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령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35)
- 서령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서고공(尙書考功)ㆍ공부ㆍ전중성ㆍ상식국ㆍ상의국ㆍ상사국ㆍ상승국에 각 4인, 액정국에 3인, 동궁(東宮)ㆍ삼사ㆍ이부ㆍ병부ㆍ예부ㆍ상약국ㆍ도교서에 각 2인, 호부에 10인이 배속되었다. 한편, 서령사는 공신들의 자제에게 음서직(蔭敍職)으로 주어졌으며 동정직(同正職)...
- 堂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S_0137 堂后 정책-제도 堂后主書, 堂後官, 中書省, 承政院, 主書令史, 注書, 承旨, 主書, 廟堂 唐憲宗元年, 南齊 南齊 滑渙, 胡三省, 渙, 劉光琦, 李吉甫, 王言 綱目 S_25_01_13 성호사설 25권 1장 1...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5권 1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四世配享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D_0037 四世配享 제례 龍頭, 靖廟, 文廟, 肅廟, 毅廟, 龍門上客, 平章事, 三相國, 麟閣, 四功臣, 一門, 盛事 文憲公冲, 文和公惟善, 中書令思諏, 平章事允儀, 洪胤, 郞官崔仁全 補閒集 D_12_01_20 대동운부군옥 1...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1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도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공작(工作)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令) 2인, 승(丞) 4인, 이속으로 감작(監作) 4인, 서령사(書令史) 4인, 기관(記官)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잡작국...
- 장복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되풀이하다가 1391년(공양왕 3) 공조에 병합하였다. 이속(吏屬)은 문종 때 서령사(書令史) 4명, 기관(記官) 2명, 주의(注衣) 1명을 두었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서·고문서(16)
- 經史門8_堂后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之承政院也. 南齊時, 始置主書令史, 主書者, 恐今之注書, 如主簿亦稱注簿也. 然則主書乃堂后之一官, 今承旨皆可稱堂后, 而主書卽其僚屬也, 其謂堂后, 何也? 堂者, 廟堂也. 意者, 廟堂在前, 中書在後, 故仍爲名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科擧鄕貢,雖非國法,宜以文學之士,錄之于擧狀,不可苟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躙相殺。往往中試者,出於此類。富民之子,一字不學,買文買筆,納賂占額者,居其太半,國家用人之路,惟此而已,豈不寒心?○今式年之秋,郡縣修赴擧狀,報于京試官,或者此法,卽古鄕擧之遺意。守令修狀,唯以能作科文者,錄于成冊,其猥雜不文者,嚴禁冒赴,庶令士風小淸,民產不破。雖洪流巨浸,非隻手所能障,而不自我...권차명牧民心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出後 三十八 【出後者之子,爲其父本生諸親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服與無服,皆同降一等。【雖於所後家無服,猶以本親服】 謂襜之當服大功。” 【又云:“〈記〉云,‘夫爲人後,其妻爲舅姑大功服,猶不二降。’ 況其子孫骨肉至親,便當無服乎?”】 ○鏞案 王彪之意,亦與劉智同也。 晉太康中尙書令史遂殷 【人姓名】 表云:“父翔少繼叔父榮,榮早終,不及持重。今祖母姜氏亡,主...권차명喪禮四箋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雜件(잡건) [중국 「外交檔案」 근현대 한중관계 자료의 수집·해제·탈초·정본화 및 DB화 | 전남대학교]期滿理合稟報 憲轅伏候 察核施行 光緖三十年四月初八日 3면 釜山徐領事稟報三年期滿由 批: 據稟已悉該領事三年差滿照章應請獎叙業於四月初五日彙案陳 奏幷附片暫爲一月在案除俟欽奉 硃批再行飭知外仰候屆時遴員接替另札行知遵照繳[四月卄二日] 4면 稟[光緖三十年八月初六日到] 漢城總領事隨員分省試...문서명雜件(잡건) | 자료생산外務部 | 관련인물陳本仁
