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학” 에 대한 검색결과 1,5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84)

사전(547)

  • 유중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웠으며, 김평묵(金平默)도 스승으로 섬겼고, 집안 형인 유중교(柳重敎)의 문하에서 수업하기도 하였다. 집안 조카인 유인석(柳麟錫)과 동문으로 화파(華西派)에 속하였다. 화파 안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이 일어나 김평묵 계열과 유중교 계열이 대립하였을 때 유중교...
    이칭별칭 백현(伯賢)| 항와(恒窩)
  • 후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붕(鵬)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49년 손자 치동(致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문석린(文錫麟)의 서문이, 권말에 치동의 발문이 있다. 뒤표지에 분질기(分帙記)가 기록되어 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통일신라시대에 우리 나라 사람이 중국에 유학하던 행위, 또는 그 학문. [개설] 현존하는 자료에 따르면, (西)이라는 용어는 신라 하대(下代) 지식인들이 처음 사용했으며, 일연(一然)이『삼국유사(三國遺事)』의 제목 중 하나를 ‘원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선조 이후 중국에서 도입된 한역(漢譯) 서양 학술서적과 서양 과학기술문물과 이를 토대로 연구하던 학문. 조선이라고도 한다. [내용]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명말‧청초의 중국에서 포교활동에 종사하던 예수회(耶蘇會, Socie...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잡업을 가르치는 율학(律學)ㆍㆍ산학(算學) 등 여섯 개의 학식이 있었다. 의 입학 자격은 율학ㆍ산학과 마찬가지로 8품 이하 관리의 아들 및 서인(庶人), 그리고 7품 이상 관리의 아들 가운데 원하는 사람에게 허용되었다. 관원으로는 종9품의 박사 2인이...

단행본(4)

  • 저자 : 이봉규, 한정길, 이원석, 엄연석, 양일모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이 책은 조선시대에 연행사절 혹은 다른 방식을 통해 서양의 종교와 학문을 수용한 사상가들을 중심으로 서학의 충격과 접변이라는 관점에서 조선시대 후기 사상가들이 서학을 형상화하는 방식 서학의 세계상에 대해 보인 반응을 조명하였다.
  • 파의 심설논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엮음 ... | 출판사 : 문사철 | 출판일 : 202201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심설논쟁아카이브 작업의 부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항로와 화서학파 학인들의 학문 사상에 대해서는 학계의 연구가 상당수 집적되었다. 그동안 발표되었던 논문 가운데 수작(秀作)이라고 할 만한 것, 연구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
  • 조선후기 심설논쟁 화파-표점, 해제, 선역-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11230
    이 책은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자료의 수집 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사업의 결과물로서, 총 4권의 자료집 가운데 제2권에 해당한다.이 책은 간재학파의 전우, 곽종석, 김준영, 오진영, 최병심, 남진영, 권순명, 유영선의 심설논변 자료이다. 이 책의 뒤편에는 이 ...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왕실고문서의 문적 맥락

논문(6)

고서·고문서(306)

구술자료(1)

기초학문(117)

  • 『性理精義』와 西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2072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2 『性理精義』와 西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조선의 문명 의식과 의 변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선희, 게재일 : 2014
    54133 김선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학연구원 2014 조선의 문명 의식과 의 변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중국 근대불교의 西의 흡수와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제란, 게재일 : 2008
    26103 김제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학회 2008 중국 근대불교의 西의 흡수와 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周髀算經』과 西中源說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60926 한국연구재단 韓國實學學會 2009 『周髀算經』과 西中源說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淸代 前期 西 受容의 형식과 외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2297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10 淸代 前期 西 受容의 형식과 외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62)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학부에셔 학무 시찰로대구부에도착학무국장유셩쥰씨의계 뎐보야 작일에셜 대구군 공립학교 락셩식에 학부표로 진참관광게 라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일진회에서 학교를 셜시고 학원을 모집 관찰 구영조씨가 학 뎡침으로 본부악공쳥을 허급야 학원이 오십여명이라 지부회쟝 최영구씨가 교쟝이오 거원의씨가 조습으로 교육에 열심야 쟝 쟝진지망이 잇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西生派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황뎨셔 칙유를 나리셧는데 일본에 유학는쟈는 불소되 태셔각국은 도로가멀고 경비가 만음으로 유학을 파송이 젹으니 인를 양셩고 풍긔를 발명케 진 각춍독과 슌무는 단졍 학을 션야 경비를 쟈급야 셔양 각국에 파송케라 셧다더라
    게재일1902년 10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本人이西峴을나會洞德舘뒤小洋屋으로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西峴을나會洞德舘뒤小洋屋으로移徙엿오니知舊照亮시오 彌倫斯 고
    게재일1904년 12월 3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西峴을나會洞德舘뒤小洋屋으로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西峴을나會洞德舘뒤小洋屋으로移徙엿오니知舊照亮시오 彌倫斯 고
    게재일1904년 12월 1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398)

  • 실학의 수용_7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北学(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43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실학의 수용_7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北学(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44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실학의 수용_7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北学(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45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실학의 수용_7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北学(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46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실학의 수용_7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北学(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47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기타자료(43)

  • 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499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68면 - 길;吉 소화12년 3월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6091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102면 2. 재학생씨명;14) 예과(문과, 공과) (31명) 근;根 경남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5327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5면 산;山 경성부 竝木町 1 1935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553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20면 산;山 경성부 竝木町 1 1938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07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5면 균;均 대구부 鳳山町 1914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24)

  • / 西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선조 이후 중국에서 도입된 한역(漢譯) 서양 학술서적과 서양 과학기술문물과 이를 토대로 연구하던 학문. 조선이라고도 한다.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명말·청초의 중국에서 포교활동에 종사하던 예수회(耶蘇會, Society of Jesus) 소속의 카톨릭

  • 당 / 東西 [교육/교육]

    1261년(원종 2) 강도에 설치된 중등 정도의 관립교육기관. 유학의 진흥을 위하여 지방 향교에 대신하여 중앙의 동쪽과 서쪽에 설립되었다. 개경으로 환도한 지 2년째인 1272년에는 그 운영책임자격인 별감을 각 1인씩 임명하였다. 동당은 중국에서도 볼 수 없는

  • 천주교 / 天主敎 [종교·철학/천주교]

    로마 교황을 교회의 대표자로 인정하는 종교. 공식명칭은 가톨릭교회(Catholic Church) 또는 로마가톨릭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다. 천주교신앙은 절대자인 하느님과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를 대상으로 한다.

  • 권철신 / 權哲身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천주교인(1736∼1801). 남인계의 학자들과 교리연구회를 가지면서 천주교에 입교, 암브로시오라는 교명으로 세례를 받았다. 이익의 제자로 남인학파의 연장자이며 지도자로서 가족들과 함께 천주교에 입교하여 신앙을 지키다가 순교한 파의 대가로

  • 박세화 / 朴世和 [종교·철학/유학]

    1834년(순조 34)∼1910년. 한말의 의병. 경상 8세손, 어머니는 우씨이다. 정통의 위정척사계열 학자로서 (西)의 전파에 대하여 우려하였다. 1895년 영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는 등 개혁정치에 반대하였다. 또한 을미사변과 단발령 등 일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