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사원” 에 대한 검색결과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34)

  • 변철수(卞鐵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慶暹,『海槎錄』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
    유형분류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0(명종 5)∼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행보(行甫), 호는 미락재(彌樂齋)ㆍ악재(樂齋). 필(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응기(應期)이고, 아버지는 전교 흡(洽)이며, 큰아버지 형...
    이칭별칭 행보(行甫)| 미락재(彌樂齋), 악재(樂齋)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자, 교육·언론인유일 인물 한국 조선 선조∼광해군 이기순 이범직 2008 행보(行甫) 미락재(彌樂齋), 낙재(樂齋) 양반 ...
  • 서재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7(명종 12)∼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학자ㆍ의병장.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화익(和益), 호는 죽계(竹溪). 아버지는 문학습독 진(津)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부림홍씨(缶林洪氏)이다. ()의 문하...
    이칭별칭 화익(和益)| 죽계(竹溪)
  • 유사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권응수(權應銖)의 휘하에 들어가 군량미를 조달하고 병기를 제공하는 한편 적을 무찔렀으며, 그 공으로 군자감봉사에 제수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도 의병 수백명을 규합하여 크게...
    이칭별칭 수보(粹甫)| 구정(龜亭)

고서·고문서(10)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0년_웅촌면(熊村面) 1840년 웅촌면(熊村面) 第三內山里 5 第五統統首 第一戶 幼學年參拾玖壬戌本大邱父學生光祚祖學生泰淳曾祖學生斗錫外祖學生嚴 萬載本寧越妻김氏年參拾柒甲子本김海父參奉德龍祖學生日三曾祖學生昌彦外祖 學生李春邦本慶州婢貴丹年壬戌等丁...
    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內山里
  • 17세기초 () 하동리사계약서(河東里社契約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세기초 달성군 하동리에 살았던 이 작성한 하동리 동계(洞契)의 서문이며, 임진왜란 이후 인구의 감소로 인해 리(里)와 여(閭)의 인구를 하나의 동(洞)으로 합치고, 동약에 소속된 사람은 신분의 귀천에 상관없이 상부상조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1 第一統統首徐爻源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25년_웅촌면(熊村面) 1825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內山下里 1 第一統統首徐爻源 第一戶 幼學改[名]爻源年伍拾丙申本大邱父學生光老祖學生泰永曾祖學生斗錫外祖學 生김聖龜本김海妻盧氏年伍拾肆壬辰籍光州父幼學尙文祖學生現溟曾祖學生聖獜外 祖學生김智恒本慶州婢德...
    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內山下里
  • 生民之什 公劉(공류)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用匏”, 示之以儉, 安得外飾之奢至此哉? 竊疑玉、瑤皆地名, 與下“皇”、“過”相照. 于, 宜先察漕運之便, 故曰“何以舟之”也. 夾皇、溯過亦不過澗溪小水, 又自此入于玉、瑤, 僅足以容舟, 比如鞞䩬之容刀, 此猶可以輸漕也. 若曰服飾之盛, 則維玉足矣, 又何以及瑤也? 珮玉足矣, 彼...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이「洗馬李公墓碣銘」을 지었다. 名利를 돌아보지 않고 內外輕重의 도리를 잘 실천한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三益齋集序 16 三益齋李天培(1558∼1604)의 문집(1권 1책)서문이다. 이천배의 자는 景發, 본관은 京山, 寒岡鄭逑의 문인이며, 旅軒張顯光‧樂齋‧鑑湖呂...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5)

  • 신식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리로서의 젠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복순, 게재일 : 2013
    44699 김복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신식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리로서의 젠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전개에서 본대구지역 성리학의 특징 — 곽재겸郭再謙손처눌孫處訥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추제협, 게재일 : 2018
    17468 추제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학진흥원 2018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전개에서 본대구지역 성리학의 특징 — 곽재겸郭再謙손처눌孫處訥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
    유형논문 | 게재일2018
  • 新植民地 시기 反美小說의 系譜와 理로서의 젠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복순, 게재일 : 2013
    44659 김복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新植民地 시기 反美小說의 系譜와 理로서의 젠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浪漫的 사랑의 系譜와 理로서의 젠더 -1950년대 〈思想界〉와 〈女苑〉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복순, 게재일 : 2011
    31273 김복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浪漫的 사랑의 系譜와 理로서의 젠더 -1950년대 〈思想界〉와 〈女苑〉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세션1. [문학]한류 드라마‧영화콘텐츠에 나타난 몽유형재매개화에 따른 현대적 이본 산생의 통시적 맥락과 한‧중 몽류서사문학콘텐츠 공유맥락의 글로컬러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도경
    14649 권도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세션1. [문학]한류 드라마‧영화콘텐츠에 나타난 몽유형재매개화에 따른 현대적 이본 산생의 통시적 맥락과 한‧중 몽류서사문학콘텐츠 공유맥락의 글로컬러티 https://www.krm.or.k
    유형논문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학자. 필의 증손, 할아버지는 응기, 아버지는 흡, 큰아버지 형에게 입양되었다. 정구의 문인이다. 주자학 및 이황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중년 이후는 후진을 가르쳤다. 선조 때 학행으로 감역·찰방을 지내고, 159

  • 이강서원 / 伊江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면 이천리(梨川里)에 있었던 서원. 1639년(인조 1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

  • 이천배 / 李天培 [종교·철학/유학]

    1558년(명종 13)∼1604년(선조 37).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 이침과 모친 이수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흥우의 딸이다. 오건과 정구의 문인으로 수학, 장현광‧‧여감호 등과 서신왕래로 교유하였다. 평생 경전을 연구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다 47세

  • 낙재문집 / 樂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3년에 간행한 시문집. 1843년(헌종 9) 의 후손 서택렬(徐宅烈)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의 중간서(重刊序)로 보아 초간본이 있는 듯하나, 분명하지 않다. 권두에 박광석(朴光錫)과 마인순(馬麟淳)의

  • 낙음문집 / 洛陰文集 [종교·철학/유학]

    시에는 정루(亭樓)를 읊은 것과 차운(次韻)이 많으며, 스승인 정구(鄭逑)·()과 배상호(裵尙虎)·이간(李幹) 등 학문적으로 유명한 인사에 대한 만사가 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