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생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3)
사전(64)
- 생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익히지 않고 날로 무친 나물. [내용] 생채는 각 계절마다 새로 나오는 채소나 산나물이 모두 쓰이는데, ≪증보산림경제≫에 보면 특히 갓류‧넘나물[黃花菜]‧두릅‧구기의 어린 순‧죽순‧감국화 같은 향신채(香辛菜)가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
- 殺牲祭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B2_S_0001 殺牲祭天 세시의례 郊, 天神, 廟, 人鬼, 理, 嘗待食, 牲牢, 黍稷, 山魅, 木妖, 氣聚幻像, 幻像, 上帝之尊, 刳胎, 殺夭, 麒麟, 不至 S_01_01_18 성호사설 1권 1장 18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권 1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生菜挂背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S_0016 生菜挂背 식물 生菜, 藦菰香, 我俗, 鶴氅, 挂背, 道服 高麗 元人, 楊允孚, 張光弼 宮詞 S_05_01_31 성호사설 5권 1장 31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5권 1장 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省柴爛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0_O_0011 省柴爛物 도구 기타 柴, 米, 菟裘, 樵汲, 都下, 柴炭, 草芥木梯, 蘇桂, 新蘭, 輿薪, 萬錢, 炕堗, 寒計, 騏驎院, 馬通, 寶香, 馬屎, 通, 牛屎, 洞, 猪屎, 零, 胴腸, 胴, 烘炕, 京師, 僕隸, 焫通, 暖堗之法, 炊饌,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0권 1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무생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를 채 썰어 식초, 설탕, 고춧가루 등의 양념을 넣고 무쳐 먹는 생채.정의무를 채 썰어 식초, 설탕, 고춧가루 등의 양념을 넣고 무쳐 먹는 생채.[두산백과] | 문광부표기musaengchae | MR표기musaengc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30)
- 萬物門2_生菜挂背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生菜挂背 元人楊允孚詩云: “更說高麗生菜美, 摠輸山後蘑蘑: 국중본(가)ㆍ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藦’로 되어 있다. 와세다대본에 따라 바로잡는다. 菰香.” 自註: “高麗人以生菜裹飯食之.” 我俗, 至今尙然, 蔬菜葉大者, 皆如此, 萵苣爲上, 家家種之, 爲此故也. 張光弼《...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天地門1_殺牲祭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殺牲祭天 郊焉, 而天神格; 廟焉, 而人鬼享. 人死爲鬼, 人嘗飮食, 故鼎俎齊盛, 皆所以事之如生也. 天神者, 以理言也, 理何嘗待食哉? 又豈有降歆於牲牢參稷? 是則以人待天, 恐無是義. 今有山魅、木妖, 不過氣聚幻像, 而或用食物禱祀者, 何也? 凡鬼道, 好人之尊奉, 故以人道奉之...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篇八]服食門_生菜挂背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生菜挂背 挂: 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生菜桂背’로 되어 있다. 元人楊允孚詩云: “更說高麗生菜美, 摠輸山後蘑菰香.” 自註: “高麗人以生菜裹飯食之.” 我俗, 至今尙然, 蔬菜葉大者, 皆如此, 萵苣爲上, 家家種之, 爲此故也. 張光弼《宮詞》: “宮衣新尙高麗樣, 方...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조선시대 역학서:1748_동문유해(下)_菜 又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동문유해 122 1748_동문유해(下) 菜 又 동문유해(곤)_004b.jpg 菜 又 蘿葍 무우 蔓菁 쉿무우 生薑 生薑 芥子 계 蔥菜 파 大蒜 마 薤蔡 부 小根菜 랑귀 黃苽 외 冬苽 동화 茄子 가지 水茄子 슈가지 芹菜 미나리 白菜 生菜 ...편명1748_동문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下)_菜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유해 100 1768_몽어유해(下) 菜 1768몽어유해(하)003a.jpg 菜 蘿葍 무우 蔓菁 쉿무우 生薑 生薑 芥子 계 蔥菜 파 大蒜 마 韮菜 부 黃苽 외 冬苽 동화 茄子 가지 芹菜 미나리 白菜 生菜 拳頭菜 고사리 海菜 머육 海帶 다...편명1768_몽어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신문·잡지(9)
- 코리아평론_1977_18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会見 54 在日韓国人・金敬得君の<司法修習生採用問題>に関する要望書 57 勧告日誌 59 기사 분절필요 北朝鮮日...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7
- 통일평론_1989_28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民族史観の再定立 (8) 韓国問題研究班 99 JRの通学定期券なぜ高い? 110 第十三回世界青年学生祭典, 平壤で開催!...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9
- 은하수_2001_18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뜻없는 날이 세계적 <명절>로 되기까지 63 생채기에서 발견한 기적 64 민간료법 몇가지 65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1
- 대중과학_1966_5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생채와 위생 춘초 65 침을 놓은 다음 이상 현상에 대한 처치 66 요충병과 어린이의 건강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66
- 황해일보_1952_0924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자체 수매하여 인민생활안정을 위한 월동대책에 적응할 수 있도록 수송조직과 공급대책들을 토의하였다. 계획에 의하면 소채에 있어서 로동자 사무원들과 일반 소비자들에게 렴가로 공급하며 동기와 봄철에 공급하기 위하여 생채와 소금저림을 하여 둘 것을 계획하고 있다. 김창용...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924_03 | 책임주필김원선
주제어사전(1)
-
생채 / 生菜 [생활/식생활]
익히지 않고 날로 무친 나물. 생채는 각 계절마다 새로 나오는 채소나 산나물이 모두 쓰이는데, ≪증보산림경제≫에 보면 특히 갓류·넘나물[黃花菜]·두릅·구기의 어린 순·죽순·감국화 같은 향신채(香辛菜)가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종류로는 식초·기름·간장 또는 소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