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석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
사전(27)
- 석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석쇠의 형태는 처음에는 검은 쇠를 두껍게 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드문드문 얽은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철사나 구리철사를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굵은 쇠로 테두리를 한 다음, 철사 또는 구리철사로 가로와 세로를 그물과 같이 얽어 만든 석쇠를 쓰게 되었을 것이다....
- 釋衰赴朝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D_0014 釋衰赴朝 제례 母喪, 中書堂, 文武百官, 大雨 李資謙, 仁宗, 資謙 麗史 D_05_02_42 대동운부군옥 5권 2장 4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2장 4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불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쇠고기를 얇고 넓게 저며서 양념장을 무쳐 석쇠에 놓고 구운 음식. [내용] 예전에는 너비아니라고 하였다. 너비아니란 궁중과 서울의 양반집에서 쓰던 말로 고기를 넓게 저몄다는 뜻이다.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고기구이는 맥적(貊炙)에...
- 적쇠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두 개의 굵고 큰 철사로 만든 쇠젓가락. 화로 위에 걸쳐 놓고, 석쇠나 냄비 따위를 얹어서 음식을 굽거나 데우는 데 쓴다. 현대 국어 사전류에서는 적쇠를 석쇠와 동일한 기물로 설명하나, 대부분의 의궤 자료에 적색소용화철일유중사용일대적쇠일쌍[炙色所用和鐵壹鍮中沙用壹大炙金...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중배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음식이다. 제사용으로 제기에 괴며, 잔칫상에는 괴지 않는다. 먹을 때는 석쇠에 구워 먹는다.
고서·고문서(40)
- 徂年,惜衰暮也。尤悔積衷,遷改無日,惄然自悼,冀友相憐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70 詩集 卷七 ITKC_MP_0597A_0070_040_0310 徂年,惜衰暮也。尤悔積衷,遷改無日,惄然自悼,冀友相憐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백부주전상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伯父主前上書 暑炎如蒸伏未審 氣體候萬寧歲儉之餘只 麽供奉亦遜疇昔衰境 筋力日就凘敗未知何以度日伏 慮靡弛區區妄想頻以爲或 者承顔於陽界上當別般 經營陪侍杖屨快飮朗吟 於松林花陰之間畢達多 少襞積而皓天茫茫頓沒來 復之望愓然循省益切煎熬 書童或有往來者否若 幷此無焉則尤極寂寞 耳農形可望否從子今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奉簡海左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DCI=ITKC_MP_0597A_0030_010_0430_2014_001_XML 001 遠遠風塵外,滄江一釣船。山中烏帽貴,天下白鷗賢。花石衰顏裏,圖書積雨邊。淸名與厚祿,終古有誰全? 323쪽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역금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869 잡가 調 및 詞 13064 역금 [5] △얼구금구 금구얼구 쥴육쥰 오사오것구 좽이밋살것구 우박 마진 덤이것구 석쇠 망 버레 머근 삼닙것구 연竹즌 자板것구 下米즌 멍석것구 大邱監營 진상오는 병것치 얼구 金鏡「r□□」殿 鐵網것치 얼근구분잡가
- 與張學士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二卷 與張學士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25 與張學士 某啓中間辱惠書未遑修答又辱惠書意愛勤勤重增感愧某以嘗患兩手中指攣搐爲醫者俾服四生丸手指雖不搐而藥毒爲孽攻注頤頷間結核咽喉腫塞盛暑中殆不聊生近方銷釋衰朽百病交攻難堪久處茲地漸欲謀爲退縮得免罪戾以疾爲名而去猶是幸人使騎巡曆何時...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구술자료(2)
- 강강술래(문석쇠야 문열어주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강강술래를 할 때 ‘문지기 문열어주소’도 하고 놀았냐고 하니, 김초례 할머니가 ‘문석쇠야 문열어주라’ 소리를 했다고 하면서, 그 소리는 처음에는 느리게 했다가 점점 빠르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조사자가 그 소리를 느린 소리부터 빠른 소리까지 한 번 들...조사일시2010. 1. 12(월) | 조사장소나주시 동강면 옥정리 봉추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김초례 외 7인
- 거제도로 피난 온 북한 사람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게 큰 알로, 알이 이 두쪽씩이거든? 배에? 이 두쪽씩인데, 배 안에 이 두쪽씩 알을 한거슥(한가득) 씩 안고, 매 르치도 거의 정어리만씩 했어, 시퍼렇게 살찌고. 그런거는 갖다가 옛날에는 뭐 후라이팬도 없었고, 주로 불때고 적세(석쇠) 거게다가 놔가지고 왕소금 철철조사지역경남 창원 | 조사일2013년 8월 1일
기타자료(1)
- 김석쇠;金石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5404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19면 8. 대정8년 3월 22일 졸업 33명(제8회) 김석쇠;金石釗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석쇠 / 咊金 [생활/식생활]
고기를 굽는 데 사용되는 조리 기구. 철사를 그물처럼 엮어 만든 조리 용구로 숯불 화로에 올려 고기나 생선을 굽는 데 사용하였다. 석쇠, 적쇠, 적철이라고도 하며 둥근 모양과 네모난 모양이 있다. 잔치 때에는 많은 양의 고기를 구워야 하므로 크기가 큰 석쇠가 사용되었
-
불고기 / [생활/식생활]
쇠고기를 얇고 넓게 저며서 양념장에 재워 석쇠에 구운 음식. 예전에는 너비아니라고 하였다. 너비아니란 궁중과 서울의 양반집에서 쓰던 말로 고기를 넓게 저몄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고기구이는 맥적(貊炙)에서 유래된다. 맥은 중국의 동북지방을 가리키는 말로 고구
-
곰보타령 / ─打令 [예술·체육/국악]
휘모리잡가. 주로 경기도 지방에서 불리는 익살스러운 노래이다. 멍석·덕석·어레미(굵은 채)·분틀밑(국수틀밑)·구리석쇠 등 생활주변의 여러 가지 얽어맨 사물들을 칠팔월 청명일(淸明日)에 시냇가로 내려오는 몹시 얽은 중의 얼굴과 관련시켜서 재치있게 사설을 엮은 곡이다.
-
명란젓 / 明卵─ [생활/식생활]
년대말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시의전서(是議全書)』에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우리의 밥상에 자주 오르는 젓갈의 하나이다. 젓갈을 담그는 시기는 동지 전이 좋으며, 잘 익은 것을 꺼내어 토막을 내서 참기름과 파 채친 것을 넣고 무쳐먹기도 하고, 석쇠에 굽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