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해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9)
사전(139)
- 서해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5도의 하나. [개설] 지금의 황해도 지방에 비정된다. 태조 때 고려의 영역이 되었으며, 995년(성종 14)에 10도제(十道制)를 실시할 때 관내도(關內道)에 소속되었고, 1018년(현종 9)에 서해도로 되었다. 『고려...
- 사이카이도(西海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033 제도 사이카이도(西海道) 사이카이도 西海道 규주(九州)와 그 주변의 섬들을 가리키는 행정구분. 서해도(西海道). 또는 오기칠도(五畿七道)의 사이카이도를 통과하는 간선도로를 의미하기도 한다. 율령제에서의 오기칠도 중 하나이며...유형분류제도
- 안란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서해도(西海道) 장연현(長淵縣) 해위포(海葦浦)에 설치하였던 조창. [내용] 조창의 설치시기는 창고 행정이 강화되는 1066년(문종 20)경으로 추측되며, 창고에는 감독관으로서 판관이 파견되고 있다. 본래 고려에는 남도(...
- 오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패서도(浿西道)를 현종 때 5도양계, 즉 양광도(楊廣道)ㆍ경상도(慶尙道)ㆍ전라도(全羅道)ㆍ교주도(交州道)ㆍ서해도(西海道)와 동계(東界)ㆍ서계(西界)로 개편하였다. 10도는 본래 당의 10도제를 모방한 것으로 명칭도 대개 당의 도명을 그대로 채용했으나 이 때에...
- 대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서경(西京)의 속관(屬官). [내용] 서해도(西海道)의 세미(稅米)를 운반, 저장하였다가 서경관(西京官)들의 녹봉을 지급하였다. 1088년(선종 5) 이미 그 존재가 확인되므로, 아마도 녹봉제가 정비되는 문종 때에 설치되었을 것...
고서·고문서(124)
-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한, 도발, 비행기, 습격,...대표표제어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도발, 비행기, 습격, 납북, 무장선, 침입, 격침, 납치, 포격, 침몰, 경비정, 침범, 함포, 간첩선
-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비행기, 습격 1900년대...대표표제어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비행기, 습격
-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납북 1900년대 02...대표표제어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납북
-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한, 무장선, 침입, 포격,...대표표제어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무장선, 침입, 포격, 격침
-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한, 교전 1900년대 ...대표표제어북한측 서해도발 일지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교전
기초학문(1)
-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과 사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창현, 게재일 : 200825283 김창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8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과 사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2)
- 조선신문_1948_032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티여 푸르게 웃는데 굴둑에서 터질 듯 연기 솟고 돌격전이 불타오르노니 그 빛 받아 앞길 밝히며 해방 후의 내 길을 도리켜보노라 기억의 지도를 펴들고 선전공작의 길을 찾노라면 골짜기도 벌판도 일어서고 트럭의 벅찬 숨소리며 반빙의 서해도― 그러면 밀물의 십 리 길도 버러...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323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민주청년_1953_0219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는 빛나는 전과를 거두었다. 서해안을 철벽같이 방어하고 있는 김동원 동무 해안포 중대원들도 서해도서 10여개를 해방시키는 전투에서 적대소함선 19척을 격침격파하는 혁혁한 전투적 위훈을 세웠다. 지난 0월 0일 아침 적 대소 함선 무리들이 김동원 동무 중대 포진지 앞...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3_0219_03 | 책임주필리두진
기타자료(3)
- 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일본 【번역】 (겨울 10월) 병진(23일), 고려사신을 대재부 대재(大宰): 대재부의 약칭. 7세기 후반에 규슈의 치쿠젠국(筑前國)에 설치된 지방행정기관이다. 8세기에는 외교와 방위를 주된 임무로 하였고, 서해도(西海道) 9국(筑前, 筑後, 豊前, 豊後,...대표표제어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9년(己亥/신라 경덕왕 18/발해 문왕 大興 23/唐 肅宗 乾元 2/日本 淳仁天皇 天平寶字 3)
- 대당통사 장건충이 발해국인 최종좌 등의 내항 사유를 심문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14) 발해 발해→일본 【번역】 (가을 7월) 8일 경오일에 (…) 이에 앞서 대재부에서 역마를 달려 아뢰었다. “발해국인 최종좌(崔宗佐)·문손재(門孫宰) 등이 표류하다가 비후국(肥後國) 일본 서해도(西海道)에 있던 국(國)의 하나이다. 비후국(肥後國)은 나...대표표제어대당통사 장건충이 발해국인 최종좌 등의 내항 사유를 심문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玄錫 2/唐 懿宗 咸通 13/日本 清和天皇 貞觀 14)
- 발해국인 최종좌 등이 살마국에 표착함을 알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해 발해→일본 【번역】 (5월) 27일 경인일, 이에 앞서 대재부에서 아뢰었다. “지난 3월 11일 어느 곳 사람인지 알지 못하는 사람들 60명이 배 두 척에 타고 살마국(薩摩國) 일본 서해도(西海道)에 있던 국(國)의 하나로, 702년에 일어난 하야토(隼人)와...대표표제어발해국인 최종좌 등이 살마국에 표착함을 알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玄錫 2/唐 懿宗 咸通 13/日本 清和天皇 貞觀 14)
주제어사전(6)
-
서해도 / 西海道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5도의 하나. 지금의 황해도 지방에 비정된다. 태조 때 고려의 영역이 되었으며, 995년(성종 14)에 10도제를 실시할 때 관내도에 소속되었고, 1018년(현종 9)에 서해도로 되었다. ≪고려사≫ 지리지에 나타난 이 때의 서해도 관할구역은 1대도호부 1목
-
황해도 / 黃海道 [지리/자연지리]
지명. 조선 팔도의 하나. 태조 3년 6월에 서해도(西海道)가 풍해도(豊海道)로 개칭되고, 다시 태종 17년 12월에 풍해도가 황해도(黃海道)로 개칭되었다.
-
안란창 / 安瀾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서해도 장연현 해위포에 설치하였던 조창. 설치시기는 1066년(문종 20)경으로 추측된다. 감독관으로서 판관이 파견되고 있다. 본래 고려에는 남도에 12개소의 조창이 있어 세곡을 운송, 보관하고 있었는데, 문종 때에 이르러 지배체제가 완성되면서 서해도방면에
-
서림 / 西林 [지리/인문지리]
는 몫을 하였다. 원종 때 일본에서 송나라로 가던 배가 표류하여 이곳에 상륙한 적이 있었고, 서해도(西海道)의 전함이 이곳을 지나다 태풍에 함몰한 적도 있었으며, 고려 후기 왜구의 침입이 있었던 곳이다.
-
덕적도패총 / 德積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에 있는 조개더미 유적. 1954년 국립박물관에서 실시한 서해도서조사를 통하여 덕적도를 비롯한 소야도(蘇爺島)·승봉도(昇鳳島) 등에서 빗살무늬토기가 나오는 패총의 소재가 알려졌으며, 1967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중심으로 자세한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