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생생자” 에 대한 검색결과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그 인본(印本)으로서는 ≪譜≫와 ≪어정인서록 御定人瑞錄≫이 있다. ≪보≫ 1책은 활자를 주성한 바로 그 해에 ≪강희자전≫의 예를 따라 의 자종(字種) 및 자수(字藪)를 기록한 자보이다. ≪어정인서록≫ 4권 2책은 1794년 홍낙성(...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목활자(木活字) 『보(譜)』, 『일성록(日省錄)』, 정리자(整理字), 『주자사실(鑄字事實)』, 『취진자보(聚珍字譜)』 교육 출판출판/인쇄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정조 옥영정 ...
    상위어목활자(木活字) | 관련어『생생자보(生生字譜)』, 『일성록(日省錄)』, 정리자(整理字), 『주자사실(鑄字事實)』, 『취진자보(聚珍字譜)』
  • 다노 세이사이(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052 인물 다노 세이사이(田) 다노 세이사이 田 ? ?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전생성재(田). 호는 세이사이(省齋), 이름은 세이힌(聖賓).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
    유형분류인물
  • 규장전운의례관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규장전운』의 권두 의례 말미에 보이는 ()의 명칭에 대한 의문의 제기이다. 는 의례에서 밝히고 있듯이 1794년(정조 18) 갑인년에 나무로 만든 활자이다. 이 책에서는 는 어떤 뜻으로 이름한 것인지 알지 못하나 통속적으로 주자(鑄字)...
  • 문사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박종훈(朴宗薰)이 구양수(歐陽脩)와 소식(蘇軾)의 문장을 발췌하여 편집한 책. [내용] 8권 4책. 본(本). 편자가 왕명을 받아 1829년(순조 29) 간행하였다. 권두에 저자가 찬하고 김정희(金正喜)가 쓴...

고서·고문서(10)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今我旣羞告爾于朕志,若否,罔有弗欽。無總于貨寶,庸。式敷民德,永肩一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30 尙書古訓 卷四 ITKC_MP_0597A_0530_040_0070 今我旣羞告爾于朕志,若否,罔有弗欽。無總于貨寶,庸。式敷民德,永肩一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권차명尙書古訓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答李觀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nk?DCI=ITKC_MP_0597A_0180_030_0650_2014_004_XML 004 《麻科會通》,重孤盛念,謹玆奉呈。頃見海州ㆍ瑞興兩倅,有志乎剞劂。然昔在閣中,李直學諸人亦云‘此書不可泯’,而閣中幹事者,亦欲以印出。苟自閣中開雕,似益省力,容俟與彼往復,當有仰報,...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初等本國略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이니 佛敎의圓覺經을印ᄒᆞ고 成宗朝에至ᄒᆞ야 辛卯字及癸丑字를鑄ᄒᆞ며 正祖十八年에 字典本을 取ᄒᆞ야刻ᄒᆞ니 此를 이라ᄒᆞ고 二十年에 整理字를鑄ᄒᆞ니라
    서명初等本國略史 | 자료명第二 太宗大王의活字新鑄
  • ○청파에 머물면서 배소(配所)가 정해지기를 힘들게 기다렸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留靑坡, 難待配所之定。身氣萎弱, 似難支持。○尹、朴來推元結數。姑問生到配所否, 則不死到彼云云。更問戊寅否, 則似生一二云云。○棄尸, 令撤之, 奴輩往收入棺云云。權瑊與爓共見爲之。頭、四肢分送各道回示云云。○鄭希登杖毒死于路云云。○曉, 應敏、應符等來見, 共哭之。 1545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만들었다. 이 활자는 정성스럽게 도각한 인서체로, 그 중 대자는 자체가 넓적하고 자획이 굵은 것이 특징, 정리자의 자본이 되었다. 그 인본으로서는 ≪보≫와 ≪어정인서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