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평통보” 에 대한 검색결과 1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7)

사전(8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법화(法貨)로서 채택, 유통된 명목화폐(名目貨幣). [내용] 1678(숙종 4)부터 조선시대의 유일한 법화로서 조선 말기까지 사용된 전근대적 화폐이다. 는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각종 관찬(官撰) 기록에서는 동전(銅錢)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법화(法貨)로서 채택, 유통된 명목화폐(名目貨幣).
    정의조선시대 법화(法貨)로서 채택, 유통된 명목화폐(名目貨幣).[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ngpyeong Tongbo | MR표기Sangp’yŏng T’ongb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전(銅錢) 왜동(倭銅), 전황(錢荒), 폐전론(廢錢論), 청전(淸錢), 순목령(純木令), 법화(法貨) 경제물가·화폐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유현재 화폐 ...
    동의어동전(銅錢) | 관련어왜동(倭銅), 전황(錢荒), 폐전론(廢錢論), 청전(淸錢), 순목령(純木令), 법화(法貨)
  • 당십전(當十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십전 당십전 當十錢 십전통보(十錢通寶) (), 철전(鐵錢), 전황(錢荒) 경제물가·화폐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유현재 화폐 구리 [정의] 조선후기에 제...
    동의어십전통보(十錢通寶) | 관련어상평통보(常平通寶), 철전(鐵錢), 전황(錢荒)
  • 당이전(當二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이전 당이전 當二錢 (), 호조(戶曹), 진휼청(賑恤廳), 당일전(當一錢) 경제물가·화폐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유현재 화폐 구리, 주석 [정의] 1...
    관련어상평통보(常平通寶), 호조(戶曹), 진휼청(賑恤廳), 당일전(當一錢)

고서·고문서(16)

  • 38746 B038746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6年 12月 2日_019 ... 大小錢孰勝耶? 承旨亦自東萊而來, 民願果如何? 景源曰, 民情皆以小錢爲好矣。 若魯曰, 雖行小錢, 別無所害。 而但與時行, 有斑駁矣。 啓禧曰, 大臣之言是矣。 而小錢亦無...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747 B038747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6年 12月 2日_019 ... 小錢, 別無所害。 而但與時行, 有斑駁矣。 啓禧曰, 大臣之言是矣。 而小錢亦無不可竝用之理矣。 榮國曰, 三軍門大將則皆以爲, 小錢則鑄錢之人, 不願云矣。 上曰, 鎭堡事頃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48년 이윤경(李胤慶)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용되었으나, 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18세기 이후에는 화폐의 사용이 포목보다 훨씬 많았다. 이원숙 역시 밭의 댓가로 이윤경으로부터 화폐 15냥을 받았다. 토지매매계약서에는 대체로 출처(出處)를 밝히는데, 크게 전해져 오는 토지와 자기가 사들인 토지로 나눌 수...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 有斑駁矣。 啓禧曰, 大臣之言是矣。 而小錢亦無不可竝用之理矣。 榮國曰, 三軍門大將則皆以爲, 小錢則鑄錢之人, 不願云矣。 上曰, 鎭堡事頃有下敎矣。 蒜山·浦項等窠, 果有大臣相議乎? 啓禧曰, 多大浦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門3_百金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百金 按, 唐 武德四年, 鑄開元通寶, 徑八分, 重二銖四累, 積十錢重一兩. 我東今行錢, 較諸開元錢, 倍之又有餘, 則恰爲五銖錢也. 漢 文時, 鑄四銖錢, 自武帝以後, 雜行三銖、五銖, 蓋不甚相遠. 漢以金一斤爲一金, 據《食貨志》: “黃金一斤直萬錢.” 又何休註《公羊》“百...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2)

  • 嶺南大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남도 신을 거즉 지난달에 엇던사들이 각쳐에 방을 부쳣는 그글에 얏스되 령남에  즘이 잇스니 는 두류산만치 크고 입은 동바다만  삼시로 먹는것슨 라 만일 이즘이 업셔지지 아니면 삼십군 셩이 엇지살기를 도모고 얏다더라
    게재일1903년 3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이르기까지 쓰던 들과 판목(版木) 송자대전권(宋子大全卷) 154자와 그 립판목이 보존되고 있고 리조시대의 약 280년 전에 그린 함흥고도(古圖)가 있으며 이밖게 리조 일가에서 사용하던 유물들과 당시 □□급 사회제도에 □어서 량반 계급과 인민 계급들이 사용하던 유...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10_03 | 날짜1949년 11월 10일

