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81)
사전(2,052)
- 귀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56년 이상제(李相濟)가 창립한 종교. [내용] 각세도주(覺世道主) 이선평(李仙枰)의 제자였던 이상제는 이선평이 죽자, 각세도 동관(東觀) 책임자로 있다가 귀임도로 명칭을 바꾸어 새 교단체제를 갖추었다. 이상제의이칭별칭각세도(覺世道)
- 상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례(喪禮). 此間喪制甫畢 衰病日劇, 송준길(宋浚吉), 3-13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상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성균관의 제술시험. 盛緘亦當泣呈 而此囑之難 甚於庠製恐難諧得 是悶, 김명희(金命喜), 39-21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상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상(國喪)에서 고인의 두 번째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 상제(祥祭)는 초상에서부터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25개월째 되는 두 번째 기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다만 내상(內喪)이 먼저 난 경우에는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13개월이 되면 첫 번째 기일에 지낸다. 주자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상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지고무상(至高無上)한 지위를 가진 천신(天神). [내용] 중국 고대에서의 상제는 천계(天界)에 조정(朝廷)을 조직하여 운영하면서, 동시에 지상(地上)을 감시하여 지상의 만물을 생성, 변화시키는 조물주였다. 그 구체적인 성격은 다음과 같이...
단행본(4)
- 종묘와 궁묘: 조선 왕실의 조상제사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한형주...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
- 조선민족의 민속 세시풍속, 관혼상제 및 민속신앙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박승권(중앙민족대학 조선언어문학부 부교수), 김광영(중앙인민방송국... | 출판사 : 民族出版社 | 출판일 : 2010.09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2.관혼상제 (1)출생의례 (2)관례 (3)결혼 (4)환갑 (5)장례 3.민속신앙 및 기타 (1)무속신앙
- 한국사회•문화의이해 [캄보디아 빠나쌋뜨라대학 한국학 교육프로그램 개발사업 | 신라대학교]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지원센터 센터장), 정쾌영(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교수)...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1.08.25분야교육 | 유형단행본(3)현대 한국 종교의 현황 제9장.한국의 전통문화 (1)한국 전통문화의 특징 (2)한국의 명절과 민속놀이 (3)관혼상제 (4)한국의 음식문화
- 폴란드 인을 위한 한국문화 30강 [폴란드 한국학 전공 학부 대학원생용 교육과정 및 교육자료 개발 | 서울대학교]저자 : 양승국(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박성창(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안경화(서... | 출판사 : 박이정 | 출판일 : 2011.11.22분야교육 | 유형단행본23)한국인의 예법:관혼상제 (24)한국인의 여가와 놀이 문화 (25)스포츠와 응원 문화 (26)한국의 20대, G세대와 88만원 세대 Ⅶ.문학 (27)한국의 옛
논문(1)
- 高句麗의 王權과 相權- 중국 宰相制度의 전개 및 ‘霸者政治’를 兼하여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조우연 | 게재정보 : 高句麗渤海硏究유형논문
고서·고문서(3,251)
- 殤祭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50 喪禮外編 卷三 ITKC_MP_0597A_0950_010_0020 殤祭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喪禮外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同舟相濟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443 창가 최신창가집 부악전 22028 同舟相濟 〈mn〉오선악보 있음. 악보 안에 1절 가사가 적혀있다.〈/mn〉 〈#110〉 [ 一、 ] 百□四度 百三十度中 간대해풍 낭즁에 둥실 떳다 져 큰배는 크고 큰긴하다마는 여산홍도 츙뎐하야 션파중도...구분창가
- 喪祭用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ES_00102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僿說禮論編 喪祭用仂 喪祭用仂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5:36 《王制》: “祭用數之仂, 喪用三年之仂.” “仂”者, 十分居一也. 庶人薦而不祭, 則此指下士以上也. 下士...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관혼상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관혼상제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3 7 관혼상제, 년중행사, 세시풍속, 사회제도...대표표제어관혼상제 | 성씨김
- 喪制章第六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七 擊蒙要訣 22 喪制章第六 27_068_021.jpg 喪制章第六 喪制當一依朱文公《家禮》, 若有疑晦處, 則質問于先生長者識禮處, 必盡其禮可也。 復時, 俗例必呼小字, 非禮也。 少者則猶可呼名, 長者則不可 두주에 “不可之可, 一本作必”이라 했눈...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54)
- 상제 여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창피한 이야기라며 안하려고 하였으나, 조사자가 계속 청하자 또 한번 해 보겠다며 구연하였다. *조사일시1983-05-16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고근록
- 옥황상제를 만난 사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중들은 얘기가 끝나기가 무섭게 한 자리 더 하라고 조르고, 조사자도 계속 해서 청하자, ‘푸석푸석헌 얘기’라며 겸손해 했다. 제보자는 어른들에게 고개를 숙이며 예를 깍듯이 하고, 얘기를 시작했다. 제보자가 그 중 가장 연하의 나이였다. *조사일시1985-04-18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 제보자양태구
- 옥황상제의 아들을 만난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연초면 | 제보자주애기
- 옥황상제를 만난 임실 가당임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야기도 앞의 이서구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30세 때 순천에 가서 그 곳 선비인 김상국씨로부터 들은 것이라 한다*조사일시1980-01-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 제보자유사만
- 죽은 사람이 옥황상제문 쓴 내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자기 선대 한 분이 대원군 시대에 글을 잘하신 분이 있었는데, 운이 없어서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했다고 하면서 그 선대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조사일시1981-09-05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서면 | 제보자이주행
