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익위
- 송병선경연관서연관고신
- 송병선시강원자의겸경연관서연관고신
- 법강
- 서연관
연구성과물(1,958)
사전(823)
- 서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왕세자를 위한 교육 제도. [내용] 서연은 차기 국왕으로서의 왕세자에게 경사(經史)를 강론해 유교적인 소양을 쌓게 하는 교육의 장이었다. 태조는 왕조 창건 뒤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설치하고 강학과 시위를 겸해 관장하게 하였는데...
- 서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왕세자에게 경사(經史)를 강론하여 국왕으로서 소양을 쌓게 하는 교육제도.정의조선시대 왕세자에게 경사(經史)를 강론하여 국왕으로서 소양을 쌓게 하는 교육제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eoyeon | MR표기sŏ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西鳶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D_0102 西鳶 산림 神仙 東都, 西兄山, 仙桃山, 中國, 東海 勝覽, 遺事 D_05_01_98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9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9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書筵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D_0036 書筵 정책-제도 四番 忠穆王 麗史 D_04_03_23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2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書筵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D_0088 書筵 정책-제도 侍讀 忠穆王, 恭愍 並麗史 D_05_01_56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5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5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조선의 왕과 왕세자-왕관을 쓴자의 무게 [조선시대의 왕실교육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육수화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70830책의 구성은 왕의 이야기, 왕실여성의 이야기, 원자와 원손의 이야기, 왕세자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제1장 왕의 이야기에서는 궁궐에서의 왕의 공간과 왕의 교육인 경연에 대해서 소개하고, 왕이 종친 간의 친목과 군신 간의 화합을 위해 어떠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는지...
고서·고문서(812)
- 人事門6_書筵追記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書筵追記 君德之進修, 關於經筵. 經筵者, 治亂之所繫也. 今之講官, 悉用科第之人. 科第主於述作, 述作主於賦、表等, 寂寥數語. 半日之功, 立登榮顯, 其所講說, 蓋多魯莽. 余嘗謂, 經筵講說, 善者宜揚, 惡者宜規, 不可掩昧而止. 別謄一本, 遍示具僚, 其有未備者, 百工皆得以言...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0 第十統統首徐連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온양면(溫陽面) 1765년 온양면(溫陽面) 第八光靑里 10 第十統統首徐連白 第一戶 老人徐連白年陸拾丙戌本達城父正兵乙命祖正兵九連曾祖正兵隣立外祖正兵李巖外本慶州妻金召史年伍拾捌 戊子本江陵父驛吏信望祖驛吏戒仁曾祖驛吏起秋外祖驛吏崔明聖本慶州率子主鎭軍介夫里...연도_면이름1765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八光靑里
- ○새벽에 일어나 예궐(詣闕)하여 서연(書筵)에 참석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37_150_118 1537년4월 ○새벽에 일어나 예궐(詣闕)하여 서연(書筵)에 참석했다 1537년 4월 30일 무인, 비가 내림. ○새벽에 일어나 예궐(詣闕)하여 서연(書筵)에 참석했다. 빈객(賓客)세자시강원 소속의 정2품 관직 김인손(金麟孫)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새벽에 일어나 서연(書筵)에 나아가 참석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37_150_106 1537년4월 ○새벽에 일어나 서연(書筵)에 나아가 참석했다 1537년 4월 18일 병인, 가뭄. ○새벽에 일어나 서연(書筵)에 나아가 참석했다. 빈객 김인손(金麟孫), 지평 정대년(鄭大年), 겸사서 임열(任說), 설서 한주(韓澍...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송병선경연관서연관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宋秉璿을 經筵官書筵官으로 임명하는 고신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1)
- 강원 20161111_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북방공설운동장 복지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민수 강원도 홍천군 조사는 춘천 실레마을 이야기잔치에 참석했던 조성근 씨의 제보자 섭외 도움으로 진행이 되었다. 조사자가 홍천군 군민체육대회가 열리는 날 홍천군 북방공설운동장으로 찾아가서 일본 국적의 모토야마 카즈에와 중국(한국계) 국적의 박서연과 조영희 제보자를제보자모토야마 카즈에 [일본, 여, 1966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50)
- 조선후기 서연(書筵)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육수화, 게재일 : 200541840 육수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학회 2005 조선후기 서연(書筵)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독도에 관한 일본고문서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정, 게재일 : 201138241 권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일본학회/동아시아일본학회 2011 독도에 관한 일본고문서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몽골비사≫의 原本논쟁과 成書年代의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원길, 게재일 : 200207706 박원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몽골학회 2002 ≪몽골비사≫의 原本논쟁과 成書年代의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서남해 도서연안지역 민요자료의 활용 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승만, 게재일 : 200107731 나승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남도민속학회 2001 서남해 도서연안지역 민요자료의 활용 방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인류의식의 변화와 성서연구방법론의 연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3975 한국연구재단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류의식의 변화와 성서연구방법론의 연관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80)
- 西連義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월일 연산근방에 의병삼십여명이 들어온다 보고가 젼쥬에 쥬차헌병분에 도착고로 상등병명을 파견야들이치 비도일명은 부상고 기외에 다산즁으로 도망얏다고 황도 쟝연군에 의병삼여명이 둔취다야 일본리쳥에셔 본월칠일에슌샤일명 헌병일명을파송야 그실을 ...게재일1906년 8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徐延煥(百松堂藥房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徐延煥(百松堂藥房 ) 서울 徐延煥 百松堂藥房 體府町 34 약품_의료기 - 매약(賣藥) 소매 34.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대표표제어徐延煥(百松堂藥房 ) | 지역서울 | 품목약품_의료기 | 영업종목매약(賣藥)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無煙炭普及 商議서燃料配給對策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無煙炭普及 商議서燃料配給對策 1943년 8월30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는 지난 2월 17일 제3회 물자배급대책위원...대표표제어無煙炭普及 商議서燃料配給對策 | 연월일1943년 8월30일 | 지역서울
