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얼” 에 대한 검색결과 6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6)

사전(325)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처(正妻)가 아닌 첩의 소생을 이르는 말.
    정의정처(正妻)가 아닌 첩의 소생을 이르는 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eoeol | MR표기sŏ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림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1492년(성종 23)에 ()의 진출로를 열어준다는 취지 아래 신설된 군대조직. [내용] 중앙의 친위부대(親衛部隊) 가운데 하나로 당시 금군(禁軍)인 겸사복(兼司僕)과 내금위(內禁衛)가 다수 변방으로 파견되어, 서울에 있는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자(嫡子), 적손(嫡孫) 서자(庶子), 얼자(孽子) 서자(庶子) 금고법(禁錮法), 중서(中庶), 첩(妾), 양첩(良妾), 천첩(賤妾), 처첩제(妻妾制), 한품서용법(限品敍用法) 사회사회구성원 개념용어
    하위어서자(庶子), 얼자(孽子) | 동의어서자(庶子) | 관련어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 중서(中庶), 첩(妾), 양첩(良妾), 천첩(賤妾), 처첩제(妻妾制), 한품서용법(限品敍用法)
  • 차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첩의 자식 및 그 자손을 차별하여 대우하던 일
    정의첩의 자식 및 그 자손을 차별하여 대우하던 일 | 문광부표기seo-eol chadae | MR표기sŏŏl ch’ad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4_S_0113 愼 정책-제도 史遷 史記樂毅傳, 戰國策, 易, 蒙, 升, 本義, 孟子, 雜記, 韓子難三篇 S_19_01_28 성호사설 19권 1장 28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9권 1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97)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20 文集 卷十二 ITKC_MP_0597A_0120_010_0120 論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이홍장이 산서얼태(山西臬台) 장(張)의 서신에 대한 답신으로, 청의 속번인 조선에서 발생한 일본과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돈도 필요하지만, 용맹한 장수의 도움도 큰 도움이 된다며, 장(張)이 언급한 인원들에 대해 그의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 내용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北京第一歷史檔案館 | 발신일1894.06.26.
  • 擬請疏通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三 潘南朴趾源美齋著 孔雀舘文稿○疏 擬請疏通疏 擬請疏通疏 擬請…孼疏 : 이 제목이 저본에는 ‘擬請疏通疏’로 되어 있으나 ‘영남’, ‘창중’을 따라 수정함. ‘창속’에는 ‘觀此等文字, 可知先生之深於陸奏’라는 제하평이 있고, ‘창중’...
    대표표제어擬請疏通庶孼疏 | 목차孔雀舘文稿○疏
  • 人事門11_七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國法, 愼, 不許通顯. 有七怨國, 相聚爲盜. 朴應犀, 相國淳之子, 與沈友英、徐羊甲、李耕俊、朴致毅, 餘二人忘其名, 皆卿相之子. 乃於鳥嶺下, 劫賄, 跟尋得應犀, 一一不待刑而服云: “吾等非賊, 將擧大事.” 誦其檄書, 卽李耕俊之筆. 耕俊, 乃淸江 濟臣之子, 其...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2_愼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史記ㆍ樂毅傳》: “修法令, 愼.” 解者謂“防愼使不得顯”, 殆非也. 此出於《戰國策》, “愼”, 正作“順”, 順與愼通用. 說見《易ㆍ蒙、升ㆍ本義》. “孼”, 如《孟子》所謂“孤臣孼子”, 抱冤不得志者也. 故順而撫之, 尤所以得人也. 當生聚敎訓之時, 斷斷乎嫡庶之別,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

기초학문(5)

  • 16․17세기 許通 上疏文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1944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3 16․17세기 許通 上疏文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문학의 위상 - 疏外의 문학에서 先驅的 문화 담당층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숙, 게재일 : 2006
    21438 김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06 문학의 위상 - 疏外의 문학에서 先驅的 문화 담당층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과거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의 學知생성과 家學의 성립 -昌寧 成氏 桑谷公派의 경우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혜리, 게재일 : 2013
    53419 손혜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3 과거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의 學知생성과 家學의 성립 -昌寧 成氏 桑谷公派의 경우 - https://www.krm.or.kr/krm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玄川 元重擧의 對馬島人 인식과 그 의미 - 일본 ‘內地人’ 인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숙, 게재일 : 2005
    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6094&local_id=10021532 18‧19세기 문학 연구 : 문학의 정체성 모색과 문사 집단의 문화‧사상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靑城 成大中의 史論 散文 硏究 ― 『靑城雜記』 「揣言」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혜리, 게재일 : 2012
    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6191&local_id=10048647 조선후기 가의 學知 생성과 家學의 성립-昌寧 成氏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2

