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
사전(68)
- 상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국왕의 새보(璽寶)‧부신(符信) 등을 관장하였던 관서. [내용] 고려시대에는 상서사(尙瑞司)가 있었는데, 정방(政房)‧지인방(知印房)‧차자방(箚子房) 등으로 불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1392년(태조 1) 고려의 제도를 따라...이칭별칭상서사
- 근대신어 : 양초(양초)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7984 양초 아항 양초 한자 양초 새보 한자, 양초, 새보 학부 普通學校 學徒用 國語讀本 7 1907 13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3, 52면 생활용품출전普通學校 學徒用 國語讀本 | 계통분류 [사회생활] 생활용품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압책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각종의 책봉례(冊封禮)를 행할 때 국왕이 보내는 사절단의 일원. [내용] 태후ㆍ왕비ㆍ태자ㆍ왕녀 등을 책봉할 때 왕이 내리는 옥책(玉冊)ㆍ새보(璽寶) 및 물장(物狀)을 행사장까지 운반하는 책임을 맡았는데, 이를 위해 지책(持冊)과...
- 조흡중군도총제부총제왕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양질 저지에 초서체로 5행에 결쳐 필사되었다. 왕지는 1426년(세종 8) 이후에는 교지(敎旨)라 일컬어졌으며, 새보(璽寶)도 ‘朝鮮國王之印(조선국왕지인)’을 사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따라서, 조선 초기의 성격과 특징을 지닌 왕지로서, 고문서연...연계항목조흡중군도총제부총제왕지(曺恰中軍都摠制府摠制王旨)
- 조흡도총제부동지총제왕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璽寶)가 찍혀 있다. 조흡은 본관이 창녕(昌寧)으로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조민수(曺敏修)의 손자이며, 정종∼세종 때 활약한 무신이다.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를 비롯하여 좌‧우‧중군도총제부(左右中軍都摠制府) 총제 등의 벼슬을 지냈다. 조흡의 왕지는 사...연계항목조흡도총제부동지총제왕지(曺恰都摠制府同知摠制王旨)
고서·고문서(25)
- 새보는 아가의 노래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930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새보는 아가의 노래 〈mn〉악보 있음, 오선보〈/mn〉 〈m〉Moderato, 이야기 부치는 듯이〈/m〉 〈a〉윤복진〈/a〉 〈co〉박태준〈/co〉 〈#294〉 봐라 참새야 너도 눈이 있지 올해만...구분창가
- 보람 75 (4) 새보금자리 차린 歸順勇士(귀순용사) 孔卓虎(공탁호)씨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보람 75 (4) 새보금자리 차린 歸順勇士(귀순용사) 孔卓虎(공탁호)씨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대표표제어보람 75 (4) 새보금자리 차린 歸順勇士(귀순용사) 孔卓虎(공탁호)씨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귀순, 보위부, 군사분계선, 월남
- 파랑새 노래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아버지의 넋 새보오 엄마 죽은 넋 새외다구분창가
- 제비꽃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 냇 물결 언덕 우에 제비꽃 나 물새보고 방긋 웃는 제비꽃 하나 좋은 얼골 물 속에 빛이며 보며 한들한들 춤 추는 제비꽃 하나구분창가 | 편저자洪永厚
- 원사_元史36 本紀36 文宗5 至順三年六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884 중국 정사 원사 본기 483 충숙왕(忠肅王) 후1 1332 6 27 元史36 本紀36 文宗5 至順三年六月 乙丑 御史臺臣劾遼陽行省參政賽甫丁 庸鄙不勝任 罷之 몽고정세, 臺諫, 至順 3년은 충숙왕 후1년(1332)...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숙왕(忠肅王) 후1
구술자료(4)
- 경상남도 밀양시_어산영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면 임고리 토민) 이소라 이소라 어산영 류 독창 + (제창) 위,위,위위위, 위여 어어 (이후후후) 우리 영감아 아, 불쌍하고 원통하다 아아, 병자년 숭년에 콩지름 깽죽 열아홉그릇 묵고 오, 뒷들 논에 새보러가서-, 메뚜기 뒷달가지 채이죽은 영감아 아, 불쌍하고녹음지역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 | 녹음날짜1985.8.29 | 가창방식독창 + (제창)
- 의붓자매 떰과 깜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말했어요. “내 남편 옷 빨으면 깨끗하게 빨아라.” 라고 큰 소리로 말했어요. 근데 왕은 그 소리 듣고 “어, 나의 아내 목소리 같다.” 그래서 그 새보고 말했어요. 내 아내 맞으면은 내 저기 이 여기 여기 그 옛날에 그 왕은 이거 크잖아요. 들어가라. 그 말이국가베트남 | 제보자팜티루엔(김민주) [베트남,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죽고 죽이는 와중에서 살아남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게. 나 는 열다섯 살 먹고. 니살 새로 그건 열한 살 먹었어. 긍게 째깐헝게 맨 심바람만 댕겼어. 그 반란 군들도 너네가 새보믄 심바람만 시킨당게. 새보러 간 놈을. 그래갖고 내중에는 그거도 안 보냈어 인자. 데리꼬 가부릴께미. 영리허게 생겨농께 또 데리꼬 가부리지.조사지역전남 함평 | 조사일2012년 2월 19일
