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호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3)
사전(376)
- 상호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정3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절충장군(折衝將軍)‧어모장군(禦侮將軍)이라 별칭되었다. 고려 때의 상장군(上將軍)이 조선 초기에 도위사(都尉使)로 개칭되었다가 태종대에 상호군으로 변개되었으며, 1467...이칭별칭절충장군|어모장군
- 상호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정3품 관직.정의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정3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nghogun | MR표기sangho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상호군(上護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상호군 상호군 上護軍 대호군(大護軍), 도위사(都尉使), 호군(護軍)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오위(五衛) 정삼품 당하관 [정의] 조선시대 중앙...관련어대호군(大護軍), 도위사(都尉使), 호군(護軍)
- 방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6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고 1540년 상호군(上護軍)이 되었다. 1542년 충주목사를 역임하였으나 이듬해 탄핵을 받고 체임되었으며, 1544년 경상우도수군절도사에 이어 가덕도축성사(加德島築城使)가 되어 왜구의 방어에 힘썼다. 1545년(명종 즉위년) 충...
- 어모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그리고 정3품 당하관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첨위‧상호군‧목사‧대도호부사 등이 있다. →무산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兩班) 연구(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이칭별칭과의장군
고서·고문서(112)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524 B049524 덕진 德津 군사교통 世祖實錄 三年(1457) 八月 세조실록_10308002_003 ○以世子疾, 遣行上護軍金守溫于昭格殿, 行上護軍李重于松岳, 行上護軍李延孫于紺岳, 判書雲觀事梁誠之于大井, 判司宰監事成任于德津、楊津、德積島, 降香祝祈禱。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적도(德積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228 B049228 덕적도 德積島 도서 인천광역시 世祖實錄 三年(1457) 八月 세조실록_10308002_003 ○以世子疾, 遣行上護軍金守溫于昭格殿, 行上護軍李重于松岳, 行上護軍李延孫于紺岳, 判書雲觀事梁誠之于大井, 判司宰監事成任于德津、楊津、德積島, 降香祝祈禱。출처전거世祖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42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42년(中宗37) 에 중종 이 김연 을 절충장군 행충무위상호군 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절충장군은 정3품 당상관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871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71년 1월 국왕이 이원조를 숭정대부 행 용양위 상호군에 임명한 문서이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1871년 1월 3일 대호군자리에 있었던 이원조가 판의금부사에 낙점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1월 26일 판의금부사에서 서반체아직인 상호군에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42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42년(중종37) 에 중종 이 김연 을 절충장군 행충무위상호군겸오위장 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절충장군은 정3품 당상관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신문·잡지(3)
- 조선인민군_1951_0920_03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리춘백 조선인민군신문사 김창 심상호군관은 매월 자기생활비의 75%의 금액을 저금하고 있으며 방기천군관은 45%를 저금하고 있다. 개별적 군무자들이 저금에 경쟁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것과 아울러 중대 소대별로도 군무자들은 서로 자기구분대가 더욱 많은...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20_03_02 | 책임주필리춘백
- 투사신문_1950_0524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호군은 “민촌의 작가적 특질”에 대한 자기 연구발표에서 민촌의 창작생활에 대하여 상세히 보고하였다. 그는 민촌의 작가활동의 전 시기에 걸쳐 언급하였는데 1924년 민촌의 처녀작 “오빠의 비밀편지”로부터 시작하여 “원보” “제지공장촌” 장편 “고향”에 이르기까지의 주요...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24_02_01 | 책임주필한효
- 44. 유엔한국임시위원회 프랑스 대표의 개인 비망록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있었다. 사전 수립된 계획에 따른 프랑스의 상호군사지원 원칙에 대한 그의 신뢰는 1935년이 되어 마침내 확고해졌다. 그러나 프랑스가 늘 권장했던 “사전 수립된 계획”은 미국과 유엔이 현재 한국에서 힘겹게 체험하고 있는 비극적일 정도의 졸속 처리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다...대표표제어44. 유엔한국임시위원회 프랑스 대표의 개인 비망록 | 자료유형외교문서(비망록) | 작성연월미상 | 작성일미상
기타자료(2)
- US approval of economic aid to Korea and preparations for mutual defense treaty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담을 하고 귀국 후 워싱턴 상황을 이승만에게 알리는 서한임. 서울에서 우리들의 솔직하고 우호적인 대화로 많은 오해가 제거되었음. 워싱턴에 도착하자마자 대통령과 국무장관에게 보고했음. 미국의 대한 경제원조를 위한 테스카(Tesca)의 권고는 승인이 될 것임. 상호군사협정...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Walter S. Robertson | 수신자Syngman Rhee
- Request for military aid to MacArthur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ral MacArthur 숙명여자대학교 이승만이 맥아더에게 군사원조를 요청하는 비밀 서한임. 평양 라디오와 전단지에는 북한과 소련이 상호군사방위조약에 서명했다고 주장하고 있음. 아무도 북한 공산주의자들이 38도선을 넘어와 방화와 살인을 자행...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Syngman Rhee | 수신자General MacArthur
주제어사전(8)
-
상호군 / 上護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3품 관직. 고려 때의 상장군이 조선 초기에 도위사(都尉使)로 개칭되었다가 태종대에 상호군으로 변개, 1467년(세조 13) 정3품관으로 오위의 고급지휘관이 되었다. ≪경국대전≫ 당시는 정원 9인으로 무장이 임명,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 사회 1인
-
도진무 / 都鎭撫 [정치·법제/국방]
고려말 조선초에 설치되었던 군직. 1389년(공양왕 1) 도순문사가 도절제사로 개칭된 이후 도절제사 밑에도 도진무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때 같은 도진무라도 양계 도절제사의 도진무는 정3품인 상호군 이상으로 임명하는 경우가 많았고, 남도에서는 조선 세조초에 와서야
-
어모장군 / 禦侮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관직으로는 첨위·상호군·목사·대도호부사 등이 있다.
-
호군 / 護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 소속의 정4품의 관직. 조선 전기에는 오위의 실직으로, 1392년(태조 1)에 12인의 정원을 두었다가 명종 때 8인을 감하였다. 1406년(태종 6)에 이를 호군으로 개칭하였다. 상호군·대호군과 함께 대궐내에 설치된 호군청에서 직숙하며, 궁성 4대문
-
유재건 / 劉在建 [문학/한문학]
오랫동안 규장각에 근무했으며 『열성어제(列聖御製)』를 편찬하는 데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왕이 내리는 상을 여러 번 받았다. 고종(高宗) 때에는 벼슬이 상호군(上護軍)에 이르렀다. 1853년(철종 4)에 최경흠(崔景欽)과 함께 중인문인의 시회(詩會)인 직하시사(稷下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