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석가모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1)
사전(482)
- 석가모니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나복이 어머니 청제부인의 삼년상을 치른 후 사리불과 함께 제자가 되기를 청하자 목련이라는 법명을 지어주며 받아들인다. 목련이 돌아가신 부모를 제도하겠다고 하자 칭찬을 하며 나복의 아버지 부상은 천상에 있고, 어머니 청제부인은 무간지옥에 있다고 알려 준다. 그리고 자신의...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석가모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과거칠불의 일곱 번째 부처로, 불교의 개조이며 세계 4대 성인의 한 사람정의과거칠불의 일곱 번째 부처로, 불교의 개조이며 세계 4대 성인의 한 사람 | 문광부표기Seokgamoni | MR표기Sŏkkamon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석가모니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처로 모시는 석가모니. 석가모니는 불교의 교조로, 범어 샤카무니(Sakyamuni)의 음역으로 석가족에서 나온 성자라는 뜻이다. [내용] 훗날 불교의 개조(開祖)가 된 고오타마 싯다르타(Gotama Sidhārtha)의 성불 후 이름으...
- 석가모니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석가모니를 부처로 모시어 이르는 말정의석가모니를 부처로 모시어 이르는 말 | 문광부표기Seokgamoni Bul | MR표기Sŏkkamoni Pu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산사약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필자 미상의 불교를 공부하는 데 요긴한 것을 모아서 편찬한 책. [내용] 1권 1책. 필사본. 1863년(철종 14)에 간행하였다. 그 내용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석가모니의 출세(出世) 인연을 팔상도(八相圖)의 체계에
고서·고문서(30)
- 조선인의 불교 행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림엽서 미상 미상 미상 이 엽서는 발행연도와 발행처, 인쇄처가 미상이고 낱장 엽서이다. 사진은 하단에 기재되어 있듯이 조선인의 불교 행사를 담은 모습이다. 수많은 인파와 연등 장식 등에서 '사월 초 팔일', 즉 석가모니 탄생기념으로 치러지는 행사라는 것을...자료명조선인의 불교 행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설명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진왜란, 철강선, 27일, 이순신, 장군, 31년, 적, 유탄, 전사, 29일, 석가모니, 5월, 4일, 어버이날, 카아네이션, 6월, 6일, 로태우, 대통령, 회담, 도시, 쌘프랜시스코, 대나무, 특산물, 제주도, 담배, 주요, 성분, 니코틴, 여름철, 하지, 인천상...대표표제어설명 | 성씨박
- 석굴암 대본존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사진이다. 높이 3.26m. 자연스럽게 표현한 간다라식의 어깨 선, 두 팔과 두 손, 가부좌를 한 두 다리와 무릎,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는 손은 석가모니불을 표현하고 있지만, 근래에 들어 아미타불이란 설도 대두되고 있다. 경상북도, 경주, 신라, 유적, 대본존,...자료명석굴암 대본존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달거리창부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고 귀홍득의 천공활에 기러기도 제 집 □로 돌아간다 우리 님은 어디를 갔게 집 찾아 올 줄을 왜 모르나 얼시구나 좋다 절시구 아니나 노진 못하리라 사월이라 초파일은 석가모니의 탄일이라 집집마다 등을 달고 자손발원을 하것마는 하늘을 봐야 별을 따지 님 없는 나야...구분잡가 | 편저자신태삼
- 달거리창부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삼진날 제비는 옛 집을 찾아오고 귀홍득의 천공활에 기러기도 제 집 □로 돌아간다 우리 님은 어디를 갔게 집 찾아 올 줄을 왜 모르나 얼시구나 좋다 절시고 아니나 노진 못하리라 사월이라 초파일은 석가모니의 탄일이라 집집마다 등을 달고 자손발원을 하것마는 하늘을...구분잡가 | 편저자신태삼
구술자료(5)
- 석가모니가 득도한 사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조사자와 평소부터 잘아는 분으로, 댁을 방문하였더니 마침 가족들과 같이 있었다. 찾아온 목적을 말하고 이야기를 청하였더니, 몇 편의 설화를 들려 주었다. 다른 자료는 모두 중복되는 내용이라서 제외하고 이것만 정리하였다. *조사일시1981-07-28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삼랑진읍 | 제보자이일창
- 석가모니 부처님 출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중이 염불부터 한번 하라고 청하자 제보자가 이 자료를 구연했다. 구연을 하면서 몸을 좌우로 흔드는 모습을 보였다. 기억력이 아주 좋았 으며 차분한 어조로 나직한 소리로 막힘없이 구연하였다. 끝난 후 박수를 크게 치며 웃자 청중들도 박수를 쳤다. 제보자는 이 자료를...조사일시2010. 7. 13(화)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삼가면 이부리 380번지 이부할머니 경로당(T.932-8814) | 제보자문막임
