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호부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7)
사전(67)
- 상호부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홍익인간(弘益人間)’의 건국이념에도 잘 나타나 있듯이, 뜻하지 않던 사고나 재난을 당했을 때 공동의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는 상호부조의 관행이 국가적으로 장려되고, 또한 사회적으로 널리 시행되어 왔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촌락사회는 일상생활...
- 근대신어 : 상호부조론(相互扶助論)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7415 상호부조론 사항 相互扶助論 一切의爭鬪를否認하며權謀術數를排하고人類進化의道程은相互扶助, 共濟友愛에在하다는論 일체의 쟁투를 부인하며 권모술수를 배척하고 인류진화의 도정은 상호부조, 공제우애에 있다는 론 此에對하야는“크로...출전共濟[朝鮮勞働共濟會] | 계통분류 [과학지식] 사회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시어리 오브 뮤튜얼 에이드, 상호부조론(데오리 오부 뮤튜앨 에이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3443 시어리 오브 뮤튜얼 에이드, 상호부조론 사항 데오리 오부 뮤튜앨 에이드 相互扶助論 theory of mutual aid 無政府主義者 구로보도킨의主唱하는理論…生物界의進步나人間社會의發達은相互扶助에依하야된다고한다.출전天道敎會月報[天道敎會月報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이념, 사회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살러더리즘(솔리다리즘)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6820 살러더리즘 사항 솔리다리즘 solidarism 社會連帶責任論, 相互扶助主義 社會連帶責任論, 相互扶助主義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633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이념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뮤추얼에이드(뮤추알⦁에이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9242 뮤추얼에이드 마항 뮤추알⦁에이드 mutual aid 相互扶助(서로 도움) 상호부조(서로 도움)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628 행위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8)
- 류평우(柳平佑) 서당계절목(書堂契節目)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의해 결성되는 경우 관혼상제(冠婚喪祭)시 상호부조(相互扶助)의 목적으로 운영되기도 하였다. 본 서당계는 자료 작성자 류평우(柳平佑)의 4형제가 결성한 것으로, 자손 교육과 상호부조를 위해 운영되었던 것이다. 본 자료에는 이러한 서당계의 결성 경위와 운영 목적이 간략히...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618년 김용(金湧) 동중입약서(洞中立約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계승하여 일족들 간 결속력을 다지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상호부조(相互扶助)하는 동약을 결성하였던 것이다. 이때 구미리 출신의 유학자 김용(金湧)이 그 서문을 작성하였다. 서문에는 이 동약을 결성한 명분과 의의, 그리고 구성원들에 대한 당부가 언급되어 있다.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940년 구암동(狗巖洞) 동중의안(洞中議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지금의 경상북도(慶尙北道)울진군(蔚珍郡)평해읍(平海邑)에 위치한 거일1리(巨逸一里)는 전통적인 어촌 마을이다. 이곳에는 조선후기부터 상부상조와 공동노동, 분배와 어장관리를 위한 공동체 조직이 운영되고 있었다. 본 자료는 1940년 거일1리 공동체 조직에서 결의한 상호...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1612년 이정회(李庭檜) 족계완의(族契完議)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지금의 주하리와 그 일대에 거주하는 진성이씨들이 큰 일이 있을 때 상호부조하기 위해 결성한 것이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이런 일족 중심의 족계를 결성함으로써 양반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각종 의례의 공동자금을 마련하고, 신분 간 결속력 강화를 도모해 나갔었다. 본 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621년 경상도(慶尙道) 안동부(安東府) 하회(河回)마을 동안(洞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21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반 집성촌인 경상북도안동시의 하회(河回)마을에서 실시되었던 동계(洞契)의 구성원 명단이다. 동계는 거주지를 중심으로 구성원 간 상호부조를 통한 결속력 강화를 위해 일찍이 널리 시행되었던 계 조직이다. 하회마을에서의 동계는 일명 ‘하회동...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기초학문(2)