- 東署蓮花坊通內右契登子洞第二統四戶瓦家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東署蓮花坊通內右契登子洞第二統四戶瓦家一間草家一間立旨文券不知中遺失故玆以仰告誰某拾得休紙施行홈 曹萬汝 고게재일1905년 11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東署蓮花坊通內右契登子洞第二統四戶瓦家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東署蓮花坊通內右契登子洞第二統四戶瓦家一間草家一間立旨文券不知中遺失故玆以仰告誰某拾得休紙施行홈 曹萬汝 고게재일1905년 11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60)
-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양승국(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송아름(서울대학교 강사) 이광욱(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조서연(서울대학교 강사) 이진주(서울대학교 강사) 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_가이드북.pd강좌제목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 | 강의자양승국 교수,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양승국(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송아름(서울대학교 강사) 이광욱(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조서연(서울대학교 강사) 이진주(서울대학교 강사) 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_가이드북.pd강좌제목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 | 강의자양승국 교수,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양승국(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송아름(서울대학교 강사) 이광욱(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조서연(서울대학교 강사) 이진주(서울대학교 강사) 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_가이드북.pd강좌제목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 | 강의자양승국 교수,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양승국(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송아름(서울대학교 강사) 이광욱(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조서연(서울대학교 강사) 이진주(서울대학교 강사) 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_가이드북.pd강좌제목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 | 강의자양승국 교수,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양승국(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송아름(서울대학교 강사) 이광욱(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조서연(서울대학교 강사) 이진주(서울대학교 강사) 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_가이드북.pd강좌제목영화로 보는 한국문화와 사회 | 강의자양승국 교수, 송아름 교수, 이광옥 교수, 조서연 교수, 이진주 교수
기타자료(31)
- 서연선;徐延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186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7면 서연선;徐延宣 제7회 192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연후;徐延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6112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55면 46. 졸업생;12) 1917년 졸업생 (48명) 서연후;徐延候 (원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연후;徐延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8632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100면 37. 졸업생;12) 1917년 졸업생 (48명) 서연후;徐延候 (원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연후;徐延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6956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55면 9. 졸업생;12) 1917년 졸업생 (48명) 서연후;徐延候 (원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연후;徐延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9333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6 107면 37. 졸업생;12) 1917년 졸업생 (48명) 서연후;徐延候 (원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도현철 | 연세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학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5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8)
-
서연 / 書筵 [정치·법제/정치]
조선시대 왕세자를 위한 교육 제도. 서연관의 자격 조건은 학문이 뛰어나고 단정한 사람이어야 하며, 비록 서연관이 되었다 하더라도 그 적임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직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파직되었다. 그러나 서연관은 세자를 근시함으로써 왕이나 세자의 지우를 얻을 기회가
-
경서연의 / 經書衍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익이 경서 중에서 중요한 문장과 난해한 구절을 풀이한 주석서.유학서. 7권 7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간행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2는 시의(詩義), 권3·4는 서의(書義), 권5는 역의(易義), 권6·7은 예의(禮義)
-
서연관 / 書筵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리들의 총칭. 고려시대의 서연관에 대해서는 그 직제만 겨우 알 수 있다. 또, 고려 말에 경연이 서연으로 격하됨에 따라, 서연관도 왕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리들을 일컫는 말이 되었다. 서연관은 문과급제자 가운데서 학문과 덕망이
-
호미씻이 / [생활/민속]
농가에서 음력 7월경에 논매기의 만물을 끝내고 날을 받아 하루를 즐겨 노는 일. 풋굿이란 풀밭에서 한바탕 굿행사같이 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초연은 풀밭에서 잔치를 벌이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다. 농촌에서는 7월 백중 무렵이면 논매기가 다 끝나는데, 이 때 농사일을
-
송병선경연관서연관고신 / 宋秉璿經筵官書筵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77년 8월 15일에 송병선을 경연관서연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경연관 제도는 조선시대에는 성종 때 경국대전에 의해 법제화되어, 정1품 영사 3명, 정2품 지사 3명, 종2품 동지사 3명, 정3품 참찬관 7명, 정4품 시강관 4명, 정5품 시독관 2명, 정6품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