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북학회” 에 대한 검색결과 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

사전(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8년 서북‧관서‧해서지방 출신자들이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단체. [설립목적] 설립 목적과 취지는 자신들의 시대에 대한 사회진화론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구성원들은 지금은 제국주의 시대로 강력한 힘을 가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년 1월 민력양성(民力養成)을 목적으로 서북 지방에서 설립된 애국계몽단체.
    정의1908년 1월 민력양성(民力養成)을 목적으로 서북 지방에서 설립된 애국계몽단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eobuk Hakhoe | MR표기Sŏbuk Hak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월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년 6월에 창간된 서북학회 기관지.
    정의1908년 6월에 창간된 서북학회 기관지.[두산백과] | 문광부표기Seobuk Hakhoe wolbo | MR표기Sŏbuk Hakhoe wŏlb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대중(大衆)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0102 대중 다항 大衆 被支配階級의 稱號, 被指導群의 稱號 피지배계급의 칭호, 피지도집단의 칭호 百萬大衆을(西月報 3, 1908.8. 2면) 백만 대중을(西月報 3, 1908.8. 2면) 靑年...
    출전新語辭典[靑年朝鮮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주체 [사회생활] 사회관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대중(大衆)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0103 대중 다항 大衆 대중 被支配階級의稱號, 被指導群의稱號 피지배계급의 칭호, 피지도집단의 칭호 百萬大衆을(西月報 3, 1908.8. 2면) 백만 대중을(西月報 3, 1908.8. 2면)
    출전新語辭典[民潮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주체 [사회생활] 사회관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5)

  • 『몽학필독(蒙學必讀)』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함께 여자보학원유지회(女子普學院維持會)를 설립하여 여성 교육기관인 여자보학원(女子普學院)을 후원하는 한편, 여성지 『녀ᄌᆞ지남』을 간행하는 데에도 참여하였다.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 간사원, (西) 평의원, 대한협회(大韓協會) 평의원으로서 애국계몽단체의 구...
    서명 『몽학필독(蒙學必讀)』
  • 『문장지남(文章指南)』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성 교육기관인 여자보학원(女子普學院)을 후원하는 한편, 여성지 『녀ᄌᆞ지남』을 간행하는 데에도 참여하였다.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 간사원, (西) 평의원, 대한협회(大韓協會) 평의원으로서 애국계몽단체의 구국정치활동에 참여하였다. 주요 저서로 『간명물리교과서...
    서명 『문장지남(文章指南)』
  •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다.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 간사원, (西) 평의원, 대한협회(大韓協會) 평의원으로서 애국계몽단체의 구국정치활동에 참여하였다. 주요 저서로 『간명물리교과서(簡明物理敎科書)』, 『문장지남(文章指南)』,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 『몽학필독(蒙學必讀)...
    서명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
  • 『동몽수신서(童蒙修身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安鍾和)의 뒤를 이어 휘문의숙(徽文義塾)의 숙장을 역임했으며, (西)와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 대한협회(大韓協會) 등에서 활동하면서 애국계몽 운동에 기여하였다. 1907년에는 일본 헌병들이 이미 발행된 원영의의 저서나 미발행 원고...
    서명 『동몽수신서(童蒙修身書)』
  • 『부유독습(婦幼獨習)』 (권1(상)-권2(하))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 남궁억(南宮檍) 등과 대한황성신문(大韓皇城新聞)에서 운영했다. 애국운동, 계몽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서우학회(西友學會)’의 평의원을 역임했고, 한북흥학회(漢北興學會)와 서우학회를 통합하여 재조직한 (西)에서도 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서북협성학교(西北協成...
    서명 『부유독습(婦幼獨習)』 (권1(상)-권2(하))

신문·잡지(38)

  •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祝西 1908. 02. 01. 353 1047 류익수(柳益秀) 대한제국 의 설립에 대한 축사 , 설립, 축사 서우번역문.pdf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취지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취지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西趣旨書 1908. 02. 01. 350 1038~1041 편집부 대한제국 서우학회와 한북학회가 단합하여 를 설립한 취지를 논한 글 서우학...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의 성질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의 성질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西의性質 1908. 02. 01. 교육부 363 1081~1082 편집부 대한제국 의 성격에 대하여 논한 글 , 교육, 민지(民...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조직 회록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조직 회록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西組織會錄 1908. 02. 01. 회보 368 1101~1105 편집부 대한제국 조직 당시의 회의록 , 조직회 ...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를 축하하다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를 축하하다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7호 祝賀西 1908. 05. 01. 잡조 412 1223~1225 이기주(李基疇) 대한제국 의 창설을 축하하는 글 서우학회, 한북학회,...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7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2)

  • 12. 서울에 있는 정치단체의 해산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정치 단체, 해산, 일진회, 정우회, 진보당, , 조선협회, 국민동지회, 정합방찬성회, 국민교육회, 유생공동회, 한국협회, 통감부, 병합 성명서 프랑스어 5_CFD12.pdf (탈초)5_CFD12.pdf pdf 12-1. 별첨 1―대한인국...
    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9월 14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51. 일진회의 한일병합운동과 일본 통감부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기관단체, 사건, 제도 근대 대한제국 고서/고문서 일진회의 한일병합운동과 일본 통감부의 상황에 대한 보고 일진회, 한일병합운동, 통감부, 속죄, 애도, 서울 정부, 일진회, 대한협회, , 청원서, 심의회, 강령, 현상유지, 주간 리셉션, 천황정...
    집필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12월 12일 | 발신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주제어사전(3)

  • / 西 [역사/근대사]

    는 1909년 초 신민회와 같이 독립전쟁전략을 최고전략으로 채택하여 독립군기지건설에 주력하여 국외독립운동의 초석이 되었으며, 국내활동 특히 교육운동은 일제하 민족운동의 원동력이었다.

  • 유교구신론 / 儒敎求新論 [종교·철학/유학]

    하고 있다는 사실, 제3은 당시의 유자들이 주자학만을 숭상하고 법문을 무시했다는 것이다. 이 글은 1909년 <월보> 제1권 10호에 게재되었다.

  • 학회령 / 學會令 [교육/교육]

    관한 사항 등을 기재한 회칙을 첨부하여 학부대신의 인가를 받아야 했다. 결국 학회의 자율적인 활동이 전면 통제되었고, 대한자강회, 등이 강제해산을 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