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산박첨지놀이” 에 대한 검색결과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39)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인형극 사 【정의 및 이칭】 는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탑곡4리에서 전승되는 인형극이다. 2000년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탑곡4리에 전수회관을 두고 있다. 한때 마을 입구 안내판에 ‘서산 박첨지 인형극 놀이’...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의 고양동에서 전승되어 오는 인형극놀이.
    정의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의 고양동에서 전승되어 오는 인형극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eosan Bak Cheomji Nori | MR표기Sŏsan Pak Ch’ŏmji N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조군용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인형극연희자 자 조군용 ☞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최군선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인형극연희자 차 최군선 ☞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말인형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인형극등장인물 마 말인형 말인형은 에서 평안감사를 태우고 등장하는 동물인형이다. 특별히 독립적인 역할은 하지 않고, 평안감사를 태우고 다니는 역할만 한다. 그 외양을 보면 머리‚ 몸통‚ 네 다리‚ 꼬리 등 전체적으로 말의 형태를 모두 갖추었다. 특히 말...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주제어사전(1)

  • / [생활/민속]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의 고양동에서 전승되어 오는 인형극놀이 인형극은 인형 및 배경이 되는 소품 등을 제작하여 이를 조작하는 극의 형태로, 여러 마당과 거리로 구성된다. 이 놀이는 남사당패의 꼭두각시놀음, 발에 탈을 끼고 연행하는 발탈, 그림자 인형극인 만석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