.
-
천하창창취중주필 / 天何蒼蒼醉中走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七言古詩)로 작자의 문집인 『석주집(石洲集)』에 수록되어 있다. 칠언(七言)이 주조를 이루나 사언과 오언이 뒤섞여 있다. 모두 72구, 414자로 되어 있다. 작자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부닥치는 모순과 느끼는 울분을 가장
-
충주석 / 忠州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오언과 칠언의 잡언체(雜言體)로 모두 24구이며 『석주집(石洲集)』 권2에 수록되어 전한다. 「충주석」 제 1∼5구에서는 우선 충주석을 빗돌로 다듬어 실어나르는 상황을 묘사하였다., 제 6구에서 세태에 아부하는 문장가들을 비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