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운관” 에 대한 검색결과 3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1)

사전(313)

  • 영관상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상감 소속의 정1품 관직. [내용] 관상감의 명목상 책임관이다. 관상감영사라고도 하였다. 정원은 1인이다. 영의정이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 관상감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까지 ()으로 불리었고 장관으로 판사(判事)...
    이칭별칭관상감영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觀候署) 등의 명칭으로 바뀌어오다가 1308년(충렬왕 34) 으로 개칭되었다. 당시의 관원은 정3품에 해당하는 제점(提點) 1인의 책임 아래 20인에 이르는 직원으로 구성되었다. 고려시대의 은 천문대로서 개성에 첨성대를 가지고 일식과 월식, 5행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정조 때의 천문학자 성주덕(成周悳)이 의 내력과 천문‧지리‧역법(曆法)‧기상관측에 관한 사실을 기록한 책. [내용] 4권 2책. 목판본. 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까지 천문 기상학의 본산이었다. 세조 때 관상감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정조 때의 천문학자 성주덕(成周悳, 1760-?)이 서운관의 내력과 천문‧지리‧역법(曆法)‧기상관측에 관한 사실을 기록한 책.
    정의조선 정조 때의 천문학자 성주덕(成周悳, 1760-?)이 서운관의 내력과 천문‧지리‧역법(曆法)‧기상관측에 관한 사실을 기록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eoun-gwan ji | MR표기Sŏun’gwan ch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천문과 기상관측 등을 관장하던 관서.
    정의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천문과 기상관측 등을 관장하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eoun-gwan | MR표기Sŏun’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한국의 술수과학과 문명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
    저자 : 박권수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920
    ‘술수과학(術數科學)’이라는 말은 과연 가능한가? ‘술수과학’이라는 용어는 그 자체로 모순적인 말처럼 들릴 수가 있다. ‘술수’와 관련된 지식들은 통상 비과학적인 것으로만 취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술수의 지식들은 일종의 과학적 지식이면서 동시에 비과학적 지...

고서·고문서(26)

  • 1376년 이자수(李子脩) 조사첩(朝謝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6년(우왕 2) 10월에 봉순대부 판사로 임명된 이자수에 대하여 조사(朝謝)를 마쳤음을 인준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같은 해 7월 12일에 봉순대부 판사로 임명된 이자수에 대하여 10월에 사헌부녹사안천수가 조사 시행을 요구하는 첩(帖)을 밀직사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68489 B068489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世宗實錄 十六年(1434) 秋七月 세종실록_11607001_004 範圍不忒。 念玆寸陰, 用熙庶績。 折柳其藩, 民自不惑。 爰立準程, 昭示無極。○報漏閣置新漏, 使生, 更迭入直監之。 慶會樓南門、月華門、勤政門, 各置金鼓, 光...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82년 이자수(李子脩) 조사첩(朝謝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2년(우왕 8) 11월에 통헌대부 판전의사사로 임명된 이자수에 대하여 조사(朝謝)를 마쳤음을 인준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같은 해 3월 25일에 봉순대부 판사로 임명된 이자수에 대하여 11월에 사헌부녹사최자림가 조사 시행을 요구하는 첩(帖)을 전리사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49524 B049524 덕진 德津 군사교통 世祖實錄 三年(1457) 八月 세조실록_10308002_003 ○以世子疾, 遣行上護軍金守溫于昭格殿, 行上護軍李重于松岳, 行上護軍李延孫于紺岳, 判事梁誠之于大井, 判司宰監事成任于德津、楊津、德積島, 降香祝祈禱。
    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228 B049228 덕적도 德積島 도서 인천광역시 世祖實錄 三年(1457) 八月 세조실록_10308002_003 ○以世子疾, 遣行上護軍金守溫于昭格殿, 行上護軍李重于松岳, 行上護軍李延孫于紺岳, 判事梁誠之于大井, 判司宰監事成任于德津、楊津、德積島, 降香祝祈禱。
    출처전거世祖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9)

  • / [과학기술/과학기술]

    충렬왕 34) 으로 개칭되었다.

  • 감후 / 監候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기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의 정9품 관직. 은 천문·역수·측후·각루의 일을 맡아보았는데, 국초에는 태복감과 태사국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태복감은 천문·역수를, 태사국은 측후·각루를 관장하였다.

  • 복박사 / 卜博士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시대 천문을 관측하던 관직. 복박사는 사천대(司天臺)에 소속되었는데, 이는 천문·역수·측후·물시계 측정 등의 일을 담당하였던 관청이었다. 사천대는 초기에는 태복감(太卜監)이라 칭하였는데, 말기에 ()이라 개칭하였다.

  • 국조역상고 / 國朝曆象考 [과학/과학기술]

    象監員) 성주덕(成周悳)·김영(金泳) 등이 하였다. 『제가역상집 諸家曆象集』·『志』와 함께 우리 나라 천문학사를 대표하는 책이다.『지』가 관측방법과 제도를 주로 서술한 것에 비하여, 『국조역상고』는 역법의 연혁과 이론이 서술되어 있고, 역법의 실제

  • 권자신 / 權自愼 [종교·철학/유학]

    ?∼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한성부윤 권백종, 아버지는 판한성부사 권전, 어머니는 부정 최용의 딸이다. 문종비인 현덕왕후의 아우이다. 좌부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456년 성삼문·박팽년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도모하였으나 김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