- [논문] 상호부조 협동금융의 전개와 마이크로크레딧: 지역 자활공제협동조합과 청년연대은행 토닥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30615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논문] 상호부조 협동금융의 전개와 마이크로크레딧: 지역 자활공제협동조합과 청년연대은행 토닥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종교적 기부 및 상호부조적 기부와 자선적 기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다양한 형태의 기부행동 간 연관성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철희, 게재일 : 201246672 강철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종교적 기부 및 상호부조적 기부와 자선적 기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다양한 형태의 기부행동 간 연관성 분석 https://www.krm.or.k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30)
- 在城畵家の相互扶助 (재성화가의 상호부조)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在城畵家の相互扶助 | 기사명_한글재성화가의 상호부조 | 부제_원문の爲に朝鮮美術協會を設立 | 부제_한글조선미술협회를 설립 | 게재일19231202 | 게재판조 | 게재면05 | 게재단6-7
- “생존경쟁대상호부조”의토론회개최에대하여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6) 생존경쟁 “생존경쟁대상호부조”의토론회개최에대하여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1년 7월 22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1 이 글은 1921년 7월 22일『동아일보』에 소개된 서울청년회 주최 토론회 개최 소식임. 이 기사...대표표제어“생존경쟁대상호부조”의토론회개최에대하여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생존경쟁, 상호부조, 개조, 인류생존, 토론회
- 생존경쟁과 민족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경쟁임. 반면에 상호부조의 현상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음. 이런 전제 하에서 이 사설은 오늘날 경쟁의 중심은 민족 혹은 국가경쟁에 있다고 봄. 조선민족은 학술, 도덕, 체력, 부, 집단력 등의 면에서 세계에 내세울 만한 것이 없음. 그 이유는 지리적인 요소가 큰 것이기는...대표표제어생존경쟁과 민족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생존경쟁, 상호부조, 민족, 집단력, 의식과 노력
- 자유민주주의-자유민주주의의 확립을 위한 힘과 자애의 겸비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안 될 것”이라고 강조함. 여기에 사랑이라는 이면의 역사적 현실성을 가진 생명력 있는 우리의 이념으로 등장하는 소이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함. “자주독립, 자유, 민주주의 또는 복지국가이념 그 어느 하나치고 相互扶助(상호부조)하는 同胞愛(동포애)로 단결된 국민을 전제하지...대표표제어자유민주주의-자유민주주의의 확립을 위한 힘과 자애의 겸비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박준규 | 출처사상계 107호 | 키워드자유민주주의, 힘과 자애, 이승만, 장면, 자주독립, 자유, 사랑
- 조선출판경찰월보 108호 실생활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相互扶助)인가? 생존경쟁인가? 세계의 풍운은 급박하고 있다. 전쟁과 사변을 보도하는 신문호외의 방울소리는 괜히 정신을 허둥대게 만들어, 살풍경한 기색은 거리에 넘쳐나고 있다. 시시각각 점점 더 험악한 상황이 임박하고 있다. 이 세태를 어떻게 하나. 기억을 거슬러...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8호 실생활 | 출판물명실생활(實生活) 제8권 제8호
주제어사전(5)
-
상호부조 / 相互扶助 [사회/촌락]
나타나 있듯이, 뜻하지 않던 사고나 재난을 당했을 때 공동의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는 상호부조의 관행이 국가적으로 장려되고, 또한 사회적으로 널리 시행되어 왔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촌락사회는 일상생활 속에서 상호부조의 관행을 정착시키는 모태였다고 할
-
보험 / 保險 [경제·산업/경제]
우발적인 사고로 인한 손실에 대비하는 상호부조 성격의 경제제도. 우리나라에서는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각 나라와 체결한 통상조약에 따라 외국의 금융기관과 상사(商社)가 우리나라에 진출하게 됨에 따라서 영국과 일본 보험회사가 진출하면서 비롯되었다. 최근에는 손해보
-
동계 / 洞契 [사회/촌락]
마을 또는 동리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하여 공유재산을 마련하고 관리하는 자치 조직. 계란 특정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 공동으로 기금을 염출하고, 그 기금으로 식리(殖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결사체이다. 전통 촌락은 대부분 촌락의 복리증진과 협동, 동제
-
계 / 契 [사회/촌락]
우리 나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였던 협동단체. 계는 그 기원이 불확실하고 종류가 다양하며 기능도 복잡하기 때문에 그 개념을 간단히 정의하기는 어렵다. 많은 주장들이 있지만, 계는 계원의 상호부조·친목·통합·공동이익 등을 목적으로 일정한 규약을 만들고, 그에 따라 운영된
-
대동회 / 大洞會 [사회/촌락]
다. 이 중에서도 대동회가 정초의 첫 동회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은 편이라면, 동회와 이중계는 촌락성원들의 평상시의 모임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대동계와 동계는 촌락생활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 등을 목적으로 조직한 계의 일종이다. 그런데도 혼동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대동회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