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필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0)
사전(40)
- 육곡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서필원(徐必遠)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65년(고종 2) 6대손 영지(榮智)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약우(李若愚)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기찬(金基纘)과 영지의 발문이 있다....
- 서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필원 필적 1614(광해군 6)∼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근묵≫에서.이칭별칭 재이(載邇)| 육곡(六谷)| 정헌(貞憲)
- 박태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력(江華府經歷) 세교(世橋)이며, 어머니는 의빈부도사 이서기(李碩基)의 딸이다. 처가 서필원(徐必遠)의 딸이다. 1684년(숙종 10)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이 되었으며, 1686년 이후 홍문관의 부교리(副校理)‧교리‧수찬...이칭별칭 일경(一卿)| 부남(部南)
- 이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니는 이찬(李璨)의 딸이다. [내용]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지평ㆍ정언ㆍ장령ㆍ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1664년(현종 5) 서필원(徐必遠)의 상소를 두고 준론(峻論 : 강경한 대처론)과 완론(緩論 : 온건한 대처론)...이칭별칭 퇴숙(退叔)
- 궁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연말 추위. 承審窮寒侍履政候平善 仰慰如何, 서필원(徐必遠), 3-10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30)
- 1 第一統統首徐必遠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31년_온화면(溫北面) 1831년 온화면(溫北面) 第七店里里 1 第一統統首徐必遠 第一戶 瓮器匠徐必遠年參拾肆戊午本大邱父東采祖儉之曾祖興宅外祖朴春熙本密陽妻吳姓年 參拾參己未本海州父大元祖尙用曾祖重宣外祖劉應昊本廣州等戊子戶口相准 第二戶 瓮器匠李德千年伍拾壹辛...연도_면이름1831년_온화면(溫北面) | 면이름온화면(溫北面) | 마을이름第七店里里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116 B01311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9年 2月 25日_011 本道監司, 嚴刑三次, 如其不死, 則定配南方, 可也。 領議政鄭太和所啓, 江華所捧租一萬七千石, 此租乃還米一石之代, 收捧二石者也。 留守徐必遠, 擇實收捧之說, 臣亦聞之矣。 分給京畿各邑, 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986 B01298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9年 2月 25日_011 本道監司, 嚴刑三次, 如其不死, 則定配南方, 可也。 領議政鄭太和所啓, 江華所捧租一萬七千石, 此租乃還米一石之代, 收捧二石者也。 留守徐必遠, 擇實收捧之說, 臣亦聞之矣。 分給京畿各邑, 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036 B01703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顯宗實錄 九年(1668) 二月 현종실록_10902011_004 ○江華府人民年九十以上者, 命加資賜食物, 從留守徐必遠之請也。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049 B01704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顯宗改修實錄 九年(1668) 二月 현종개수실록_10902011_004 ○江華府人民年九十以上者, 命加資賜食物, 從留守徐必遠之請也。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