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악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太學志 慶尙北道史(慶尙北道, 1983)
    연계항목서악서원(西岳書院)
  • 금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창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사우. [내용] 신라 문무왕때 군창(軍倉)이 있었던 곳이라 한다. 1871년(고종 8) 흥무대왕(興武大王) 김유신(金庾信)을 모시기 위해 건립하였는데, 경주의 (西...
  • 경주서악리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귀부. [내용] 높이 1.04m. 보물 제70호. 태종무열왕릉 남쪽 길 건너편에 있는 것으로, ≪삼국사기≫ 열전이나 (西) 영귀루(永歸樓) 북대(北臺)에서 발견된 각자...
    연계항목경주서악리귀부(慶州西岳里龜趺)
  • 영남각읍교원서책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편찬된 서목(書目). [내용] 1책. 필사본. 경주를 비롯한 영남 각지의 향교‧서원‧사당(祠堂)‧서재(書齋) 등에 소장되어 있던 장서의 목록이다. 편성순서에 따른 수록 내용은 경주부가 향교 79종, (西)...
    이칭별칭경주부교원서책목록
  • 영남문헌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설총(薛聰)‧김유신(金庾信)‧최치원(崔致遠)을 향사하는 경주의 (西) 외 311여개 서원‧사우의 봉향자의 약사와 소재지 및 건립 연대 등을 수록하였다. 「허묘비갈고」에는 경주의 숭인전신도비(崇仁殿神道碑)‧김알지유허비(金閼智遺墟碑) 이하 540여...

고서·고문서(19)

  • 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서원지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23년 (西)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894년 (西)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840년 (西)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40년(헌종 6) 2월 24일 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통문으로 그 내용은 본원에서 난동을 부린 무리들을 성토하기 위해 구강서원서 회합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 통문에 따르면 에서 향사를 거행하는 날에 변괴들이 여러 가지 일어났다고 한다. 그래서 제사를...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840년 (西)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40년(헌종 6) 1월 4일 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통문으로 그 내용은 자신들의 강안에 들어있는 유생들의 명단을 옥산서원에 넘겨주면서 그들을 옥산서원의 유안에 넣어줄 것을 당부하는 것이다. 의 이러한 행동은 지금의 상황으로 보면 자기 학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6)

  • / 西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 1561년(명종 16) 이정(李楨)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유신(金庾信)의 위패를 모시며 창건하였고, 1563년(명종 18) 신라의 문장가 설총(薛聰)·최치원(崔致遠)의 위패를 추가 배향하였다. 처음은 선도산(仙桃山) 아

  • 남악서원 / 南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있는 서원. 1919년 개국공(開國公) 김유신(金庾信)의 사당이 있었던 곳에 지방 유림들이 중건한 서원이다. 남악서원에는 김유신과 관련된 전설만 전해지지만 서원으로 승원하면서 경주 (西)의 사례에 따라서 유학자인 홍유후(弘

  • 금산사 / 金山祠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김유신·설총·최치원의 위패 배향 관련 사당. 신라 문무왕때 군창(軍倉)이 있었던 곳이라 한다. 1871년(고종 8) 흥무대왕(興武大王)김유신(金庾信)을 모시기 위해 건립하였는데, 경주의 (西)과 같이 설총(

  • 경학대장 / 經學隊仗 [종교·철학/유학]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이 경학의 내용을 종목별로 기록한 유학서. 최치원(崔致遠)의 저작이라고 한다. 18세기 말엽에 최치원의 후손 최치덕(崔致德)이 가전(家傳)의 낡은 상자에서 처음 발견하여 필사하여둔 것을 1950년대에 경주(西)에서 대동보(大同

  • 김인문묘비 / 金仁問墓碑 [예술·체육/서예]

    (西)의 누문인 영귀루(詠歸樓) 서편 부근에서 잔석(殘石)으로 발견되었다.잔석은 원비(原碑)의 하부로 상부 절반 이상이 결손되었고, 풍화가 심하여 판상(板狀)에 따라 앞뒷면의 사이가 둘로 갈라졌으며, 비면에는 훼손된 흔적이 있다. 한쪽 면에 새겨진 약 4백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