- 경찰 가족임을 숨기고 힘겹게 살아가다(두번째 구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나는 열다섯 살 먹고. 니살 새로 그건 열한 살 먹었어. 긍게 째깐헝게 맨 심바람만 댕겼어. 그 반란 군들도 너네가 새보믄 심바람만 시킨당게. 새보러 간 놈을. 그래갖고 내중에는 그거도 안 보냈어 인자. 데리꼬 가부릴께미. 영리허게 생겨농께 또 데리꼬 가부리지. [조사조사지역전남 함평 | 조사일2012년 2월 19일
신문·잡지(5)
- 교육주보_1966_3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판권지 3 짜임새보다 운영의 묘를 기해야 한다 3 국가발전...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별나라_1933_08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쉬운이야기 1 송영 4 새보는 노래 세영 7 피케의 일기중에서 신고 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 만한지실업_1913_8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48 동대만의 나체도 48 음향의 동경 49 새보담 보곰자리는 져거 4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3
- 개성신문_1952_051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므로 개성 개풍지구 농민들은 이미 일은 봄부터 보뚝막이와 제방수축공사에 로력하여 성과 있게 이 사업을 수행하였다. 진서면 농민들은 선적보 새보 상중하보 소금바위보 등 2,050메터의 보를 지난 4월 8일에 완전히 막았으며 개풍군 내 농민들은 지난 3월 17일에 31,6...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517_01 | 날짜1952년 5월 17일 | 책임주필김명호
- 쏘베트신보_1953_082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의 확장, 새보트장, 교외 휴식지, 려행야영지의 창설, 휴양소, 료양소, 삐오네르 야영들의 건설과 확장이 예정되고 있다. 연구소는 국내의 주동적 과학 기관들의 창조적 방조를 받고 있다.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건축 아까데미야는 도시 건설의 선진적 경험에 관한 자...대표표제어쏘베트신보_1953_0827_01 | 책임주필브·브·유르사노브
기타자료(1)
- 함안 도시계획시설지구내 함안 오곡리 유적Ⅱ - 와요지‧건물지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와류와 막새류, 그리고 청자 및 분청사기의 기형이나 문양 및 유색, 굽의 형태, 번조 수법 등으로 보아 Ⅱ호 건물지의 중심연대는 두 시기로 나누어지는데 그 시간 폭이 다소 크게 나타난다. 먼저 수막새에 있어서도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에 만들어진 막새보다는 많이 퇴화된 양식...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계림산업개발/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8)
-
새보 / 璽寶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실의 인신. 옥인을 새(璽)라 하고 금인을 보(寶)라 한다. 국왕의 금인(金印)을 대보(大寶)라 하여 용도에 따라 보명을 달리 하였다. 책봉(冊封)·제수(除授) 등에는 ‘시명지보(施命之寶)’를 쓰는 경우와 같이 그 밖에 ‘전명지보(傳命之寶)’[전입시(傳位時)]·‘제
-
각감청 / 閣監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왕의 초상화·친필·인장 등을 봉안,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규장각 산하의 관서. 역대왕들의 초상화·친필·어제·왕실족보·새보·인장·보감 등을 봉안하고 관리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
동문지보 / 同文之寶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서적을 배포할 때 사용하던 어보(御寶). 『대전통편(大典通編)』과 『대전회통(大典會通)』의 예전(禮典) 새보조(璽寶條)에 보면, “동문지보는 서적을 반사(頒賜)할 때 쓴다.”고 하였다. 영조 때부터 쓰였다고 하나, 실제로 쓴 예는 1781년(정조 5)에 간행
-
상서원 / 尙瑞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의 새보·부신 등을 관장하였던 관서. 1392년(태조 1) 고려의 제도를 따라 상서사를 설치하였다. 이후 ≪경국대전≫에 나타난 직제를 보면, 정 1인, 판관 1인, 직장 1인, 부직장 2인으로 구성, 정은 도승지가 겸하도록 규정되었다. ≪속대전≫에서는
-
부직장 / 副直長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상서원의 정8품 관직. 조선시대 상서원은 새보(옥새와 옥보)·부패(병부·순패·마패)·절술(신표와 대부)을 관장하던 기관이다.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에서는 상서사가 상서원으로 승격되면서 윤을 정(正)으로, 승을 판관으로, 녹사를 부직장으로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