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석인본” 에 대한 검색결과 1,0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3)

사전(7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76) 古書のはなし-書誌學入門-(長澤規矩也‧坂本起一, 1979) 漢籍版本入門(陳國慶 著, 澤谷昭次 譯, 東京 硏文出版, 1984) 대가법첩() 1908년...
  • 역대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인 이현상(李顯相)이 중국의 동주(東周)부터 명나라까지, 그리고 우리나라 삼국시대부터 조선조 선조 때까지의 역사적인 사실을 간추려 치란(治亂)을 재조명한 책. [내용] 12권 12책. .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 오연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수(李琇)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 간행연도는 확실하지 않으나 1770년(영조 46) 이세학(李世鶴)에 의하여 편집,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권두에 이세학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경상북도 경주...
  • 영남삼강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영남일대에 예로부터 내려온 효자ㆍ효부ㆍ충신ㆍ열부의 사적을 총괄 수록한 책. [내용] 20권 10책. . 1939년 대구에서 장우상(張友相)이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부터 권10까지에는 효자 509명의 행적,
  • 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시형(金是螢)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 1977년 후손 관희(瓘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헌주(李憲柱)의 서문과 권말에 관희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54수, 만사...

고서·고문서(45)

  • 최기석(崔淇碩)의 『남하유고(南下遺稿)』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문단〉〈문헌〉『南下遺稿』〈/문헌〉는 2권 1책의 이다. 책머리에 〈인명〉김수철〈/인명〉의 서문(〈연도〉1971〈/연도〉)이 실려 있으나 발문과 저자에 관한 행장이나 묘지명이 없다. 권1에는 운문으로는 부 1편, 5언 절구 23수, 7언 절구 36수, 5언 율시...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 3988 2398_01 虯川先生事蹟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전식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종가유래, 문집, 전극항, 규천 한자 전적 JS073.JPG 全克恒 선장본 미상 28 17 1책 전식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전식 종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양회락(梁會洛)의 『동계당유고(東溪堂遺稿)』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東溪堂遺稿』는 梁會洛의 시문집으로 아우 會龍이 遺稿를 정리하여 9권 2책 으로 1946년간행하였다. 양회락은 학포 양팽손의 후손으로 능주지방의 대표적인 사족 가문 출신으로 기정진의 대표적인 문인인 정의림과 정재규의 학문을 전수받아 능주일대에 위정척사사상의 보급...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김녹휴(金祿休)의 『신호집(莘湖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신호집』은 3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총 184제 222수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贈詩로부터, 차운시, 누정시, 유람시(산수시) 등 다양하다. 이 가운데 특히, 기정진문하에 함께 드나들면서 사귄 趙性家에게 준 작품들이 눈에 띈다. 권2의 편지...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930년 김곤(金坤)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우선 교정을 해놓고 가을을 기다렸다고 간소(刊所)를 설치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것과 석인으로 인쇄를 하면 목판으로 하는 것보다 비용이 배나 적게 드니 우선 으로 인출하고, 좋은 시절이 되었을 때 목판으로 하는 것이 어떠냐고 말한 내용이다. 또한 자신에게 영광지역...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고산서원

신문·잡지(2)

  • 관세음보살영험약초(觀世音菩薩靈驗略抄)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관세음보살영험약초(觀世音菩薩靈驗略抄) 4 觀世音菩薩靈驗略抄 관세음보살영험약초 형태서지 [著者未詳] [朝鮮] [韓國] 1485年(成宗 16) 跋 線裝...
    대표표제어관세음보살영험약초(觀世音菩薩靈驗略抄) 4 | 대표서명觀世音菩薩靈驗略抄 | 한글서명관세음보살영험약초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 형태서지 性權 彙補輔宏記 清 中國 諦閑 1897年(光緒 23...
    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 대표서명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86)

  • / [언론·출판/출판]

    석판(石版)에 의하여 인쇄된 책.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1899년 농상공부(農商工部) 인쇄국이 설립될 무렵이다. 도입된 석판시설은 정부당국에 의해 우표·지폐·인지·증서 등의 인쇄에 사용되었다. 석판 인쇄의 도입은 개항기 민중의 사고방식을 개화하는 데 선구적 구실을

  • 금석첩 / 金石帖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경성제국대학 편, 영인본, 1932, 불분권 1책(155면).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 등 비문, 액문 기타 필적의 ()을 경성제국대학에서 영인한 책이다.

  • 항와집 / 恒窩集 [종교·철학/유학]

    홍종구의 시문집. 4권 2책. 1934. 진양정씨 정동철의 서문과 문후손 홍범우의 발문이 있고, 소화 9년 4월 6일 자 발행 간기가 있다.

  • 경충록 / 景忠錄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이다. 규격은 19.2×19.6cm이고, 반곽은 20.7×15.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경충록(景忠錄)이다. 선조(宣祖) 대에 성수경(成守慶)이 저술하였고, 上下 1책으로 구

  • 근와문집 / 謹窩文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이다. 규격은 28.7×18.7cm이고, 반곽은 19.1×14.3cm이다. 표제는 근와집(謹窩集)이고, 판심제는 근와문집(謹窩文集)이다. 구연간(具然侃)이 저술하였고, 권수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