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석각천문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0)
- 천상열차분야지도목판인쇄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영조 때 숙종의 천문도를 모사(模寫)한 목판을 만들어 인쇄한 천문도. [내용] 영조는 그의 재위 46년 동안에 태조 때의 석각천문도(石刻天文圖)가 경복궁 마당에 방치되어 있는 것을 보고, 당시의 호조판서 홍양한(洪良漢)으로
-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95년(태조 4) 만들어진 석각천문도(石刻天文圖). [내용] 가로 122.8㎝, 세로 200.9㎝, 두께 11.8㎝. 보물 제228호. 새로 창건된 조선왕조의 권위의 표상으로 흑요석(黑曜石)에 새겨 만들었다. 중국의 <순우천문도 淳...연계항목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
- 성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 12궁(宮)으로 방위를 정하여 결정한다. 성도에는 시대와 제작자에 따라 작품마다 고유한 이름이 붙어 있었는데, 예를 들어 고구려의 것은 단순히 <석각천문도>라고 불리었으나, 1395년(태조 4)에 제작된 석각천문도는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라는...이칭별칭천문도
- 중성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년에 약 50초(秒:角) 서행(西行)하는 것이므로, 춘분점을 기준하여 정하게 되는 별의 위치는 반대로 동행(東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별들이 매년 세차로 인해서 옮겨진 것이 최초로 문제시된 것은 조선 태조의 즉위 초였다. 고구려 석각천문도(石刻天文圖)의 인본...
-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6.5㎝의 대리석에 새겨져 있는데,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의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 전시되고 있다.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1395년(태조 4) 만들어진 석각천문도. 가로 122.8㎝, 세로 200.9㎝, 두께...연계항목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複刻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
고서·고문서(1)
- 時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間에 歷代의 君王이 恪修하야 替치 아니하매 術業이 갈스록 精하고 記載ㅣ 갈스록 詳하니 李朝以後로 言하야도 太祖朝의 石刻天文圖, 世宗朝의 欽敬閣諸儀象等은 先人한 發明과 超世한 智巧ㅣ 永遠히 斯界의 驚嘆件일지로다 滄桑이 屢改하야 百物이 殘毁한 今日에도 斯術에 關하야 幾多世...서명時文讀本 | 자료명第四 我等의 財產 下
연구과제(1)
-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심영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
-
석각천문도 / 石刻天文圖 [과학/과학기술]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 소장되어 있는 돌에 새겨진 천문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돌판 위에 별자리를 새겨놓은 석각천문도(石刻天文圖)이다. 이 석각천문도의 앞면에는 서양식 별자리가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8방위의 방향표가 새겨져 있다. 이 유물은 원래 충청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