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서명응” 에 대한 검색결과 3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9)

사전(114)

  • 참동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 펴낸 도가서. [내용] 6권 3책. 필사본. 후한 말 위백양(魏伯陽)의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를 해설한 것으로 그의 저술 총서인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에는 6권 중 5ㆍ6권인 제2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文靖)이다.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1716(숙종 42)-1787(정조 11). 조선 후기...
    이칭별칭 군수(君受)| 보만재(保晩齋)| 문정(文靖)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265 인물 () 1716 178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군수(君受), 호는 보만재(保晩齋). 1754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부제학과 이조판서를 거친 뒤,
    유형분류인물
  • 식파록(息波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939 문헌 식파록(息波錄) 식파록 息波錄 『해행총재(海行摠載)』가 집대성되어가는 중간 과정의 저작물. 홍계희(洪啓禧)가 일본 사행 기록을 수집하여 『해행총재』라는 제목으로 엮은 것을 ()이 전 61권으로 재정리하여 『...
    유형분류문헌
  • 남한가람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므로 다시 비치하기 위하여 그해에 저술하였다. 권두에는 조선 중기의 유학자 ()이 쓴 『남한지(南漢志)』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놓았으며, 책 끝에는 여러 명인들의 제영(題詠)ㆍ현판 등을 모았고, 산성의 간략한 역사ㆍ일화ㆍ민담 등도 수록하였다. 본문의 중...

고서·고문서(91)

기초학문(4)

  • 『도덕지귀』1장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민환, 게재일 : 2003
    08051 조민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3 『도덕지귀』1장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도덕지귀 편제에 나타난 보만재 의 상수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3665 한국연구재단 철학연구회 2004 도덕지귀 편제에 나타난 보만재 의 상수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도덕지귀』를 통해서 본 의 『도덕경』이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수, 게재일 : 2003
    06303 김경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3 『도덕지귀』를 통해서 본 의 『도덕경』이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保晩齋 의 生涯와 學問 : 學問的 問題意識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원목, 게재일 : 2003
    07938 장원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3 保晩齋 의 生涯와 學問 : 學問的 問題意識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2003

멀티미디어(80)

  • _ 홍석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_ 홍석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_ 홍석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_ 홍석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_ 홍석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주제어사전(1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16∼1787). 정리 증손, 할아버지는 문유, 아버지는 종옥, 어머니는 이집의 딸이다. 영의정 명선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이용후생을 추구하였는데, 이는 아들 서호수와 손자

  • 규장운서 / 奎章韻書 [언어/언어/문자]

    1779년에 ()이 정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운서. 8권, 필사본. 현재 전하지 않음. 『규장운서』는 정조가 1779년(정조 3)에 각신(閣臣) ()에게 지시하여 『예부운략(禮部韻略)』 이후에 나온 몇 종의 운서(韻書)를 대상으로 종합적으로 고증

  • 규장각지 / 奎章閣志 [역사/조선시대사]

    1776년신설된 규장각의 연혁 및 제도·의식 등을 기록한 역사서.연혁지. 2권 1책. 정조의 명을 받아 ()·채제공(蔡濟恭)·황경원(黃景源)·이복원(李福源) 등이 초초본(初草本)과 재초본(再草本)을 만들었고, 1784년(정조 8)에 정유자(丁酉字)로 간행하

  • 규장총목 / 奎章總目 [역사/조선시대사]

    1781년(정조 5) 서호수가 정조의 명을 받아 편성한 규장각 장서목록. 4권 3책. 1779년 이후 규장각에 소장된 모든 서적에 대한 기초 작업이 이루어졌다. 각신 등의 노력으로 1781년 2월에 작업이 일단 마무리되자, 정조는 원임규장각제학인 에게 ≪규장총목

  • 계몽도설 / 啓蒙圖說 [종교·철학]

    조선시대에 이 주희의 <역학계몽>을 그림으로 해설한 책. 1772년에 간행되었다. <역학계몽>은 주희가 주돈이와 소옹의 연구결과를 모아 지은 책으로 선천의 근본을 밝히고 있다. <계몽도설>은 총 5권으로 권1에는 <하도선모진체도> 등 21편, 권2는 <선천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