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8)
- 상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시부(內侍府)의 정7품 관직. [내용] 정원은 4인이다. 원래 『주례(周禮)』의 사훼씨(司烜氏)가 해[日]에서 불[火]을 취하였다는 말에서 유래된 직명으로 취화(取火)의 임무를 맡았다. 환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체아직이었다. 세자...
- 東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2_J_0007 東方 나라 男, 縞帶, 玄冠, 女, 采衣, 恭坐, 不相犯, 相譽, 不相毁, 有患, 投死救之, 如癡, 善人, 善人之風 我國 東方朔 神異記 J_02_02_01 지봉유설 2권 2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2권 2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조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효온은 김종직(金宗直)의 당여로서, 홍유손 등과 결당하고 고담(高談)과 궤설(詭說)로 사습(士習)을 상훼(傷毁)하니 국문하소서.”라는 상계(上啓)에 따라 체포되어 국문당하였는데, 같은 해 홍유손만을 치죄하고 나머지는 용서함에 따라 방면되었다.
- 설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궁‧빈궁에 소속되어 종4품의 상책(尙冊), 정5품의 상호(尙弧), 종5품의 상탕(尙帑), 정6품의 상세(尙洗), 정7품의 상훤(尙烜)은 설리가 진출하는 환관직이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역주경국대전(譯註經國大典)-주석편(註釋篇)-』...
- 내시부(內侍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온(尙醞), 상원(尙苑), 상전(尙傳), 상제(尙除), 상책(尙冊), 상촉(尙燭), 상탕(尙帑), 상호(尙弧), 상훼(尙烜), 승전색(承傳色) 내시사(內侍司), 봉시청(奉侍廳)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태조~순종 장희...상위어이조(吏曹), 내시(內侍), 승정원(承政院) | 하위어다인청(多人廳), 대장찰(大掌察), 도찰(都察), 문강(門講), 부승직(副承直), 상경(尙更), 상다(尙茶), 상문(尙門), 상선(尙膳), 상설(尙設), 상세(尙洗), 상약(尙藥), 상온(尙醞), 상원(尙苑), 상전(尙傳), 상제(尙除), 상책(尙冊), 상촉(尙燭), 상탕(尙帑), 상호(尙弧), 상훼(尙烜), 승전색(承傳色) | 관련어내시사(內侍司), 봉시청(奉侍廳)
고서·고문서(33)
- 三月。 大行大妃發引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三月。 大行大妃發引 29_207_111.jpg ○三月。 大行大妃發引, 以四月十七日擇定。 上將隨轝, 三公率百官啓以“自上毁瘠已甚, 不可隨轝”, 累日未允。 恭懿殿懇請, 上不得已從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夜有鼠挐乎?(야유서나호?)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夜有鼠挐乎? 室中人動, 則輒避, 靜便復出, 膞膊有聲, 終夜不休, 若有所忙急而然者. 旣明視之, 亦物無傷毁. 翁曰: “彼胡爲乎來哉? 不因飢食渴飮, 猶跳弄如此, 其未可以已者耶? 避人輒藏, 其亦畏死者耶. 畏人而近人, 其謂人之智力, 不足以有售者耶. 哀哉!”서명관물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9_泰伯仲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則景伯豈誣辭而詰吳人耶? 徒以仲雍之故, 而遂幷指泰伯, 豈不誤耶? 《左傳》之比《吳越春秋》、《史記》, 孰爲可信, 而孰爲先後耶? 程子曰: “泰伯不立, 一讓也; 逃之, 二讓也; 文身, 三讓也.” 《或問》: “‘父死不赴, 傷毁髮膚, 皆非賢者之事’. 朱子曰: ‘不赴、傷毁, 不爲...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건초채취강주간실시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督勵週間과 同一하오니 兼하 야 指導할 事 二. 乾草採取目標은 成牛一頭當 三三三貫 犢牛一頭當一白五十貫이오 니 此의 目標量은 絶對採取토록 充分督勵할 事 三. 此期間中 畜牛飼料用 乾草採取코자하는 者는 特別히 林 相毁損치안할限 入山採取를 客認할 處局의 方...분야문학 | 유형문헌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512 B039512 달산 達山 산악 英祖實錄 四十一年(1765) 十二月 영조실록_14112008_001 ○己酉 / 禮曹判書沈鏽白上曰: “黃海道九月山三聖廟位版之以土造成者多傷毁, 宜改造也。” 上召問三聖故蹟於副提學徐命膺, 命膺曰: “三聖卽桓因ㆍ桓雄ㆍ檀君, 而史所謂阿斯...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