- 各員補照更名起服銷差請假捐升赴引卷(各員의 更名, 起服, 銷差, 請假, 捐升을 보고하는 안) [중국 「外交檔案」 근현대 한중관계 자료의 수집·해제·탈초·정본화 및 DB화 | 전남대학교]此嗣以陸副領事於十月二十二日到署卑領事卽於十月二十四日將關防文卷等件移交陸副領事接任視事所有卑領事交御日期理合據情申報肅稟恭請 46면 崇安伏乞 垂鑒卑領事肇賢謹稟. 光緖二十六年十月二十六日 47면 陸署領事稟到任拜客並與日本交涉奏件由 批: 據稟具悉尹監理能通華語自屬最妙日文繙譯極爲難...문서명各員補照更名起服銷差請假捐升赴引卷(各員의 更名, 起服, 銷差, 請假, 捐升을 보고하는 안) | 자료생산總理各國事務衙門 | 관련인물徐壽朋
신문·잡지(2)
- 개성신문_1952_0618_08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년 6월 18일 61 김명호 개성시 개성신문사 뉴욕, 불란서, 워싱톤, 미국 민권위원회 뉴욕발 따쓰통신에 의하면 『민권위원회』가 조직한 시위 운동이 뉴욕주재 불란서령사관 앞에서 거행되였다. 시위 참가자들은 『평화를 위하여 투쟁하는 불...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618_08 | 날짜1952년 6월 18일 | 책임주필김명호
- 조선급만주_1933_3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佛蘭西領事官訪問記 79 記者の眼に映じた京城人の橫顔(1) 80 漢詩 松田學鷗 選 8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기타자료(2)
- 신라가 고려에 항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勅令)을 받들고 부신(符信)이 도착하는 대로 봉행(奉行)하라. 주사(主事) 무명(無名), 낭중(郎中) 무명(無名), 서령사(書令史) 무명(無名), 공목(孔目) 무명(無名). 개보(開寶) 8년 10월 일에 내림.” (三國遺事 2 紀異 2 金傅大王) 【원문】대표표제어신라가 고려에 항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5년(乙未/신라 경순왕 9/후백제 견훤 36 신검 1/고려 태조 18/後唐 淸泰 2/日本 承平 5)
- 신라가 고려에 항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勅令)을 받들고 부신(符信)이 도착하는 대로 봉행(奉行)하라. 주사(主事) 무명(無名), 낭중(郎中) 무명(無名), 서령사(書令史) 무명(無名), 공목(孔目) 무명(無名). 개보(開寶) 8년 10월 일에 내림.” (『三國遺事』 2 紀異 2 金傅大王) 【원문】 十一...대표표제어신라가 고려에 항복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5년(乙未/신라 경순왕 9/후백제 견훤 36 신검 1/고려 태조 18/後唐 淸泰 2/日本 承平 5)
주제어사전(5)
-
서령사 / 書令史 [정치·법제/법제·행정]
배속되었다. 서령사는 공신들의 자제에게 음서직으로 주어졌으며 동정직으로도 설정되어 있었다. 경제적 처우로는 1076년(문종 30) 경정전시과의 제17과에 해당되어 전지 20결을 받았다.
-
도교서 / 都校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공작을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 2인, 승 4인, 이속으로 감작 4인, 서령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잡작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복구되었다. 이 때 관원들
-
봉거서 / 奉車署 [정치·법제/법제·행정]
문종구제로, 1372년에 다시 봉거서로 되는 등 개편이 되풀이되었다. 1391년(공양왕 3)에 중방에 병합되었다. 이속으로는 문종 때 서령사 4인, 승지 50인을 두었다.
-
상서도성 / 尙書都省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1인, 도사(종7품) 2인이 있었다. 주사 4인, 영사 6인, 서령사 6인, 기관 20인, 산사 1인, 직성 2인 등 이속이 있었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압력으로 고려 관제가 격하될 때 첨의부에 병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상약국 / 尙藥局 [정치·법제/법제·행정]
밖에 의침사 2인, 약동 2인이 배치되어 있다. 의침사는 침술치료, 약동은 왕약의 조제를 담당했었다. 더욱이서령사 2인과 산사 2인이 부속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