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생약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생약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게 공급함으로써 백성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1425년(세종 7) 이조의 상계(上啓)에 따라 생약포의 겸관도 재화를 취급하는 타관서의 녹관(祿官)과 같이 해유(解由)를 거친 뒤 사무를 보도록 하였다. 한편, 종래 생약포에서 필요로 하는 당약재...
- 陳羽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J_0232 陳羽 시 步虛詞, 淸齋, 鼎書, 內官, 畫雲車, 壇上月明, 宮殿閉, 仰看星斗, 禮空虛, 生藥圃, 醮齋壇 漢武, 趙嘏 J_12_01_01 지봉유설 12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2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
- 귀후소(歸厚所)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595 B030595 귀후소 歸厚所 정치행정 世宗實錄 七年(1425) 六月 세종실록_10706002_006 ○吏曹啓: “生藥鋪、昭格殿、迎接都監、威儀色、忠扈衛、惠民局、濟生院、東西活人院、歸厚所、東西窰、沈藏庫, 凡有錢穀各處兼帶官, 請依祿官例, 竝令解由傳掌。” 從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생약포 / 生藥鋪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약재를 비치하여 백성의 필요에 대비한 관서. 1429년 전의감·혜민국·제생원과 같이 생약포의 관인들이 교대로 명나라에 가서 구매하여 오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1458년(세조 4) 6월 생약포 관원의 근무소홀과 부주의로 약재가 부족하고, 약재의 구입에 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