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호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0)
사전(62)
- 서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6(영조 12)∼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 [개설]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양직(養直). 우참찬 문유(文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판서 종옥(宗玉)이고, 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명응(命膺)이...이칭별칭 양직(養直)| 정헌(靖憲)
- 서장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7(영조 43)∼1830(순조 30)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공서(公瑞), 호는 장계(長溪). 명삼(命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수(好修)이고, 아버지는 유계(有階)이며, 어머니는 조덕화(趙德和)의...이칭별칭 공서(公瑞)| 장계(長溪)
- 정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지방의 관아. 靈巖 政閣執事回納, 서호수(徐浩修), 44-166 (봉투)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북창지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便有欲歸之示 無乃民社之憂 終不如北窓之睡耶, 서호수(徐浩修), 44-16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성주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그의 업적으로는 1795년(정조 19)에 당시의 관상감관인 서호수(徐浩修)와 함께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를 편찬하였고 1818년(순조 18)에는 단독으로 『서운관지(書雲觀志)』를 편찬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두 책은 당시의 천문학과 그에 관련된...이칭별칭 현지(顯之)
고서·고문서(99)
- 贈判書湖叟鄭公神道碑銘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575 1407_01 贈判書湖叟鄭公神道碑銘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시문류, 묘비명 한자 고문서 HJ090.JPG 贈判書湖叟鄭公神道碑銘 墓碑銘 未詳 未詳 未詳 39 189...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贈判書湖叟鄭公神道碑銘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576 1407_02 贈判書湖叟鄭公神道碑銘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시문류, 묘비명 한자 고문서 HJ090-1.JPG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贈判書湖叟鄭公神道碑銘 03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577 1407_03 贈判書湖叟鄭公神道碑銘 03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시문류, 묘비명 한자 고문서 HJ090-2.JPG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연행기(燕行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604 B01560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5年 6月 23日_009 ○以江華府留守徐浩修啓本, 長寧殿修改告由祭時, 不得進參, 惶恐待罪事, 傳于申應顯曰, 勿待罪事, 回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물귀신 나오는 서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큰 호수다.에요. 그리고 건너편도 작은 호수도 있잖아요. [조사자3: 건너편 어디요?] 서호수 반대쪽으로. (스마트폰으로 지도를 보며) 여기에 이렇게 보시면 사실 호수 두 개 있어요. 큰 거 있고 작은 거 있어요. 이렇게. 그래서 이 길에는 진짜 추워요. 겨울에는 진짜국가베트남 | 제보자팜하뷔 [베트남, 여, 1993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 담론의 역사적 성격 - 서호수와 이가환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중양, 게재일 : 200331886 문중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3 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 담론의 역사적 성격 - 서호수와 이가환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6)
- 함남로동신문_1949_01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서호수산사업소 어군과 싸우는 바다의 용사들!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01_02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로동신문_1949_062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49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로주철 서호수산사업소 서호수산사업소 우리당 초급당부는 지난 5월 26일 가지었던 초급당위원회에서 금년도 고등어 증산준비사업이 완료된 기초위에 어획과 제조에 대한 협조대책을 구체적으로 토의하...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25_02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인민보_1949_060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0 렴상준 함남시 중앙리3구36번지 함남인민보사 한수룡 흥남 서호수산사업소 【흥남】 서호수산사업소 전체로동자들은 금년도 고등어 어로계획을 150%로 초과달성할 목표로 이미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어로와 가공에 총궐기하여 눈부신 작업을 진행하고...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603_03 | 책임주필렴상준
- 함남로동신문_1949_060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5월 7일부터 고등어 회유로(回遊路) 발견과 군 탐색작업에 착수하였다. 이리하여 서호수산합작사는 지난달 16일 정치망 첫루망을 실시하였으며 서호수산사업소에서는 이어 17일 도내에서 처음으로 첫 고등어잡이에 개가를 올리었다. 이에 추동된 도내 어업로동자들은 동해 창파...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03_03 | 책임주필강길모
- 강원인민보_1947_122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12월 25일 372 서창훈(徐昌勳)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서호수산조합 연말돌격전 서호수산조합은 12월 6일 현재로 연간계획량을 100%로 돌파하고 다시 초과달성하기 위하여 12월 15일 직장대회를 개최하고 당일부터...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225_03 | 날짜1947년 12월 25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기타자료(1)
- 서호취자산성(西湖嘴子山城) / 서호수자고성(西湖袖子古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서호취자산성(西湖嘴子山城) / 서호수자고성(西湖袖子古城) 중국 서호취자산성(西湖嘴子山城) / 서호수자고성(西湖袖子古城) 성곽유적 발해 흑룡강성 영안시(寧安市) 경박호(鏡泊湖) 수산양식장(水産養殖場) 서남쪽 서호취자산성....대표표제어서호취자산성(西湖嘴子山城) / 서호수자고성(西湖袖子古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서호취자산성(西湖嘴子山城) / 서호수자고성(西湖袖子古城)
주제어사전(7)
-
서호수 / 徐浩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1736∼1799). 할아버지는 종옥, 아버지는 명응이다. 어머니는 이정섭의 딸이다. 큰 아버지 명익에게 입양되었다. 1765년 식년 문과에 장원하여, 홍문관부교리·도승지·대사성·대서헌 등을 지냈다.《동국문헌비고》·《규장총목》·《국조보감》·《
-
한구자의 유래초기 / 韓構字의 由來抄記 [정치·법제]
한구자(韓構字)가 만들어진 경위를 초록한 문서. 이왕직(李王職)에서 작성한 문서. 주색의 이왕직찬집용지를 사용하였다. 한구가 죽고 1782년(정조 6)에 평안도관찰사 서호수(徐浩修)가 왕명을 받들어 그의 글씨를 자본으로 삼아 평양감영에서 8만 자의 활자를 만들어 '한
-
규장총목 / 奎章總目 [역사/조선시대사]
1781년(정조 5) 서호수가 정조의 명을 받아 편성한 규장각 장서목록. 4권 3책. 1779년 이후 규장각에 소장된 모든 서적에 대한 기초 작업이 이루어졌다. 각신 등의 노력으로 1781년 2월에 작업이 일단 마무리되자, 정조는 원임규장각제학인 서명응에게 ≪규장총목
-
서명응 / 徐命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16∼1787). 정리 증손, 할아버지는 문유, 아버지는 종옥, 어머니는 이집의 딸이다. 영의정 명선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이용후생을 추구하였는데, 이는 아들 서호수와 손
-
서유본 / 徐有本 [문학/한문학]
1762년(영조 38)∼1822년(순조 22).조선 후기의 문인. 서호수(徐浩修)의 장남이다. 서철수(徐澈修)에게 양자 간 서유구(徐有榘)와 친형제간이며,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저자로 잘 알려진 빙허각이씨(憑虛閣李氏)의 남편이다. 동생인 서유구의 「백씨좌소산인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