- 미륵보살과 석가모니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설화가 끝나자, 제보자가 미륵불에 대한 이야기를 일단 한 번 해볼테니 녹음할 가치가 있다면 그 때 다시 녹음하자고 하면서 이야기를 했다. 그래서 이야기의 앞 부분을 조금 듣다가 녹음을 하기 위해 다시 시작했다.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오늘 아침에 이런 얘기를 들었...조사일시1982-08-10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 제보자박상근
- 미얀마의 다양한 풍습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에 물고기도. [조사자1: 물고기도 방생하고?] 네네. [조사자1: 그러면 4월 달은 물 축제. 그 다음 달에는?] 5월 석가탄신일(까송, Kason) 그 다음 달은 석가모니의 생일, 5월 보름날. [조사자1: 15일 날?] 미얀마는 그런 거, 보름. [조사자1: 아,국가미얀마 | 제보자떼떼져 [미얀마, 여, 1992년생, 기타(한국방문)]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서유기 손오공 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조사자: 나타가 뭐죠?] 신선. 네. 신선인데 동자에요. 동자 어린애. 나타도 시키고 여러 신선을 시켰는데 다 안 되는 거죠. 손오공한테. 그래서 마지막에는 그 석가모니라고 하나, 그 승려인데. 중국말로는 류라이퍼여래(如來)를 말하는 듯하다.있잖아요. 그걸 어떻게 번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주경옥 [중국(한국계), 여, 197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
- 직지에서의 석가모니불의 가르침에 대한 과학적 이해(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동원, 게재일 : 200410571 김동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직지에서의 석가모니불의 가르침에 대한 과학적 이해(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직지에서의 석가모니불의 가르침에 대한 과학적 이해(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동원, 게재일 : 200401534 김동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직지에서의 석가모니불의 가르침에 대한 과학적 이해(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6)
- 대각세존석가모니불(大覺世尊釋迦牟尼佛)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대각세존석가모니불(大覺世尊釋迦牟尼佛) 大覺世尊釋迦牟尼佛 대각세존석가모니불 형태서지 正法眼藏 [著者未詳] [朝鮮]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대표표제어대각세존석가모니불(大覺世尊釋迦牟尼佛) | 대표서명大覺世尊釋迦牟尼佛 | 한글서명대각세존석가모니불 | 서지형태형태서지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0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1608年(宣祖 41) 1冊 刊記: 大明萬曆三十六年戊申(1608)九月日順天府曹溪山松廣寺重 H4, p.740. 전남 순천 선암사 성보박물관 無 1. 석가모니불좌상 복장물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광주광역시/전라남도ⅠㆍⅡㆍⅢ_자...대표표제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02 | 대표서명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한글서명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조선출판경찰월보 057호 신계단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불교와 석가모니불 금욕주의를 말하는 설교는 지주와 상인들 부자계급으로부터 무산자계급을 격리하고 현실의 고뇌와 불평불만을 인내케 하고 지배계급에 복종시키기 위한 교묘한 체계에 불과하다. 불교는 성립 당시의 농노(農奴) 생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적극적 역할을...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57호 신계단 | 출판물명신계단(新階段) 제1권 제9호 제1추가
- 신인간_1929_03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9 세계종교가열전-불교조 석가모니 소전 30 열국의 국세개관-불란서 32 열국의 국세개관-독일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 신민_1928_04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89 인두오과 (1) 단정학 102 세계삼성전-석가모니, 공자, 야소 108 세루두루막 양...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기타자료(6)
