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석보상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54)
- 석보상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447년 수양대군(首陽大君, 1417-1468)과 김수온(金守温, 1410-1481) 등이 석가모니의 가계와 그 일대기를 편역한 책.정의1447년 수양대군(首陽大君, 1417-1468)과 김수온(金守温, 1410-1481) 등이 석가모니의 가계와 그 일대기를 편역한 책.[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Seokbo sangjeol | MR표기Sŏkpo sangj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석보상절(釋譜詳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석보상절 석보상절 釋譜詳節 종교불교/국어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성낙수 박종국 2014 수양대군(首陽大君), 김수온(金守溫) 간경도감(刊經都監) 1447년(세종 29) 24권 ...
- 선우태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포교문학이기는 하지만, 불교의 냄새를 전혀 풍기지 않는 순수한 창작소설이다. 이 작품은 원래 『보은경(報恩經)』 악우품에 근원을 두고 『석보상절(釋譜詳節)』‧『월인석보』에 편입, 번안됨으로써 국문소설의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15세기 국문...
- 석가보(釋迦譜)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가보(釋迦譜)』등 여러 경전을 참조하여 석가모니(釋迦牟尼)의 가계와 그 일대기를 담은 『석보상절(釋譜詳節)』을 만들기도 하였다. 1424년 2월에 일본 회례사(回禮使) 판선공감사(判繕工監事) 박안신(朴安臣)과 부사(副使) 대호군(大護軍) 이예(李藝) 등이 일본 국왕에...유형분류문헌
- 목련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羅尼經諺解)』와 함께 남부방언의 자료가 된다. 그런데 『목련경』의 언해는 『월인석보(月印釋譜)』 권23에 수록되어 전한다. 『월인석보』가 『석보상절(釋譜詳節)』의 내용을 수정하여 담고 있으므로, 『목련경』은 한글 창제 직후에 이미 번역되었다고 하겠다. 약 500...
고서·고문서(2)
- 상춘완경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월인석보]에서 ‘다다’를 찾을 수 있고 [석보상절]에서 ‘다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다다/다다]다다]다르다]다다르다’의 변화를 겪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은 후대 문헌에 다양하게 표기되어 나타나는데, 이러한 표기들은 7종성법의 경향에 따라 ‘다...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후
- 제주탐승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에 갓갑도다 갓갑도다: 가깝[近]도다. 모음간 경음 ‘ㄲ’을 ‘ㅅㄱ’으로 표기하였다. ‘가깝다’는 ‘가장자리’를 뜻하는 ‘갓’에 형용사를 만들어주는 접미사 ‘--’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형용사이다. ‘가깝다’가 처음 나타나는 예는 [석보상절]의 ‘갓다’로 ‘갓 +...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후
기초학문(1)
- 석가여래행적송과 석보상절의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영, 게재일 : 201763386 김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연구원 2017 석가여래행적송과 석보상절의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2)
- 조선_1930_18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二十年我が國は朝鮮で何を爲したか 萩原彦三 9 朝鮮水産物罐詰製造營業取締規則の發布に就て 松村松盛 30 月印千江之曲と釋譜詳節とに就きて 今西龍...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 춘추_1941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접실 186 중국현대시의 일단면 이육사 189 석보상절과 청태종조유 이재욱 194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연구과제(1)
-
석보상절 권3,6,9,11
한국 학술 번역사업 | Bella Pak |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9)
-
석보상절 / 釋譜詳節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 때 수양대군이 왕명으로 석가의 일대기를 찬술한 불경언해서. 1446년(세종 28)에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가 사망하자, 그녀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가의 전기를 엮게 하였는데,《석가보》,《법화경》,《지장경》,《아미타경》,《약사경》 등에서 뽑아 모은 글을 한글로
-
월인천강지곡 / 月印千江之曲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이 1449년(세종 31)에 지은 불교 찬가(讚歌). 활자본. 상 · 중 · 하3권. 현재 상권 1책과 중권의 낙장이 전할 뿐이다. 보물 제398호. 이 책은 《석보상절》과 함께 합편되어《월인석보》로 간행되었다. 원간본과의 대조에 의하면, 이때 《석보상절》
-
선우태자전 / 善友太子傳 [문학/고전산문]
창작소설이다. 이 작품은 원래 『보은경(報恩經)』 악우품에 근원을 두고, 『석보상절(釋譜詳節)』·『월인석보』에 편입, 번안됨으로써 국문소설의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15세기 국문소설의 시대를 열어놓는 데 주축이 되었고, 16세기를 거쳐 복잡한 과
-
정재 / 呈才 [예술·체육/무용]
고려와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여령이나 무동이, 지방 관아에서 기녀들이 공연했던 악가무의 종합예술. 『석보상절(釋譜詳節)』(1447)에 “정재는 재주를 남에게 보이는 것이니, 놀이하여 남에게 보이는 것을 정재라 한다”라는 용례가 있다. 두 번째 뜻은 헌기(獻技), 즉 춤
-
지장경언해 / 地藏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을 언해하여 간행한 불경언해서. 변상도(變相圖) 서문과 주문(呪文)의 뒤에 본문이 시작되는데, 이 본문 앞에 ‘지장보살본원경언ᄒᆡ 권샹’, ‘월린쳔강지곡 졔이십일’, ‘셕보샹 졔이십일’(釋譜詳節의 ‘節’이 빠져 있다.)과 같이 세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