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생선구이”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스로 떨어지고 맛이 좋다고 하였다. 는 통째로 굽거나 토막을 쳐서 굽는데, 조미방법은 소금만 발라 굽는 법, 간장ㆍ설탕ㆍ후춧가루로 만든 양념장을 발라가며 굽는 방법, 파ㆍ마늘ㆍ생강ㆍ참기름ㆍ설탕ㆍ고춧가루ㆍ후춧가루ㆍ간장으로 만든 양념장을 발라 가며 굽는 방법...
  • 근대신어 : 나이스(나이쓰)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報, 1931.1.30. 2면) 쌀밥, 곰국, 전골, 김치, 도미, 된장찌개에 나이스 소리를 연발하고(東亞日報, 1931.1.30. 2면)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31 성질...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성질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수라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물)‧생채(무생채)‧구이(너비아니구이‧)‧조림(조기조림‧사태장조림)‧전(민어전‧뮈쌈)‧적(송이산적‧사슬적)‧자반(북어무침‧장똑도기‧대구포‧어란‧장포육)‧젓갈(새우젓)‧회(육회‧민어회)‧편육‧장과(삼합장과‧오이통장과)‧별찬(육회‧어회‧어채‧수란) 등이다.
  • 오자서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왕의 형제와 아들이 모두 출전하여 오왕이 홀로 있을 때, 전저가 속에 칼을 숨겨 들어가 오왕을 죽인다. 공자광이 왕위에 오르자 초나라 각완의 군대와 싸우던 전왕의 형제 엄여와 촉용이 도망한다. 비우극이 각완을 모해하여 자결하도록 하자, 각완의 아들 백...
    이칭별칭오월춘추|오자서전
  • 음식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막에서 술 한 사발을 마시면 꼭 공짜안주 한 점이 붙는다. 마른안주로는 육포‧어포 등이 있었고, 진안주로는 삶은 돼지고기와 너비아니‧빈대떡‧떡산적‧ 등이 있었다. 주막에서 파는 독특한 음식으로는 장국밥을 들 수 있다. 장국밥은 양지머리로 맑은 국물을 얻고...

구술자료(2)

  • . 큰 생선 이렇게 껍데기 말고 딱딱한 거 있잖아요. [조사자: 비늘?] 네. 비늘. 그 안 빼고 그냥 튀겨요. 그럼 바삭바삭해요. 이쁘게. [조사자: 그러니까 엄청 비싸고 좋은 음식들 해왔고?] 네. 그래도 안 되고. 그런데 막내 왕자는 그냥 쌀하고 대나무
    국가베트남 | 제보자누구엔티미두이엔(원지영) [베트남, 여, 1989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임신과 출산 육아 과정에서의 상처와 가족 사랑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눈치보고 골랐어요. 그래, 그래서 이제 첫 생일 때 어머님이 흰밥 해줬어요. 흰밥을, “베트남 밥이야.” 해 주고. 그리고 그때 여기 음식이 안 맞아가지고 만, 그런 거 잘 먹고. 그래서 도 많이 해 주고. 그 첫 생일 어머님한테 인제 받았던 그 밥상
    국가베트남, 필리핀 | 제보자호티홍녀(한수아) [베트남, 여, 1986년생, 결혼이주 11년차] 엔티터번(이연아) [베트남, 여, 1984년생, 결혼이주 11년차] 메리안 [필리핀, 여, 1970년생, 결혼이주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

  • 와 과자로 오전 간식을 한 원아들이 또 점심을 먹으려고 세면실에서 손을 차례로 싯고 식당에로 가는 참이었다. 역시 앙증스런 제각기 표를 한 내□킨들을 낮은 벽에서 제손으로 찾아두르고 넷식 힌보씨운 식탁에 마주앉는다. 고기와 계란이든 감자스―프 파란 오이쪽을 곁드린 ...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623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1)

  • / 生鮮─ [생활/식생활]

    생선에 소금을 뿌려 굽거나 양념장을 발라서 구은 음식. 생선을 구워 먹는 방법은 선사시대의 유적지에서 생선의 뼈가 출토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일찍부터 개발된 요리법으로 추측된다. 그 뒤 점차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굽는 법도 다양하게 발달하여 지금까지 제례의 제물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