- (리레이 교단) 위대한 교육자의 모습-삼신왕 공자 석가모니 크리스토 루쏘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리레이 교단) 위대한 교육자의 모습-삼신왕 공자 석가모니 크리스토 루쏘오 (리레이 교단) 위대한 교육자의 모습-삼신왕 공자 석가모니 크리스토 루쏘오 교육 문헌 교육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두평 | 사료철명부산교육
- 신라가 왜에 내말(奈末) 지질정(枳叱政)을 보내어 진조(進調)하고 석가 불상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천황이 이것을 듣고 공경하고 받들었다. 지금 현재는 흥복사(興福寺) 동쪽 금당(金堂)에 있다. (元亨釋書 20) 【번역】 8년 겨울 10월에 신라국에서 불상을 보내 바쳤다. 태자가 황자(皇子)에게 아뢰어 말하였다. “서국(西國)의 성인 석가모니불유상(釋迦牟尼...대표표제어신라가 왜에 내말(奈末) 지질정(枳叱政)을 보내어 진조(進調)하고 석가 불상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79년(己亥/신라 진지왕 4, 진평왕 1/고구려 평원왕 21/백제 위덕왕 26/陳 大建 11/倭 敏達 8)
- 신라가 왜에 내말(奈末) 지질정(枳叱政)을 보내어 진조(進調)하고 석가 불상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지금 현재는 흥복사(興福寺) 동쪽 금당(金堂)에 있다. (『元亨釋書』 20) 【번역】 8년 겨울 10월에 신라국에서 불상을 보내 바쳤다. 태자가 황자(皇子)에게 아뢰어 말하였다. “서국(西國)의 성인 석가모니불유상(釋迦牟尼佛遺像)이 말세(末世)에 있으니 재앙이 사라지고...대표표제어신라가 왜에 내말(奈末) 지질정(枳叱政)을 보내어 진조(進調)하고 석가 불상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79년(己亥/신라 진지왕 4, 진평왕 1/고구려 평원왕 21/백제 위덕왕 26/陳 大建 11/倭 敏達 8)
- 발해인 무명화상 묘비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후세에 이어져, 오래 기억되고 영원한 빛을 비추면서 모이게 할 분은 오직 우리 대사뿐이다. (…) 만년에 불도를 닦는 동료들을 돌아보고 말하기를 “옛적에 선사 능인(석가모니)께서 구시(쿠시나가라)에서 열반의 자취를 보이셨다. 내가 청량산을 보건대, 대성문수사리와 일만성...대표표제어발해인 무명화상 묘비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93년(癸酉/신라 원성왕 9/발해 문왕 大興 57, 廢王 1/唐 德宗 貞元 9/日本 桓武天皇 延曆 12)
- 발해인 무명화상 묘비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어져, 오래 기억되고 영원한 빛을 비추면서 모이게 할 분은 오직 우리 대사뿐이다. (···) 만년에 불도를 닦는 동료들을 돌아보고 말하기를 “옛적에 선사 능인(석가모니)께서 구시(쿠시나가라)에서 열반의 자취를 보이셨다. 내가 청량산을 보건대, 대성문수사리와 일만성중이...대표표제어발해인 무명화상 묘비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93년(癸酉/신라 원성왕 9/발해 문왕 57 大興 57, 폐왕 1/唐 貞元 9/日本 延曆 12)
연구과제(1)
-
석보상절 권3,6,9,11
한국 학술 번역사업 | Bella Pak |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30)
-
석가모니 / 釋迦牟尼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개조이름. 석가는 종족의 이름이다. 석가모니는 석자족 출신의 성자란 뜻이다. 중인도의 가비라의 성주 정반왕의 태자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마야부인이다. 석가의 생몰년대는 여러 이설이 있다. 중국, 한국 등 북방에서는 BCE 627년으로 불탄년을 기려왔다. 그러
-
불교 / 佛敎 [종교·철학/불교]
BCE 5세기 경에 고타마 싯달타(Gotama Siddhartha)의 가르침을 근거로 하여 성립한 종교. 붓다(Buddha)란 '깨달은 자'의 의미로, 고타마에게 붙인 칭호이다. 석가모니라고도 한다. 고타마는 사키야 왕국의 왕자였으므로 석가모니란 사키야 족의 성자란
-
열반경 / 涅槃經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경전 가운데 하나.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열반경>으로는 <불반니원경> 등이 있다. 대승불교에는 <대반열반경>이 있다. 주요내용은 석가모니의 입멸에 대한 것이다. 소승불교 <열반경>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전후하여 그의 행적과 최후의 가르침, 입멸 후의 슬픔, 사
-
대한불교보문종 / 大韓佛敎普門宗 [종교·철학/불교]
이긍탄(李亘坦)이 만든 불교 종단의 일종. 1972년 비구니 이긍탄(李亘坦)이 보문사(普門寺)에서 창립하였다. 석가모니의 이모인 대애도니(大愛道尼)를 종조로 삼으며, 신라의 법류니(法流尼)를 중흥조로 삼는다. 근본경전은 <관음경>이며, 다른 대승경전을 겸수한다. 본사
-
미륵보살 / 彌勒菩薩 [종교·철학/불교]
대승불교의 보살. 미륵보살은 미래에 미륵불로 성불하여 중생을 제도하리라 믿었다. 미륵보살은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 가문에서 탄생하여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고 미리애 성불할 것이라는 수기를 받은 후 도솔천에 올라가 설법을 하고 있다. 미륵신앙은 대승불교의 종말론적 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