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침” 에 대한 검색결과 2,2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77)

사전(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6품 내명부(內命婦)의 궁관직. [내용] 국왕의 연견(燕見)이나 진어(進御)의 차서(次序)에 관한 일을 총괄하는 궁관(宮官)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TD_E2_D_0150 관직 內職, , 尙食 顯宗 百官志 D_08_02_12 대동운부군옥 8권 2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261 관직 麗制, 內職, 尙食 百官志 D_12_05_01 대동운부군옥 12권 5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5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육상(六尙) 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혜련 [정의] 내명부(內命婦) 정6...
    상위어육상(六尙) | 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번 박은 바느질 선 위를 겉에서 다시 박음질하는 장식용 바느질법.
    정의한번 박은 바느질 선 위를 겉에서 다시 박음질하는 장식용 바느질법.[한국복식사전] | 문광부표기sangchimjil | MR표기sangch’imji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2,152)

  • 北傀(북괴)의海犯(해범) 嚴重(엄중)항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北傀(북괴)의海犯(해범) 嚴重(엄중)항의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침...
    대표표제어北傀(북괴)의海上侵犯(해상침범) 嚴重(엄중)항의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침범, 무장선박, 어선, 유전선, 영해
  • 犯(해범)생떼 北傀板門店代表(북괴판문점대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海犯(해범)생떼 北傀板門店代表(북괴판문점대표)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
    대표표제어海上侵犯(해상침범)생떼 北傀板門店代表(북괴판문점대표)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북괴, 유엔, 침범
  • 의도적 도발이냐 통투냐 동해 무장간첩 변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의도적 도발이냐 통투냐 동해 무장간첩 변시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6465...
    대표표제어의도적 도발이냐 통상침투냐 동해 무장간첩 변시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간첩, 시체, 동해
  • 1876년 1월 29일 총서가 일본 삼 공사에게 보낸 조회문이다. 조선이 중국의 속방이며, 일본이 수호조약을 준수하여 서로 침략하지 말 것을 기대하다고 재차 천명하고 있다.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76.01.29.
  • 5511 중국 정서 고려도경 雜俗1 庭燎 178 인종(仁宗) 1 1123 麗俗尙夜飮 而祗待使人尤謹 每宴罷 夜分 自山島州郡郊亭館舍 皆於庭中 以束芟明燎 以散員執之 使者歸館 則羅列在前 相比而行 생활, 이 글은 『宣和奉使高...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신문·잡지(33)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에셔 각도 관찰와 경무관의게 훈령기를 디방경무을 확쟝은 국가의 안령질셔와 인민의 명산을 보호유지케이어날 직이 경관에 잇셔셔 명의에 신즁을 각지안이고 직무외뎡△을 무시야 졍과 법상에 엇더 침월이잇던지 인민의 호쇼와 원셩이 로고 디방관의 ...
    게재일1907년 3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대신 민영긔씨 작일 그손녀의 참경을당후 연신긔불평야 부에 진시무치못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우리집에 외국셔가져온 상품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우리집에 외국셔가져온 상품씨()가잇스니 사가시되 되이상을 사가시면 과 포도심으법을 긔록 권식 드리소 北署桂洞 양젼골 玄公濂 中署敦洞第六十六統五戶吳叅奉家
    게재일1905년 4월 22일 | 기사분류광고
  • 우리집에 외국셔가져온 상품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우리집에 외국셔가져온 상품씨()가잇스니 사가시되 되이상을 사가시면 과 포도심으법을 긔록 권식 드리소 北署桂洞 양젼골 玄公濂 中暑敦洞第六十六統五戶吳叅奉家
