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수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
사전(10)
- 서수붕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4일(음력) 청국은 안휘안찰사 서수붕을 3품경당후보(3品京堂候補)로 제수하여 주찰조선국흠차대신(駐紮朝鮮國欽差大臣)으로 임명하였다. 러시아, 일본, 프랑스, 독일 등 주한 외국 사절은 서수붕의 지위가 전권대신인지의 여부, 주찰(駐紮), 조선국(朝鮮國)의 호칭, 국서의 형...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허태신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대한제국 시기 초대 중국공사 서수붕(徐壽朋, 쉬쇼우펑)의 뒤를 이어 제2대 주한 공사로 부임하였다. 1901년 2월부터 북경(北京)으로 돌아간 서수붕을 대신하여 대리 공사의 직을 맡았고, 6월에 정식으로 제2대 주한 공사로 임명되었다. 청국 외무부는 1901년 6월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 9월 11일 대한국의 전권(全權) 박제순(朴齊純)과 대청국의 전권 서수붕(徐壽朋) 사이에 체결된 한‧청 양국의 우호‧왕래‧통상에 관한 조약문. [내용]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표지에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이라 쓰여 있으며,이칭별칭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 증광전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원산(元山) 부영사관을 두었지만, 서수붕(徐壽朋, 쉬쇼우펑), 허태신 시기와 달리 비용 절감을 이유로 인원을 대폭 줄였다. 을사조약 체결 소식은 1905년 11월 주중 일본공사가 청국 외무부에 정식 통보하면서 청국 정부에 알려졌다. 일본은 한국이 과거 각국과 맺은 조약...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청통상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체결을 결정하고, 한국의 사신이 북경(北京)에 와서 자국의 체면을 손상하기 전에 먼저 한국에 사신을 파견하겠다는 방침 하에 의약전권대신(議約全權大臣) 서수붕(徐壽朋)을 대한제국에 파견하였다. 서울에 도착한 서수붕은 1899년 2월 1일 경운궁 함령전에서 고종 황제에게...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62)
- 命徐壽朋駐札韓國大臣提出國書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서수붕을 주찰한국대신으로 임명하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고궁박물원문헌관 | 발신일1899.11.09.
- 신임 주한청국공사 서수붕 부임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신임 주한청국공사 서수붕 부임 보고 라인스도르프 호엔로에-쉴링스퓌어스트 1899.02.03 1899.04.10 서울 베를린 ...대표표제어신임 주한청국공사 서수붕 부임 보고 | 발신자라인스도르프 | 수신자호엔로에-쉴링스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주한청국공사 서수붕 귀국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주한청국공사 서수붕 귀국 보고 바이페르트 뷜로 1901.02.07 1901.03.28 서울 베를린 No.23 A.46...대표표제어주한청국공사 서수붕 귀국 보고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徐壽朋 : 訴訟 11-雜件(一)(잡건)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서수붕 소송(徐壽朋 訴訟) | 주제어기타, 雜件
- 徐壽朋 : 訴訟 12 -雜件(二)(잡건 2)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서수붕 소송(徐壽朋 訴訟) | 주제어기타, 雜件, 한성부 남부 회현방(會賢坊) 송현계(松峴契)의 와가(瓦家)와 행랑 매매 문건
주제어사전(4)
-
서수붕 / 徐壽朋 [정치·법제/외교]
?-1901. 중국 청말 초대 주한공사. 1875년 도원의 직함으로 미일공관 2등 참찬이 되었다. 1898년 안휘휘령지태광도를 제수받고 이어 안휘안찰사로 자리를 옮겼다. 1898년 6월 24일(음력) 청국은 안휘안찰사 서수붕을 3품경당후보로 제수하여 '주찰조선국흠차대
-
한청통상조약 / 韓淸通商條約 [정치·법제/외교]
1899년 한국과 청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문 1899년 9월 11일 대한국의 전권(全權) 박제순(朴齊純)과 대청국의 전권 서수붕(徐壽朋) 사이에 체결된 한·청 양국의 우호·왕래·통상에 관해 조약하였다. 이 조약은 당시 한청이 서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알려준다
-
허태신 / 許台身 [정치·법제/외교]
?-?. 중국 청말 제2대 주한 청국공사. 대한제국 시기 초대 중국공사 서수붕의 뒤를 이어 제2대 주한 공사로 부임하였다. 1901년 2월부터 북경으로 돌아간 서수붕을 대신하여 대리공사의 직을 맡았고, 6월에 정식으로 제3대 주한 공사로 임명되었다. 청국외무부는 19
-
주한중국공사관 / [정치·법제/외교]
1882년 8월에 체결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이후 조선에 파견된 상무위원이 주한 외교사절의 역할을 수행. 한청통상조약의 체결을 주도한 서수붕이 대한제국주재 초대 공사로 부임하였고, 하태신 증광전이 후임이었다. 1905년 일본의 통감부 설치로 중국 외교사절은 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