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색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성균관
연구성과물(371)
사전(102)
- 색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성균관 소속의 임원. [내용] 동‧서재에서 각 2인씩 선임되었는데 상급자를 상색장, 하급자를 하색장이라 하였다. 또, 색장 위에는 장의(掌議 : 학생대표격)가 있었고 아래에는 조사(曹司)가 있었다. 이들은 성균관의 학생임...
- 색장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남원부의 아전이다. 신임 사또에게 춘향을 데려 오라는 명령을 받자, 춘향은 기적에도 이름이 올라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임 사또의 아들에게 허신한 이후로 정절을 지키고 있으니 그럴 수 없다고 대답한다. 그러나 사또의 불 같은 호령에 마지 못하여 춘향이를 데리고 사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색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이이(李珥, 1536-1584)가 향약 규정을 만들어 각 마을에 마련한 직위의 하나.정의조선시대 이이(李珥, 1536-1584)가 향약 규정을 만들어 각 마을에 마련한 직위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ekjang | MR표기saekch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피색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짐승의 가죽으로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드는 사람. 공조(工曹)와 상의원(尙衣院)에 소속되어 모피를 다루는 사피장, 상의원, 군기시(軍器寺)에 소속되어 생가죽을 다루는 생피장(生皮匠), 제용감(濟用監)에 속하여 털과 기름을 뽑아 생피(生皮)를 숙피로 만드는 숙피장(熟皮匠)...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김색장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관아의 사령이다. 빙옥을 데려오라는 호장의 명령을 받고 빙옥에게 말을 전하기 위해 빙옥의 집을 찾아간다. 빙옥의 사정을 딱히 여겨 다시 관아로 돌아가 부사에게 빙옥이 병들어 데리고 오지 못한다고 아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58)
- 伯夷目不視惡色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40 孟子要義 卷二 ITKC_MP_0597A_0340_020_0090 伯夷目不視惡色章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孟子要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口之於味目之於色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40 孟子要義 卷二 ITKC_MP_0597A_0340_040_0340 口之於味目之於色章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孟子要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754~1814년 장의(掌議) 류(柳), 색장(色掌) 정(鄭) 품목(稟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나주 회진 나주임씨 창계 후손가
- 稽古 人固有貌敬色莊者矣. 使居高顯處名譽, 則()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LL_4:2:20 人固有貌敬色莊者矣. 使居高顯處名譽, 則雖若儼然矜持, 而其心未可知, 是或爲人而敬也. 至於隴畝之間, 賤之極也; 夫婦之際, 褻之至也, 於此而敬, 是謂心敬, 如臼季, 可謂善觀德行矣.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고려도경_雙螭扇四 采色裝飾 略同單螭 但繡形並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407 중국 정서 고려도경 儀物1 雙螭扇 074 인종(仁宗) 1 1123 雙螭扇四 采色裝飾 略同單螭 但繡形並列 行禮則亦以親衛軍執之 의생활, 이 글은 『宣和奉使高麗圖經』에 수록되어 있으나 특정 시점으로 편년하기 어려운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구술자료(3)
- 서울소리 박춘재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비가① 6) 제비가②B면 1) 각색장사치흉내 2) 경산타령 매화타령 3) 장님흉내 4) 이팔청춘 5) 사설난봉가 6) 무당노래가락 pdf F-311.jpg jp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춘재
- 서울소리 박춘재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비가① 6) 제비가②B면 1) 각색장사치흉내 2) 경산타령 매화타령 3) 장님흉내 4) 이팔청춘 5) 사설난봉가 6) 무당노래가락 pdf F-311.jpg jp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홍도
- 경상남도 창원시_1,2. 지게말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부른다. 칭칭이도 하고 상사디야도 부른다. 어른 두레엔 공원과 좌상, 숫총각, 색장이 있었다. 고동을 불고 나갔다.바가치에다 각자 밥을 받아 앞에 놓고는 "진지 아뢰오 ㅡ "고하고서야 밥을 먹었다. 다 먹으면 "진지 필이요"하고 고한다. * 열댓살 또래로 구성된녹음지역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삼계리 (옛 의창군 내서면 삼계리 삼계 마을) | 녹음날짜1989.2.22 | 가창방식1,2. 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1)
