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수” 에 대한 검색결과 2,3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76)

사전(348)

  • 영수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석(錫)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35권 17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경위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17은 춘추전주초찬(春秋傳注抄簒),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下典)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는 장고(掌固) 등과 함께 미입사직에 해당된다. 는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26인, 예문관(藝文館)에 1인, 비서성(祕書省)에 15인, 어서원(御書院)에 25인, 동궁(東宮)에 2인 등 5개 관청에 69인이 배속되어...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글씨를 써주는 사람. 續述數回較正 雖不能盡意 而大抵少勝於前 往往有塗乙胡亂處 然此無他, 이시원(李是遠), 26-17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쥐 수염 붓. 가장 좋은 붓의 대명사. 卽惟冬暄 候節護重 麝煤涓受得佳趣 溯仰切至, 신헌(申櫶), 39-22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R1_D_0496 동물 遣使, 四角羊 毅宗二十四年 金 李公升 麗史 D_17_04_21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2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2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395)

  •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27권, 정조 13년 7월 14일 무술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정조 13년 7월 14일 무술 (1789) 1789 西羅 明川 北靑 文川 茂山 端川 富寧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 10권, 철종 9년 12월 5일 병오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 철종 9년 12월 5일 병오 (1858) 1858 西羅 熙政堂 神光 高山里 從浦 楸坡 夞恠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52권, 세종 13년 4월 28일 임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세종 13년 4월 28일 임술(1431) 1431 西羅 咸吉道 慶源 慶源 厚羅屯島 西羅 野人...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 13권, 명종 7년 7월 27일 정미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 명종 7년 7월 27일 정미(1552) 1552 西羅 咸鏡道 胡 慶興 西羅 慶興 군사 ○丁...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 13권, 명종 7년 10월 13일 임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 명종 7년 10월 13일 임술(1552) 1552 西羅 伊應巨島 胡人 仇信浦 胡人 鵂鶹巖 胡人...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5)

  • 07_050 전북 전라북도 군산시 전라북도 군산시_마룡리 논매기소리 마룡리 논매기소리 옹골 소리 전라북도 군산시 면 마룡리 1989.5.16 素89-5-16A 노진방 노진방 (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옹골 류 독창 (“위여차 - “ 부분은 제창)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서수면 마룡리 | 녹음날짜1989.5.16 | 가창방식독창 (“위여차 - “ 부분은 제창)
  • [군산 9] 1. [군산 7]이 참고된다. 2. 위야허허 류는 군산시 대야면과 면, 김제시, 완주군에서도 에염싸는 소리로 분포한다. 임실군에서는 울력소리로도 원용된 예가 있다. 보성군, 화순군, 광양시 및 서부 경남지역에서는 줄멤소리로도 수집되었다.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보석리(구절마을) | 녹음날짜1989.5.15 | 가창방식1. 멕받형(선후창). 2. 멕받형 또는 선입후제창
  • - 외치고는 발로 풀을 밟으며 논매기를 끝낸다. A : 위야허허 류는 군산시 면 등과 김제시, 완주군에서도 에염싸는 소리로 분포한다. 임실군에서는 울력소리로도 원용된 예가 있다. 보성군, 화순군, 광양시 및 서부 경남지역에서는 줄멤소리로도 수집되었다. B :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 녹음날짜1984.가을 | 가창방식A: 멕받형 (선후창) B: 복창 C: 선입후 제창
  • 전라북도 군산시_1. 초야 호미매기소리 2. 만두리 3. 에염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산아지’라는 곡명은 문화중심지의 받음구에서 따왔다. 3. 위야허허 류는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마을과 면, 김제시, 완주군에서도 에염싸는 소리로 분포한다. 임실군에서는 울력소리로도 원용된 예가 있다. 보성군, 화순군, 광양시 및 서부 경남지역에서는 줄멤소리로도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보덕리 초야 | 녹음날짜1989.5.16.가을 | 가창방식1, 2, 3. 멕받형(선후창).
  • 장 다한 사람들은, 책 읽는 사람들은 심지 뭐 모가지까지 세고 생겼어. 말하자면 다들 뭐 농 사 지면 다 가져 가잖여. 그러니까 부락책임자들이 밤잠을 못자고 있다가 겨우. 그러다 본께 음력 으로 말하면 8월 열나흘 날, 그 사람들이 해체한 거여. 그래 말하자면,
    조사지역전북 장수 | 조사일2013년 08월 19일

기초학문(18)

