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응순”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4(순조 24)∼1880(고종 17). 조선 말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여심(汝心). 호는 경당(絧堂). 달성부원군 종제(宗悌)의 후손이다. 유신환(兪莘煥)의 문하에서 심기택(沈琦澤)ㆍ민태호(閔台鎬)ㆍ김윤...
    이칭별칭 여심(汝心)| 경당(絅堂)
  • 소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데, 「김광유동상금강산(金光有同賞金剛山)」을 비롯해 「칠월기망범경포(七月旣望泛鏡浦)」‧「구룡연(九龍淵)」‧「옥류동(玉流洞)」‧「낙산사(洛山寺)」‧「관음굴(觀音窟)」‧「등단양이요정(登丹陽二樂亭)」 등이다. 시어가 자연스럽고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동정...
  • 경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납활자본. 1887년(고종 24)에 아들 상봉(相鳳)‧상학(相鶴)과 그의 학우였던 김윤식(金允植)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상수(李象秀)‧한장석(韓章...
  • 석초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渾天圖記)」가 있다. 「금강일기」는 1879년 윤3월 16일부터 4월 17일까지 ()ㆍ김종구(金宗耉) 등과 금강산을 유람한 일기이다. 「화사평림」은 화훼(花卉)에 대한 평전으로, 화왕본기(花王本紀)ㆍ죽군세가(竹君世家)ㆍ매비강도열전(梅妃絳桃列傳)ㆍ경란...
  • 원도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면호(李冕鎬)의 유교관계 저서.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1868년(고종 5) 무교서방(武橋書坊)에서 초간되었고, 1871년 중암서옥(重嵒書屋)에서 중간되었다. 초간본에는 권두에 저자의 서문과 권말에 (...

고서·고문서(4)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250 0622_01 達城世稿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시문집, 徐宅鎬, , 達城世稿 한자 전적 목활자본 徐宅鎬, 선장본 1923년 29.8 19.9 1책 이전...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경당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絅堂遺稿序 李象秀가 쓴 서문이다. 의 孝友와 학문에 매진하는 인간됨을 서술하면서 그의 사람됨은 古人에 가까우며 그의 시문 또한 古詩와 古文이라고 요약하였다. 絅堂遺稿序 韓章錫이 쓴 서문이다. 이 세상을 떠난 지 7년 뒤에 아들 相鳳과 相鶴이 의...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주역대전 : 해제_55. 박문호(朴文鎬)의 「경설(經說)‧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異論)에 관한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호산집(壺山集)』 권11~권26에 보이는 ()‧송병선(宋秉璿)‧송근수(宋近洙)‧한장석(韓章錫)‧최익현(崔益鉉)‧강위(姜瑋)‧전우(田愚)‧양필성(梁必成)‧윤경조(尹景組)‧김경주(金敬周) 등과의 서신에서 그의 철학사상의 대강...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824년(순조 24)∼1880년(고종 17).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달성부원군 종제의 후손이다. 유신환의 문하에서 심기택·민태호·김윤식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1870년(고종 7) 음보로 선공감감역·군자감봉사·영춘현감, 간성군수로 부임하여 임지에서 죽었다. 성긴

  • 심기택 / 沈琦澤 [종교·철학/유학]

    1826년(순조 26)~미상. 조선 말기 문신. 부친은 심의응, 생부는 심의유이다. 형 심경택이 있다. 유신환의 문하에서 ‧민태호‧김윤식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1883년(고종 20) 별시 문과에 병과 7위로 급제하였으며, 1886년(고종 23) 중시 문과에 장

  • 이상수 / 李象秀 [종교·철학/유학]

    1820년(순조 20)∼1882년(고종 19). 조선 말기의 학자. 연주의 아들, 어머니는 윤씨이다. 한원진의 학통을 이은 호론에 속하였다. 동문으로 민상호·성기운· 등이 있고, 임헌회와도 교우, 또한 윤정현·신헌과 같은 노론인사들과도 친숙하였다. 1855년(

  • 경당유고 / 絅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의 시문집. 4권 2책. 납활자본. 1887년(고종 24)에 아들 서상봉·서상학과 그의 학우였던 김윤식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상수·한장석·이응진 등의 서문, 권말에 김윤식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93수, 권2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