    게재일1905년 4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우리집에 외국셔가져온 상품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우리집에 외국셔가져온 상품씨()가잇스니 사가시되 되이상을 사가시면 과 포도심으법을 긔록 권식 드리소 北署桂洞 양젼골 玄公濂 中署敦洞第六十六統五戶吳叅奉家
    게재일1905년 4월 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1)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당이 고구려에 주자사(朱子奢)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唐高祖遣朱子奢來 詔諭 與高句麗連和 (󰡔三國史記󰡕 4 新羅本紀 4 眞平王 48年) 【원문】 新羅百濟遣使於唐 上言 高句麗閉道 使不得朝 又屢掠 帝遣散騎侍郞朱子奢 持節諭和 王奉表謝罪 請與二國平 (󰡔三國史記󰡕 20 高句麗本紀 8 營留王 9年) 【원문】 (武德)...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당이 고구려에 주자사(朱子奢)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6년(丙戌/신라 진평왕 48 建福 43/고구려 영류왕 9/백제 무왕 27/唐 武德 9/倭 推古 34)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당이 고구려에 주자사(朱子奢)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高句麗閉道 使不得朝 又屢掠 帝遣散騎侍郞朱子奢 持節諭和 王奉表謝罪 請與二國平 (『三國史記』 20 高句麗本紀 8 營留王 9年) 【원문】 (武德) 九年 新羅·百濟遣使訟建武 云閉其道路 不得入朝 又相與有隙 屢掠 詔員外散騎侍郞朱子奢往和解之 建武奉表謝罪 請與新羅對使會盟 (...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당이 고구려에 주자사(朱子奢)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26년(丙戌/신라 진평왕 48 建福 43/고구려 영류왕 9/백제 무왕 27/唐 武德 9/倭 推古 34)
  • 유엔총회 대표단 구성 발표에 즈음한 수석대표 소견(안)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수 있도록 노력하고 북괴의 적화통일을 규탄하고 북괴에 대한 국제압력을 가중시키도록 노력할 것임. 유엔총회 대표단, 수석대표, 소견, 한국대표 초청 결의안, 평화통일, 적화통일, 지지, 북괴, 북한, 국제압력, 해투, 폭력주의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唐 太宗이 백제 武王에게 보낸 璽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할 것을 조서로 명하였다. 『舊唐書』 199상, 열전149상 동이 백제조에도 나오며 󰡔新唐書󰡕 220, 列傳 145 東夷 百濟에는 간략하게 나온다. 太宗貞觀初 詔使者平其怨 又與新羅世仇 數 帝賜璽書曰 新羅 朕蕃臣 王之鄰國 聞數暴 朕已詔高麗·新羅申和 王宜忘前怨...
    대표표제어唐 太宗이 백제 武王에게 보낸 璽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사신 을력지(乙力支)를 보내 조공하고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十落 密共百濟謀從水道幷力取高句麗 遣乙力支奉使大國 請其可否 詔敕三國同是藩附 宜共和順 勿擾 乙力支乃還 從其來道 取得本船 汎達其國 (『魏書』 100 列傳 88 勿吉國) 【원문】 延興中 遣乙力支朝獻 太和初 又貢馬五百匹 乙力支稱 初發其國 乘船溯難河西上 至太𣳅河 沈船於水 南...
    대표표제어사신 을력지(乙力支)를 보내 조공하고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99년(乙卯/신라 소지마립간 21/고구려 문자명왕 8/백제 동성왕 21/齊 永元 1/倭 武烈 1)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6품 내명부의 궁관직. 국왕의 연견(燕見)이나 진어(進御)의 차서(次序)에 관한 일을 총괄하는 궁관이다.

  • 전언엄씨교지 / 典言嚴氏敎旨 [정치·법제]

    1868년(고종 5) 12월. 고종이 전언인 엄씨를 ()으로 삼는 교지. 전언은 상궁의 명을 받아서 왕명을 전달, 보고하는 일을 담당한 내명부의 종7품 벼슬이다. 은 내명부 정6품으로 평소 왕을 알현하거나 왕이 입고 먹는 일의 차서에 관한 일을 담당하였다.

  • 전등 / 典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8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직속상관인 (, 정5품)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으며, 등불과 촛불을 맡았다. 그 뒤 ≪경국대전≫에 전채(典彩)·전정(典正)과 같은 종8품의 등급으로 법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