- 녹색장벽의 국제적 동향과 한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용헌, 게재일 : 201249317 김용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상학회 2012 녹색장벽의 국제적 동향과 한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
- 本人의從子朴鳳舜이가性本放蕩야傳來家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의從子朴鳳舜이가性本放蕩야傳來家舍田畓을盡輪賣食고誤結雜類야酒色塲에出沒고僞造田券야或軍錢도用며或日人에典債도用야門中에排族코져오니內外國人은勿爲見期고錢財相關을永絶홈 平壤古順和坊 朴永燁 告白게재일1904년 9월 12일 | 기사분류광고
- 동북후비군_2002_37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미래에는 유감이 없을 것이다 은국평 27 조선전쟁중의 회색장정 리해조, 우택, 거지 29 민병련장은 조직정돈을 어...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2
기타자료(5)
- 백성기;白盛基;백원성기;白原盛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5218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87면 백성기;白盛基;백원성기;白原盛基 완주군 상관면 색장리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승민;朴勝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345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47면 1. 卒業生;7) 7회(27명: 1915년 3월 졸업) 박승민;朴勝敏 경기 연천군 積城面 索長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덕 덕곡리교차로 건설부지내 영덕 덕곡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에서 A구역에서는 민묘 이장과 수목이식 시 나온 사토 내에서는 대부호 등 토도류 45점, 철모 등 금속류 55점이 출토되었다. B구역에서는 적갈색장란형옹 1점을 비롯하여 백자 등 토도류 20점, 관정 등 금속류 25점, 옥석류 3점이 출토되었다. 이번 조사는 조사지...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탐진 다목적댐 수몰지역 문화유적Ⅸ-장흥 상방촌 A유적 II -건물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表□□, 厚心堂主散員同正表元載京瓦匠莫志, 散員同正, 庚午九月日造瓦差使, 九月日祖父色長珍佑, 三□, □草, 南□, 主甫(?)이다. 상방촌A유적 출토유물 중 도기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나 대부분 편으로 확인되어 전체적인 기형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은 소수에 불과하다...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한국수자원공사 | 발굴지역전라남도
- 북조선임시도위원회 대표자협의회 결과 보고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다. 철도 차량에 대한 정확한 계산은 나와 있지 않다. 5) 통신 및 신호‧연동‧폐색장치 철도의 통신 상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철도 책임자들이 현 시점까지도 통신선 및 신호‧연동‧폐색장치의 계획적 수리를 조직하지 않았으며, 자신들의 일을 통신 수리반을 조직하는 것으...키워드북조선임시도위원회, 인민자치위원회, 지방자치, 선거 | 대표주제어북조선임시도위원회 | 발신자북조선임시도위원회 대표자협의회 | 수신자연해주군관구 군사회의
주제어사전(5)
-
색장 / 色掌 [교육/교육]
조선시대 성균관 소속의 재임(임원). 동·서재에서 각 2인씩 선임되었는데 상급자를 상색장, 하급자를 하색장이라 하였다. 또, 색장 위에는 장의(학생대표격)가 있었고 아래에는 조사가 있었다. 성균관의 학생임원으로 동·서재에 당직하면서 문묘의 수호·관리 및 학생자치에
-
과거등록 / 科擧謄錄 [역사/조선시대사]
말에는 방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방중색장(榜中色掌)·은문색장(恩門色掌)·수권색장(收卷色掌), 1·2소의 시험 제목 등을 적고, 그것이 복시방목일 때는 초시의 시행 연월일, 각 시험 장소의 시관명·시제, 장원의 성명 등을 적었다. 그리고 끝으로 복시의 출방 연월
-
뚜껑모양동기 / 圓蓋形銅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그릇의 뚜껑처럼 둥글고 한 편이 오목하게 생긴 청동기시대의 의기(儀器). 두 유적은 동일한 형식의 분묘유적일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거친무늬거울〔粗文鏡〕, 삼각형간돌살촉〔三角形磨製石鏃〕, 흑색목항아리〔黑色長頸壺〕가 공통적으로 껴묻혀 있었다. 따라서 여기서 출토된 뚜
-
방자 / 房子 [사회/사회구조]
색장나인 밑에서 심부름을 하거나 문안편지를 돌리는 바깥 근무를 하였다. 한편, 지방관서의 방자의 복색은 무릎높이로 짧은 무명 창의를 입고 신은 미투리, 그 위로 무릎까지 닿는 통행전을 친다.
-
부벽몽유록 / 浮碧夢遊錄 [문학/한문학]
작의도를 분명히 알 수 없다.「부벽몽유록」의 작중화자인 여는 작품 속에서 철저한 관찰자로만 나타나고 있다. 몽유중의 주인공 사소랑의 앞에는 ‘관서투색장군’이란 관사가 붙어 있다. 이 관사는 작품 속에서 세 미녀의 등장과 ‘투색(妬色)’, 즉 ‘아름다움을 시새운다’는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