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새만금간척사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3)
- 동진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높이 64m로 신축하고 저수지의 풍부한 물을 칠보발전소에서 이용한 뒤 동진강으로 유입시켜 그 일부를 계화도(界火島) 간척지의 농업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현황] 동진강과 만경강 하구 일대는 새만금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군산에서 고군산군도와 부안에 이르...
- 만경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0여㎞의 대간선(大幹線) 관개수로를 통해 1919년에 완공된 옥구반도 서쪽의 미옥간척지(米沃干拓地)와 미면간척지(米面干拓地)에 공급되어 대규모의 농업개발이 이루어졌다. [현황]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일대는 새만금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군산에서...
- 새만금간척사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07년 12월 27일 제정되어 사업추진을 위한 법률적 뒷받침이 마련되었다. 새만금간척사업은 단군 이래 최대의 국토개발 사업이며 방조제포함 전체 사업비 24조를투입하여 40,100ha(여의도 면적 140배)를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하도록 예정...이칭별칭아리울(Ariul)|새만금사업
- 고군산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산‧비응도‧고군산군도(야미도‧신시도)‧가력도‧부안 변산반도를 잇는 새만금간척사업은 33㎞의 방조제를 쌓아 4만 100ha의 간척지를 조성하는 대규모 공사이다. 신시도는 1991년 시작해 2009년 외곽 개발을 마친 새만금건설사업으로 새만금방조제에 연결되어...
- 만경평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초대형 간척사업인 새만금간척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 이 사업이 완공되면 동진강 하류의 김제평야와 함께 평야의 면적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만경평야 전북 완주군, 익산시, 군산시, 김제시에 걸쳐 있...
기초학문(1)
- 정부조직간 정책갈등의 조정기제와 협력규칙 - 동강댐건설사례와 새만금간척사업사례의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4451 한국연구재단 한국행정연구원 2004 정부조직간 정책갈등의 조정기제와 협력규칙 - 동강댐건설사례와 새만금간척사업사례의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3)
-
새만금간척사업 / ─干拓事業 [경제·산업/산업]
법률적 뒷받침이 마련되었다. 새만금간척사업은 단군 이래 최대의 국토개발 사업이며 방조제포함 전체 사업비 24조를투입하여 40,100ha(여의도 면적 140배)를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하도록 예정되어 있다.
-
동진강 / 東津江 [지리/자연지리]
만경강 하구 일대는 새만금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군산에서 고군산군도와 부안에 이르는 지역을 연결하여 전라북도 군산, 김제, 부안에 총길이 33㎞의 방조제를 축조해 총면적 40,100ha의 토지를 조성하는 대규모 간척사업이다. 이 간척사업은 국토의 외연적 확장과 농어
-
만경강 / 萬頃江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과 소양면의 경계인 원등산(遠登山, 713m)에서 발원하여 호남평야의 중심부를 지나 황해로 흘러드는 강.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일대는 새만금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군산에서 고군산군도와 부안에 이르는 지역을 연결하여 전라북도 군산, 김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