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적전” 에 대한 검색결과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라 전자를 , 후자를 동적전이라 칭하게 되었다. 그 뒤 국왕의 친경은 동적전에서만 단속적으로 거행되었으며, 또 종묘‧사직 등에 공궤하는 자성(粢盛 : 국가의 큰 제사에 쓰는 차기장과 메기장)도 동적전에서의 수확으로써만 충당하게 되었으므로, 의 것은 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성에 둔 적전(籍田)으로, 임금이 농작물을 신에게 바칠 목적으로 친히 농사를 짓던 논밭
    정의개성에 둔 적전(籍田)으로, 임금이 농작물을 신에게 바칠 목적으로 친히 농사를 짓던 논밭 | 문광부표기Seojeokjeon | MR표기Sŏjŏkch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적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수도 한성의 흥인문(興仁門) 밖에 설정되어 있엇던 적전. [내용] 조선 태종 때 옛 수도인 개성 교외에 설치한 (西)에 대칭하여 부른 이름이다. 동‧서 적전의 합계가 400결(結)이고 이 300결이었으므로 동적전은...
  • TD_E4_D_0383 築土爲標 정책-제도 東西, 創置年久, 經界湮沒, 朝廷, 監筭量, 樹木, 不敢侵犯 金安國 慕齋行狀 D_11_05_43 대동운부군옥 11권 5장 4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5장 4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적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태종 때 옛 서울 개성의 보정문(保定門) 밖에 (西) 약 300결(結)을 설치하였다. 이는 고려 말의 권신 임견미(林堅味)‧염흥방(廉興邦) 등의 토지를 몰수한 것이었다. 또 한성의 흥인문(興仁門) 밖에 동적전(東籍田) 약 100결을 설정하였다.

고서·고문서(22)

  • 內需司 文績類_제7책 109. 雍正三年-乙巳-三月十七日從侄李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4575 奎 19312 內需司 文績類 제7책 07-109 109. 雍正三年-乙巳-三月十七日從侄李明文 토지매매문기 1 107-112 63.7x44.2 한지, 관인, 수결 1장, 63.7x44.2cm(가로x세로), 한...
    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忠淸道庄土文績_제33책 : 忠淸南道禮山郡所在庄土英親王宮提出圖書文績類 144. 康熙四十三年-甲申-十月二十一日郭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2570 奎 19300 忠淸道庄土文績 제33책 : 忠淸南道禮山郡所在庄土英親王宮提出圖書文績類 33-144 144. 康熙四十三年-甲申-十月二十一日郭明文 토지매매문기 1 47.6x57.6 한지, 관인 무, 수결 , 일부 탈락 ...
    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7295 B017295 강화창 江華倉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5年 3月 30日_008 ○又以戶曹言啓曰, 備邊司啓辭節該, 開城府撥軍料豆, 以江華所儲, 計數分給事, 允下矣。 江華倉本曹堂上·郞廳, 封閑之庫, 不可以此委遣郞廳, 本曹及西題給種子等物, 今將受去, 自京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297 B017297 강화창 江華倉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5年 3月 30日_008 ○又以戶曹言啓曰, 備邊司啓辭節該, 開城府撥軍料豆, 以江華所儲, 計數分給事, 允下矣。 江華倉本曹堂上·郞廳, 封閑之庫, 不可以此委遣郞廳, 本曹及西題給種子等物, 今將受去, 自京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68 B00726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6年 2月 13日_020 ○今日引見時, 戶曹判書睦來善所啓, 奉常寺所管西穀物, 多至於數千餘石, 而計除祭享所用及還上分給之數, 尙有千餘石穀。 欲以此移置於江都戶曹庫, 以爲補用軍餉之資, 已議於本寺都提調, 則亦以爲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6)

주제어사전(2)

  • / 西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개성의 동남문인 보정문 밖 20리에 설치되어 있었던 적전. 조선 태종 때 국왕의 친경의례를 위해 신왕조의 수도인 한성의 흥인문 밖에 새로 적전을 설치함에 따라 전자를 , 후자를 동적전이라 칭하게 되었다. 그 뒤 국왕의 친경은 동적전에서만 단속적으로 거행

  • 동적전 / 東籍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수도 한성의 흥인문 밖에 설정되어 있엇던 적전. 조선 태종 때 옛 수도인 개성 교외에 설치한 에 대칭하여 부른 이름이다. 동·서 적전의 합계가 400결이고 이 300결이었으므로 동적전은 100결 정도의 규모이었다. 국왕의 친경시범은 자연 동적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