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얼금고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서얼
연구성과물(14)
사전(14)
- 서얼금고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양반의 자손이라도 첩의 소생은 관직에 나아갈 수 없게 한 제도. [내용] 이 제도는 1415년(태종 15) 우대언(右代言) 서선(徐選)이 태종의 특정한 인물에 대한 경계심을 살펴 종친(宗親) 및 각품의 서얼 자손은 현관(顯官)의 ...
- 납속허통(納粟許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납속허통 납속허통 納粟許通 납속정책(納粟政策) 서얼금고법(庶孽禁錮法), 통청(通淸) 경제재정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서한교 [정의] 곡식을 납부한 서얼들에게 과거에 응시할 수 있도록 자격을...상위어납속정책(納粟政策) | 관련어서얼금고법(庶孽禁錮法), 통청(通淸)
- 허통(許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허통 허통 許通 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 서얼차대(庶孼差待), 납속허통(納贖許通), 양출(良出), 천출(賤出) 사회사회구성원 개념용어 조선 문숙자 [정의] 조선시대 과거 응시 자격, 일...관련어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 서얼차대(庶孼差待), 납속허통(納贖許通), 양출(良出), 천출(賤出)
- 이경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령을 대대적으로 행하여 난 후의 처리를 잘하여냈고, 1625년에 홍문관수찬ㆍ사헌부지평ㆍ직강 등을 거쳐, 홍문관교리가 되어 최명길(崔鳴吉) 등과 함께 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 폐지를 진언하였다. 이어서 사간원헌납ㆍ종성부사가 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칭별칭 여복(汝復)| 두곡(杜谷), 계곡(桂谷)
- 조선문화사연구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니고 있다. 논문 ①은 조선 초기 정치적‧사회적 격변기에 일부 세력에 의해서 추진된 유교 신봉과 불교 배척의 경위를 해명함으로써 사상 교체의 기연과 사회적‧역사적 의의를 천착하였다. 논문 ②는 조선 초의 서얼금고법(庶孽禁錮法)을 중심으로 한 서얼차대의...
주제어사전(1)
-
서얼금고법 / 庶孽禁錮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양반의 자손이라도 첩의 소생은 관직에 나아갈 수 없게 한 제도. 서얼에 대한 차별의 규정은 ≪경국대전≫에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명시되어 있다. 예전(禮典) 제과조(諸科條)에 죄를 범해 영구히 임용할 수 없게 된 자, 장리(贓吏)의 아들, 재가하거나 실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