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행록”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恩義精神)이 숭명사대사상(崇明事大思想)으로 발전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韓國紀行文學硏究(崔康賢, 一志社, 1982) 紀行文學史의 新紀元(林基中, 文藝中央, 1978.가을호.)
  • 청계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안규용(安圭容)의 발문이 있다. [내용] 권1에 시 140여수, 권2에 잡저로 가훈십조(家訓十條)‧남유록(南遊錄)‧(西) 등의 기행록과 제문, 부록인 만시(挽詩)‧행장‧사장(事狀)‧묘지명‧전(傳)‧청계당기(...
  • 적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조 1) 4월까지의 기록임을 알 수 있다. [내용] 이 책의 내용은 제1엽에서부터 39엽 전면까지 「북정록」이 실려 있으며, 제39엽 후면부터 47엽 후면까지 「(西)」이 실려 있다. 48엽 전면부터 54엽 전면까지는 국한문 혼용의 국문가사 「...
  • 삼수헌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ㆍ2에 시 172수, 발문부(西錄跋文附) 1편, 권3ㆍ4에 서(序) 15편, 기(記) 3편, 제발(題跋) 5편, 제문 5편, 애사 1편, 잡저 1편, 부록으로 행록(行錄)ㆍ묘표ㆍ묘지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 매돈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몰락한 비애를 표현하고 있다. 4책에는 영ㆍ호남의 기승(奇勝)을 관광하며 적은 것이 담겨져 있다. 「(西錄)」은 길을 나서며 준비한 행장의 품목을 자세히 적고 있는데, 고검(古劍) 한 자루가 끼어 있어 옛 선비들이 검(劍)도 멀리하지 않았음을 알 수...

고서·고문서(3)

  • 퇴계 친필 추정 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孟秋 47.2 28.5 1매 황준량 종가 소수박물관 庚戌(1550)년에 退溪草屋喜黃仲擧來訪이란 제목으로 쓴 7언 절구 한 수와 嘉靖 辛亥(1551) 孟秋 次錦溪茅齋韻後라는 제목으로 쓴 7언 절구 세 수로 퇴계 친필인 듯하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635)과 大瓢朴魯, 通禮李元 圭가 즉석에서 지어 준 贈行詩이다. 西 4 甲子年(1684)寧邊에 判官으로 出補할 때 康候鄭維潘, 正郞인 菊窓李燦, 蘆谷鄭允穆 (1571∼1629), 豊山金孝達, 完山李實伯등 5인이 준 贈行詩5首이다. 朝天錄(1632) 6 奏...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동유록(東遊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遇陡崖橫瀉爲瀑, 下有大石受之. 中陷爲潭如槽. 右有磴路頗艱, 過此地漸坦夷, 茂樹夾澗如簇. 籃輿陰中, 花氣醉人, 鶯聲砭耳. 詠子瞻空山無人水流花開語, 宛然實際. 無何到圓通庵. 曾經光陵御幸, 朱甍畫檻, 尙存舊制. 又東北行二里, 渡一略彴, 舍輿緩步, 遇石則坐, 逢泉則漱....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하곤(李夏坤)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6)

  • / 西 [문학/고전시가]

    1828년(순조 28)김지수(金芝叟)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기행가사. 분량은 2율각 1구로 헤아려 2,710구의 장편이다. 율조는 3·4조가 주조이고, 4·4조가 부주조로 분량에 비해 잘 다듬어져 있다. 작자는 여행 동기에 대해 “원유(遠遊)를 생각해서”라고 밝히고

  • 적의 / 適宜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무신 이용의 「북정록」·「」·「북정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56장). 한문 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제1엽에서부터 39엽 전면까지 「북정록」이 실려 있으며, 제39엽 후면부터 47엽 후면까지 「(西)」이 실려 있다. 48엽 전면부터 54

  • 청계당유고 / 聽溪堂遺稿 [문학/한문학]

    이 있고, 권말에 안규용(安圭容)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40여수, 권2에 잡저로 가훈십조(家訓十條)·남유록(南遊錄)·(西) 등의 기행록과 제문, 부록인 만시(挽詩)·행장·사장(事狀)·묘지명·전(傳)·청계당기(聽溪堂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낙천문집 / 洛川文集 [종교·철학/유학]

    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5수, 부 9편, 서(書) 3편, 제문 1편, 행록 2편, 묘갈 4편, 잡저 2편, 권2는 부록으로 언행록 1편, 후(後) 1편, 행장 1편, 문인찬술 3편, 만장 1수, 소 4편, 정순상문(呈巡相文) 2편, 제음(題

  • 나헌집 / 懦軒集 [종교·철학/유학]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9수, 소차(疏箚) 43편, 권3에 계사(啓辭) 18편, 전(箋) 1편, 첩(帖) 1편, 제문 3편, 심중일기(瀋中日記)·신사(辛巳西)·심중기문(瀋中記聞), 권4∼6에 부록으로 연보·남한일기(南漢日記)·정원일기(政院日記)·춘방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