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영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
사전(42)
- 서영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영보 필적 1759(영조 35)-1816(순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칭별칭 경세(景世)| 죽석(竹石)| 문헌(文憲)
- 어사고풍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월 30일 정조가 활쏘기를 하고 규장각 소속인 사호헌(司戶軒)의 관원에게 고풍을 내리자, 규장각검교직각(奎章閣檢校直閣) 서영보(徐榮輔)가 그 일을 기념하는 글을 써서 현판으로 만들어 걸었다. 이 서첩은 거기에 관계된 인물들이 순조대에 들어와 선왕과의 고사...
- 서경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71(영조 47)∼1839(헌종 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임세(任世), 호는 묘옹(卯翁). 문헌공 종태(宗泰)의 현손으로, 증조는 좌의정 명균(命均)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지수(志修)이...이칭별칭 임세(任世)| 묘옹(卯翁)| 문정(文靖)
- 이복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현감ㆍ고성군수를 거쳐 1817년(순조 17) 청풍부사가 되었으며, 뒤에 첨지중추부사에 올랐다. 시를 많이 남겼고, 담박하고 탈속적인 시풍으로 이만수(李晩秀)ㆍ서영보(徐榮輔)ㆍ신위(申緯)ㆍ김조순(金祖淳)ㆍ김정희(金正喜) 등 당시의 문인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그...이칭별칭 견심(見心)| 석견루(石見樓)
- 검암산인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시인 범경문(范慶文)의 시집. [개설] 2권 1책. 운각활자본. 1814년(순조 14)에 문인들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서영보(徐榮輔)의 발문이 있다. 모두 378수의 시가 실려 있으며 문(文)은 없다. 권1에 실린 것은 17...
고서·고문서(86)
- 서영보(徐英輔)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同徐ㆍ李二僚,應敎獻詩,竝蒙奇才之褒,不勝愧恧,爲示此篇【徐卽徐榮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2120 同徐ㆍ李二僚,應敎獻詩,竝蒙奇才之褒,不勝愧恧,爲示此篇【徐卽徐榮輔】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觀豐閣銘 【并引】 【己酉三月式年殿試甲科第二人 仁政殿 親臨 命官金熤ㆍ金鍾秀 初十日 仁政殿親臨 命官欲置第一 上教降爲第二 状元徐榮輔ㆍ探花金羲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390 觀豐閣銘 【并引】 【己酉三月式年殿試甲科第二人 仁政殿 親臨 命官金熤ㆍ金鍾秀 初十日 仁政殿親臨 命官欲置第一 上教降爲第二 状元徐榮輔ㆍ探花金羲淳】 정약용...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箴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풍악기(楓嶽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663 B01566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8年 4月 15日_006 ○去夜, 傳于徐榮輔曰, 江華府竄配閣臣, 還發配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竹石 徐榮輔의 楓嶽記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7659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15 竹石 徐榮輔의 楓嶽記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유형논문 | 게재일2015
주제어사전(9)
-
서영보 / 徐榮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59∼1816). 1789년(정조 13)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1790년에는 성절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8년 심상규와 함께《만기요람》을 편찬하였다.
-
영천비음기 / 靈泉碑陰記 [문학/고전산문]
고전산문. 영천(靈泉)은 장릉(莊陵)의 제정(祭井)으로, 서영보(徐榮輔)의 《죽석관유집(竹石館遺集》3책에 《영천입석기(靈泉立石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고, 1791년(정조 15) 찬술되었다.
-
석견루시초 / 石見樓詩鈔 [언론·출판]
저자 이복현(1767-1853). 간본. 2권 2책. <석견루시초>는 맨 앞에 홍석주와 이만수의 서문이 나오고, 그 다음에 김이도, 김려, 김선, 이익회, 서영보, 신위, 김유근, 이낙수, 이지연, 김정희의 발문이 있다.
-
규장전운 / 奎章全韻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이덕무(李德懋) 등이 편찬한 한자 운서(韻書). 2권 1책. 목판본. 동음(東音 : 朝鮮의 漢字音)과 화음(華音 : 中國의 本土字音)을 함께 표시한 운서로, 이덕무가 1792년(정조 16)까지 주로 편찬하고, 윤행임(尹行恁)·서영보(徐榮輔)·남공철(南公轍)
-
동성교여집 / 東省校餘集 [문학/한문학]
, 서로 수창한 시가 대부분이며 모두 300여편이다. 당시 작품이 수록된 15인은 김재찬(金載瓚)·김조순·심상규(沈象奎)·남공철·서영보(徐榮輔)·박종경(朴宗慶)·이존수(李存秀)·김이교·박종훈(朴宗薰)·이노익(李魯益)·이용수(李龍秀)·이광문(李光文)·정원용·박기수(朴綺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