  • 생활체육 참여자의 목표지향ㆍ몰입경험 및 여가경험과 생활만족간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수연, 게재일 : 2005
    07069 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용인대학교 2005 생활체육 참여자의 목표지향ㆍ몰입경험 및 여가경험과 생활만족간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한국형 다독을 위한 독서 능력 측정 검사지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한, 게재일 : 2012
    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0595&local_id=10042857 한국형 EFL 독준지표 및 다독 교재 모형 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형 다독 교재 모형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한, 게재일 : 2013
    ry=ResearchPaper&m201_id=10020595&local_id=10043054 한국형 EFL 독준지표 및 다독 교재 모형 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Developing the Korean EFL Readability Formula (KRF)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성희, 게재일 : 2012
    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0595&local_id=10042822 한국형 EFL 독준지표 및 다독 교재 모형 개발 https://www.krm.or.k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 양상의 매개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수균, 게재일 : 2011
    48738 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 양상의 매개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390)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상폐하옵셔일본 황뎨의친셔를 회답시데 금명간졍셔터임으로졍부각대신이친셔옵시데야 상쥬일이 잇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도 공보를거즉 팔월장마에 도각군 우형에 슈를 사보 엿는데 셔흥군에는 무너진 집이 일륙십삼호요 령군에는 풍우가 대작야 농형이 여디가 업다고 슈안군에는 십팔호는 나가고 삼십삼호는 침몰이되고 사이인이 치엿고 신쳔군에는 여호가 나가고 사일명이 ...
    게재일1902년 10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西炎救恤金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忠淸南北道懷襄의禍曠古罕有天災이라不幸當之嗟我同胞의洪流음溺과 木末魚옹이悲極慘極餘에歸야歇泊處가無며飢야哺啜物이乏則비離渙散야溝壑에轉慘狀이目下에汲汲지라同胞의急을見고匍匐救之은當然的義務이기로玆에發起고條目을左開야慈善大方家에廣布노니博愛心救苦心을特發야 救恤...
    게재일1906년 10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西炎救恤金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忠淸南北道懷褱의禍曠古罕有天災이라不幸當之嗟我同胞의洪流음溺과木末魚옹이悲極慘極餘에歸야歇泊處가無며飢야哺啜物이乏則비離渙散야溝壑에轉慘狀이目下에汲汲지라同胞의急을見고匍匐救之은當然的義務이기로玆에發起고條目을左開야慈善大方家에廣布노니博愛心救苦心을特發야救恤金을...
    게재일1906년 10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西炎救恤金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忠淸南北道懷襄의禍曠古罕有天災이라不幸當之嗟我同胞의洪流음溺과 木末魚옹이悲極慘極餘에歸야歇泊處가無며飢야哺啜物이乏則비離渙散야溝壑에轉慘狀이目下에汲汲지라同胞의急을見고匍匐救之은當然的義務이기로玆에發起고條目을左開야慈善大方家에廣布노니博愛心救苦心을特發야 救恤...
    게재일1906년 10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1)

  • ~군산간 도로 확.포장공사 구간 내 군산 고봉리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군산간 도로 확.포장공사 구간 내 군산 고봉리유적 cc2-0173_#1 유구 도면2.유적의 위치2 2014-08-02_0.3873407_도면2.유적의 위치2.jpg cc2-0173_#2 유구 사진2.Ⅰ지구 조사 후 전경 20
    제목서수~군산간 도로 확.포장공사 구간 내 군산 고봉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19)

  • 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295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70면 준;俊 경북 군위군 군위면 서부동 본과 제11회 193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9632 남한 경성 세브란스간호원양성소 1-32 CATALOUGE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TRAINING 1918 18면 생도 신;信 전남 목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간호원양성소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109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41면 명;命 경북 대구부 봉산정 195 제13회 4258년 3월 23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1023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161면 생;生 경북 경산군 고산면 내관동 478번지 제31회 4275년 12월 24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261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20면 남;男 전북 정읍군 梨坪面 馬項里 217 제5회(24명) 1928년 3월 1일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5)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고려시대에 각 관청에 소속된 이속직은 크게 서리직과 잡직 계통의 잡류로 나누고, 서리직은 입사직과 미입사직으로 구분된다. 그 중 는 장고 등과 함께 미입사직에 해당된다. 는 중서문하성에 26인, 예문관에 1인, 비서성에 15인, 어서원에

  • 서 / 觀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우리나라 역사·제도·인물 및 기타 잡사(雜事)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종합서. 1권 1책. 필사본. 권수제는 ‘동사휘설(東事彙說)’로 되어 있다. 내용은 무기(武技)·의복제도·경서(經書)의 구결·천후(天候)·훈병(訓兵)·병기·병제·지계(地界)·품대(品帶)·관

  • 라 / 西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 라동에 있는 지명. 우리나라 최북단의 어항(漁港)이며 군항(軍港)이기도 하다. 조산만(造山灣)의 동쪽 끝에 있으며, 두만강 하류에 있어 러시아와 연결되는 도로가 있고, 부근에 만포(晩浦)ㆍ서번포(西藩浦) 등의 석호(潟湖)가 있다. 이 지역이

  • 붕 / [정치·법제/외교]

    ?-1901. 중국 청말 초대 주한공사. 1875년 도원의 직함으로 미일공관 2등 참찬이 되었다. 1898년 안휘휘령지태광도를 제수받고 이어 안휘안찰사로 자리를 옮겼다. 1898년 6월 24일(음력) 청국은 안휘안찰사 붕을 3품경당후보로 제수하여 '주찰조선국흠차대

  • 도기 형 명기 / 陶器形明器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미추왕릉 지구 중 C지구 제3호분에서 발견된 토기. 보물 제636호. 높이 14㎝, 길이 13.5㎝, 밑지름 5.5㎝.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밑에 고배(高杯)에서 흔히 보는 바와 같은 받침에 몸은 거북형이고 머리는 용(龍)머리의 이형 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