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석봉천자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5)
- 천자문(千字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씨로 1583년(선조 16) 서울에서 간행된 『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이다. 현재 전하는 책들 중에서 경상북도 영주의 박찬성(朴贊成) 소장본과 일본 나이카쿠문고[內閣文庫] 소장본이 원간본 또는 이에 가까운 책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봉천자문』은 <임진왜란(壬辰倭亂)>...
- 천자문(千字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석봉천자문』이 간행되었으며, 18세기에 들어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이 새로 간행되었다. 『광주판천자문』이나 『석봉천자문』은 한자 하나에 하나의 석음만 달았는데, 이 책은 둘 또는 세 석음을 단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간단한 주석과 함께 250구에 대하여...
- 조선위국자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이 책에 반영된 천자문은 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이며 누락된 한자는 없다. ‘전본한자의부목록(全本漢字依部目錄)’에서는 ‘왜어유해(倭語類解)’와 ‘천자문(千字文)’에 수록된 한자어를 부수와 획수를 이용해 찾을 수 있도록 목록화하였다. 한자어 밑에는 해당 페이지...
- 한체(韓體)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시기별 변화가 적은 편이다. 다만 해서나 행서에 비해 초서에서 좀 더 다양한 서풍이 보인다. 한호의 해서는 1583년(선조 16) 부사과(副司果) 재직 시 왕명으로 쓴 『석봉천자문』으로 대표된다. 이 글씨는 그해 초간되었고, 이후 부분 교정되었으며, 1601년...상위어서체(書體) | 동의어석봉체(石峯體), 한석봉체(韓石峯體)
- 교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千字文 周興嗣 (불명) 광주천자문(1575) 석봉천자문(1583) ...
고서·고문서(2)
- 방송사업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적극적, 학습, 도움, 미안, 서적, 요구, 각방면, 노력, 부송, 전력, 학습, 여러분, 사업, 성적, 축하, 경례, 한석봉천자문, 1982년, 6월, 16일대표표제어방송사업 | 성씨권
- 어머니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남북, 통일, 요구, 녹음테프, 고국, 유명, 옜노래, 사교무곡, 신수보는책, 한석봉, 천자문, 원본토정비결, 원본한석봉천자문, 표준양력명문, 만세력, 부쳐, 남조선, 올림픽크, 열린, 중국, 인민페, 8천원대표표제어어머니 | 성씨박
기초학문(1)
- 石峰千字文 板本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희하, 게재일 : 201128705 손희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중인문학회 2011 石峰千字文 板本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1
주제어사전(2)
-
석봉천자문 / 石峰千字文 [언어/언어/문자]
『석봉천자문』이 국내에 현전하는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책이다.
-
주해천자문 / 註解千字文 [언어/언어/문자]
존『천자문』에 반영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주해천자문』를 펴내 한자의 의미를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기존『천자문』의 잘못된 부분을 일일이 수정하였다. 『주해천자문』의 내용은 전반적으로『석봉천자문』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석봉천자문』과『주해천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