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유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6)
사전(174)
- 서유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林園十六志解題(姜萬吉, 韓國의 古典百選, 新東亞, 1969.1.) 林園十六志(劉元東, 韓國의 名著) 서유구(1764-1845) 1764(영조 40)-1845(헌종 11) 조선후기의 문신. 관찰사, 이...이칭별칭 준평(準平)| 풍석(楓石)| 문간(文簡)
- 종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4년(순조 34) 서유구(徐有榘)가 고구마 재배와 그 이용에 관하여 기술한 책. [서지적 사항] 인본(印本) 또는 필사본. 여러 책이 전하는데, 규장각 소장의 것으로 보면, 목활자본 1책으로 크기는 세로 29.6㎝, 가로 18.9㎝...
- 상서강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제22대왕 정조가 『서경』 가운데 의심스러운 것에 대해 경연에서 조신(朝臣)들과 문답한 내용들을 초계문신(抄啓文臣) 서형수(徐瀅修)ㆍ서유구(徐有榘) 등에 명하여 편집한 책. [내용] 불분권 1책(53장).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이칭별칭어제서전조문(御製書傳條問)|상서강의조문(尙書講義條問)|서경강의(書經講義)
- 선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부채를 보내는 인편. 簿書紛叢 殆難抵敵 悶然悶然 玆因扇便略探 不備, 서유구(徐有.), 44-33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명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끝이 아스라한 바다. 滄桑不須提說 南來以後 溟涬入眸益不禁滔滔神馳, 서유구(徐有.), 44-33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2)
- 임원경제지와 조선의 일용기술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전종욱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1004서유구를 볼 때 그가 얼마나 거대한 통합을 기획했던가 하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는 맹자 이후 정당화되었던 지배자와 피지배자, 노력자와 노심자의 나뉨을 통합하고 차별을 해소하여 새로운 인간형의 탄생을 소망했다. 식력(食力)과 양지(養志)를...
- 19세기 지방재정 운영(근대전환기 국가와 민01)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성균관대학교]저자 : 손병규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80425본서의 주제인 ‘19세기 지방재정’은 ‘다양한 근대’의 실상을 조선왕조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전개과정으로부터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집권적 통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경제활동은 민의 경제생활에 근거한다. 국가와 민 사이의 권력구도를 결정짓는 조선왕조적 재정의 ...
고서·고문서(36)
- 1834년 서유구(徐有榘)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34년(순조34) 徐有榘가 진사 진사 河百源에게 보낸 서간이다. 전라감사서유구가 가뭄이 심해지자, 同福縣 野沙里에 살던 하백원에게자승차도해(自升車圖解)에 따라 자승차(자동 양수기) 제작에 참여해 줄 것을 호소한 내용이 들어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1834년 서유구(徐有榘)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34년(순조34)5월 18일에 서유구가 진사 하백원에게 답한 서간이다. 하백원이 자승차 제작에 난색을 표명하자, 전라감사서유구는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백원의 지도하에 속히 완성하는 길 밖에 없다고 거듭 촉구한 내용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1834년 서유구(徐有榘)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34년(순조34)7월 9일에 서유구가 진사 하백원에게 보낸 서간이다. 서유구는 하백원의자승차도설(自升車圖說)은 정밀하고 오묘하기가 비할 데 없는 저술이라고 말하고, 마침 이조판서가 숨은 인재를 발굴하여 천거하면서 하백원의 이름도 올렸으니 은명을 따르도록 권유하고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임원십육지인용서목(林園十六志引用書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출판/인쇄-서목 | 형식분류고서-서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누판고(鏤版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출판/인쇄 | 형식분류고서-서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欽定詩經傅説彙纂 이 徐瀅修와 徐有榘의 『時經』 解釋에 끼친 影響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7845 한국연구재단 근역한문학회 2014 欽定詩經傅説彙纂 이 徐瀅修와 徐有榘의 『時經』 解釋에 끼친 影響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2)
- 도서_1964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가치의 세계 정진숙 1 <행포지> 권5 서유구 3 000씨 파...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4
- 우리들_1974_09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고전 다이제스트 (24)-서유구의 임원십육지 73 세계의 지붕밑 (24)-면양 오스트레일리아 박진영 76 미덕 얻은 보은-내 고장의 전설 (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4
기타자료(1)
- 충주 장미산성 - 1차 발굴조사 보고서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물실측:한선경,김화정,나상철,장홍선,정장욱/검토:차용걸 차용걸,조유전,이강승,심정보,고수길,김현길,양기석,박상일,이규근,박중균,김병희,조순흠,한선경,김화정,나상철,장혼선,정장욱 유구유물실측:한선경,김화정,나상철,장홍성,정장욱/사진:이규근/보고서유구설명:이규근/유...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연구과제(2)
-
한국 근세의 자연관찰자들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노상호 | 이화여자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10)
-
서유구 / 徐有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64∼1845). 1790년(정조 14)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흉년을 극복하기 위해 고구마를 실제보급하기도 하였고, 자신의 농학을 집대성하여 만년에 《임원경제지》를 저술하였다.
-
임원경제지 / 林園經濟志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徐有榘)가 저술한 박물학서.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듯이, 전원생활을 하는 선비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기예와 취미를 기르는 백과전서로 생활과학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책은 113권을 16개 부문으로 나눈 논저로 이루어졌다
-
서유본 / 徐有本 [문학/한문학]
1762년(영조 38)∼1822년(순조 22).조선 후기의 문인. 서호수(徐浩修)의 장남이다. 서철수(徐澈修)에게 양자 간 서유구(徐有榘)와 친형제간이며,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저자로 잘 알려진 빙허각이씨(憑虛閣李氏)의 남편이다. 동생인 서유구의 「백씨좌소산인묘
-
서명응 / 徐命膺 [종교·철학/유학]
자 서유구에게 이어졌다. 저서로《보만재총서》·《보만재집》 등이 있다.
-
이만운 / 李萬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3∼1797). 이경갑의 아들이다. 이덕무 등 실학자와 교유하였다. 1782년(정조 6)《문헌비고》의 개정에 참여, 1790년에《증보문헌비고》 초고를 완성하였다. 1796년 서유구 등과 함께 《문헌비고》 재보완 작업에 착수하였으나 이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