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창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1)
- 사천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서창경(徐昌鏡)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21년(순조 21) 서창경의 아들 서홍윤(徐弘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황용한(黃龍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인행(李仁行)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고서·고문서(5)
- 사천문집(沙川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49년 오경리(吳慶履) 시권(試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49년(헌종15)의식년문과에 응시한 오경리가전시에서창경궁의춘당대에 대해 글을 지은 과거시험 답안지이다. 오경리는 이 과거에서 병과 23인으로 급제하였다.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광주 해주오씨 오철환
- 서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있다. 家狀 9 저자의 아들 徐弘胤이 追補한 家狀이다. 趙述道가 쓴 저자의 행장보다 先世의 내력이 조금 더 상세하지만, 집안 전체의 家狀이라기 보다 부친 서창경 개인의 遺事에 해당한다. 이 家狀은 저자가 사망한 이듬해인 1800년 (정조 24)그의 아들 弘胤이 부친...분야문학 | 유형문헌
- 오산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당시에 홍덕전은 저자에게 서당에 대한 기록을 지으라고 하였지만 저자는 사양한 적이 있었다. 홍덕전의 사후에 저자가 서당의 堂任이 되었을 때 홍덕전의 아우 洪得全과 서만 유의 아들 徐昌鏡과 홍덕전의 가르침에 대해 말하게 되었고, 이에 이 글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達城...분야문학 | 유형문헌
- 신야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은 徐昌鏡1726(영조 2)~1799(정조 23)이다. 서창경은 영주 사천출신으로 이상정의 문인이다. 書金孝子家狀後 22 영주출신의 金爀이 그 부친의 孝行要撰을 가지고 와서 글을 청하므로 써준 것이다. 書丁美庸贈言後 23 정약용이 쓴 필첩에 후지를 붙인 것이다. 정약...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서창경 / 徐昌鏡 [종교·철학/유학]
1726(영조 2) ~ 1799(정조 23). 증조는 공완, 조부는 명구이다. 1762년(영조 38)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대나무ㆍ국화ㆍ파초를 심어 자신의 뜻을 붙이고,봄가을 경치가 좋을 때 산책하며 시를 읊조리면서 일체의 세미에는 담박하였다. 평생을 독행으로 일관하며
-
사천집 / 沙川集 [종교·철학/유학]
서창경의 문집. 목활자본, 서:황룡한(1809), 발:이인행(1833), 4권2책. 1821년(순조 21)저자의 아들 서홍윤이 부록을 포함 총 4권 2책으로 편집간행하였다. 권1에는 시 26제 82수ㆍ만10제 12수ㆍ애사 1편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서 16편이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