멀티미디어(48)

  • () 문제_9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6주차_ 불안정한 지배층 7주차_ 사족층의 공고화 8주차_ 사족의 분화와 위계 조정 9주차_ () 문제 49주차_ 벌열(閥閱)의 출현과 사회 경직화 김성우 교수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가이드북] 김성우 9주차.pdf () 문제_9주차
    강좌제목조선시대 신분제와 양반 | 강의자김성우 교수
  • () 문제_9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6주차_ 불안정한 지배층 7주차_ 사족층의 공고화 8주차_ 사족의 분화와 위계 조정 9주차_ () 문제 50주차_ 벌열(閥閱)의 출현과 사회 경직화 김성우 교수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가이드북] 김성우 9주차.pdf () 문제_9주차
    강좌제목조선시대 신분제와 양반 | 강의자김성우 교수
  • () 문제_9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6주차_ 불안정한 지배층 7주차_ 사족층의 공고화 8주차_ 사족의 분화와 위계 조정 9주차_ () 문제 51주차_ 벌열(閥閱)의 출현과 사회 경직화 김성우 교수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가이드북] 김성우 9주차.pdf () 문제_9주차
    강좌제목조선시대 신분제와 양반 | 강의자김성우 교수
  • () 문제_9주차_4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6주차_ 불안정한 지배층 7주차_ 사족층의 공고화 8주차_ 사족의 분화와 위계 조정 9주차_ () 문제 52주차_ 벌열(閥閱)의 출현과 사회 경직화 김성우 교수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가이드북] 김성우 9주차.pdf () 문제_9주차
    강좌제목조선시대 신분제와 양반 | 강의자김성우 교수
  • 조선왕조의 신분제_1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6주차_ 불안정한 지배층 7주차_ 사족층의 공고화 8주차_ 사족의 분화와 위계 조정 9주차_ () 문제 10주차_ 벌열(閥閱)의 출현과 사회 경직화 김성우 교수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가이드북] 김성우 1주차.pdf 조선왕조의 신분제_1주차 조선
    강좌제목조선시대 신분제와 양반 | 강의자김성우 교수

주제어사전(26)

  • / [사회/사회구조]

    첩의 자손. 봉작(封爵)의 대상은 애초부터 정처(正妻)에 제한되어 있어 첩에게는 해당되지 않으며, 그 위에 부인이 첩의 소생인 경우에도 봉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 금고법 / 禁錮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양반의 자손이라도 첩의 소생은 관직에 나아갈 수 없게 한 제도. 에 대한 차별의 규정은 ≪경국대전≫에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명시되어 있다. 예전(禮典) 제과조(諸科條)에 죄를 범해 영구히 임용할 수 없게 된 자, 장리(贓吏)의 아들, 재가하거나 실행한

  • 검서관 / 檢書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규장각 소속의 관원. 정원은 4인이다. 정규직이 아닌 잡직으로서, 5∼9품에 해당하는 서반 체아직을 받고 규장각에서 일하였다. 이 관직은 출신들을 위해 마련되었다. 명문가의 가운데서 학식과 재능이 탁월한 자들로서 임명하였다.

  • 규사 / 葵史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대구의 유림단체인 달서정사에서 역대의 에 관계되는 사실을 수록한 역사서. 2권 2책. 활자본. 책이름의 규(葵)는 “해바라기가 해를 향하는 데는 본가지나 곁가지가 다름이 없는 것처럼, 의 충성도 적자와 다를 바 없다.”는 선조의 비답(批答)에서 따온

  • 당하관 / 堂下官 [정치·법제/법제·행정]

    람이다. 당하관에는 양반은 물론 기술관(技術官)·양반(兩班) 등도 종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