멀티미디어(8)

기타자료(39)

  • 대구 봉무동 365-9번지유적 -대구 봉무지방산업단지 진입도로 확장구간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를 단단하게 채워서 평탄면을 조성하였다. 유물은 백자저부와 등이 출토되었다. 석축은 평면형태가 완만한 S자형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게 조성되었다. 석축의 남서쪽은 도로 2호와 연접하여 있는데, 도로와 접하는 부분의 석재를 다른 위치의 것들 보다 큰 것을 사...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중부내륙고속도로(수안보∼상주간) 건설공사 제12공구 상주 가장리 고분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외하고 모두 등고선 방향과 직교하며 목관의 흔적이 확인된 것은 6기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소형의 직장묘로 추정되며 인골의 출토상태로 보아 유아장이다. 유물은 7호 토광묘의 피장자 머리부분에서 동전 1점()이 출토되었다. 유물은 2호 석곽묘에서 북동모서리 부분에...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 | 발굴지역경상북도
  • 다. 다만 두 수문시설 간의 거리는 약 55cm로 양쪽이 나란하게 설치된 것이 차이점이다. 수산제 수문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자기편과 , 철기, 판재로 모두 양 수문의 상면에서 출토된 것이다. 자기편은 백자편 3점, 옹기편 1점으로 백자는 조선시대 후기 사발편...
    발행연도1993 | 발굴기관동아대학교 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폭넓은 기단의 도자기들이 출토되었으나 매우 소량이다. 백자는 총 8점이 출토되었는데 17세기 중반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통보와 등 동전도 출토되었다. 전라감영에 대한 발굴조사는 감영의 정비‧복원에 따른 계획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전북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북도
  • 진 유구가 확인되었는데 객사에 딸린 주방시설과 오리를 하다 버린 쓰레기를 처리하던 廚介塚)으로 보인다. 객사터와 동헌 사이에 있는 집 한 채는 객사나 동헌에 딸린 하인둘이 살던 집으로 보인다. 排水路 바닥과 東軒址에서 약간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조선 후기 ...
    발행연도1977 | 발굴기관발포충무공유적고흥보존위원회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8)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법화로서 채택, 유통된 명목화폐. 1678(숙종 4)부터 조선시대의 유일한 법화로서 조선 말기까지 사용된 전근대적 화폐이다. 1785년(정조 9), 마침내 호조에서 의 주조발행 업무를 전관하게 되었다. 순조대부터는 화폐주조 관리체계의 일원화 원칙이

  • 당오전 / 當五錢 [경제·산업/경제]

    1883년 2월에 주조되어 1894년 7월까지 유통되었던 화폐. 명목 가치는 1문전 5배, 실질 가치는 의 약 2배에 지나지 않았다. 당오전의 가치가 이처럼 폭락하자, 지방관들은 이를 이용해 조세를 양화인 로 징수해 악화인 당오전으로 바꾸어 내

  • 당백전 / 當百錢 [역사/근대사]

    1866년 11월에 주조되어 6개월여 동안 유통되었던 화폐. 당백전을 주조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당시 조선 정부의 재정 악화에 있었다. 모양과 중량은 당시 통용되던 의 5·6배에 지나지 않았으나, 보다 100배의 명목 가치로 통용시키기 위해 주조되었다

  • 일문전 / 一文錢 [경제·산업/경제]

    1892년부터 1894년 사이에 주조되어 사용된 . 평양에 분설된 전환국 주전소에서 주조하였다. 평양부 주전소에서 처음에는 크기가 작고 전질이 조잡한 당오전을 주조하였으나, 1892년부터 일문전을 주조하였다. 그러나 1894년 7월 8일 화폐제도 문란을 이유로

  • 김포 덕포진 / 金浦德浦鎭 [예술·체육/건축]

    파수청터가 있는데, 이곳은 포를 쏠 때 필요한 불씨를 보관하는 동시에 포병을 지휘한 장소로 생각된다. 1980년의 발굴조사 당시 7개의 포탄과 () 2개가 출토되었고, 건물터에서는 주춧돌과 화덕자리가 발견되었는데, 건물규모는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