기초학문(36)
- 보상제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덕조, 게재일 : 200924603 장덕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사법학회 2009 보상제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다산에 있어서의 천과 상제(上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순우, 게재일 : 200633057 정순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06 다산에 있어서의 천과 상제(上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유죄협상제도의 도입과 양형상 고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승일, 게재일 : 201449291 장승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법학연구소 2014 유죄협상제도의 도입과 양형상 고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儒敎의 喪祭禮에 내재된 삶과 죽음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기현, 게재일 : 199911570 김기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퇴계학연구원 1999 儒敎의 喪祭禮에 내재된 삶과 죽음의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1999
- 다산학의 상제귀신론과 그 인간학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진덕, 게재일 : 200903538 최진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다산학의 상제귀신론과 그 인간학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35)
- 軍相提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 삼남각디에 젹경이 대치야 여명 혹슈삼십명식 셩군작당야 인민의가옥에 방화도 며 명을 살도며 심지어 각군쳥에 돌입야 군슈와 리속을 위협야 전을 탈취다 각군 공보가 군부에 답지고로 군부대신 권즁현씨가 즙도방략을 졍부에셔 란상회의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學相向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삼남각디방에 학무를 시찰로 발뎡학부대신 리완용씨와 학졍무관 상촌졍긔씨 작일 목포항에셔 륜션을타고 졔쥬도로 향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紳商齊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은권건으로 신상 슈명이 작 토요일에 외부문젼에 졔진야 신을보고 질문려 즉 신이아즉 진치 아니지라 부득이야 퇴거엿다가 밤에 젼 외부신 죠병식씨의집과 젼협판 박용화씨의집에 졔진야 은권의 인허엿다는문젹을 환슈케라 엿다더라게재일1903년 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日商提議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日商提議 1902년 12월8일 서울 서울 경성 일본인상업회의소에서 한국 백동화 사건에 관해 일본영사에게 제출한 건의서...대표표제어日商提議 | 연월일1902년 12월8일 | 지역서울
- 藥商齊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도 약장 심상무등이 농상공부에 쳥원하기를 약 진상을 혁파 이후에 겸하야 소임명이 업신즉 부상등이 감이 슈셰하려하고 보상등이 업슈이넉기니 태의원으로 조회하야 대구에 츈츄 약령은 이월초 삼일과 십월십오일로 뎡하고 공쥬에 츈츄 약령은 삼월초삼일과 십일월십오일로 작...게재일1902년 10월 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17)
-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언어 예절, 의식주, 관혼상제, 명절, 여가, 문학, 대중문화와 같은 한국문화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를 사용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배운다. 1주차. 한국어와 한글강좌제목한국어와 한국문화 | 강의자김혜영 교수
-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언어 예절, 의식주, 관혼상제, 명절, 여가, 문학, 대중문화와 같은 한국문화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를 사용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배운다. 1주차. 한국어와 한글강좌제목한국어와 한국문화 | 강의자김혜영 교수
-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언어 예절, 의식주, 관혼상제, 명절, 여가, 문학, 대중문화와 같은 한국문화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를 사용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배운다. 1주차. 한국어와 한글강좌제목한국어와 한국문화 | 강의자김혜영 교수
-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언어 예절, 의식주, 관혼상제, 명절, 여가, 문학, 대중문화와 같은 한국문화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를 사용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배운다. 1주차. 한국어와 한글강좌제목한국어와 한국문화 | 강의자김혜영 교수
-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언어 예절, 의식주, 관혼상제, 명절, 여가, 문학, 대중문화와 같은 한국문화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를 사용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배운다. 1주차. 한국어와 한글강좌제목한국어와 한국문화 | 강의자김혜영 교수
기타자료(31)
- 한상제;韓相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388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53면 한상제;韓相濟 청양군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5월 문화상제도 창립에 대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5월 문화상제도 창립에 대하여 5월 문화상제도 창립에 대하여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공보
- 교육위원회 소식 전북이 스승 대상제 실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위원회 소식 전북이 스승 대상제 실시 교육위원회 소식 전북이 스승 대상제 실시 교육 문헌 교원 임용ㆍ승진ㆍ평가 초등교육 교사문화범주1교원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북 교육 위원회 | 사료철명문교월보
- (연구논단) 합리적 시상제도의 개선에 관한 REPORT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구논단) 합리적 시상제도의 개선에 관한 REPORT (연구논단) 합리적 시상제도의 개선에 관한 REPORT (연구논단) 合理的 시상제도의 改善에 관한 REPORT 교육 문헌 교...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남준 | 사료철명강원교육
- (연구논단) 합리적 시상제도의 개선에 관한 Report-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구논단) 합리적 시상제도의 개선에 관한 Report-하 (연구논단) 합리적 시상제도의 개선에 관한 Report-하 (연구논단) 合理的 施賞制度의 改善에 관한 Report-下 교육 문헌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남준 | 사료철명강원교육
연구과제(5)
-
리까르도 빨마 대학교의 동서양고전연구소와 문화 다양성과 대화 유네스코 석좌를 통한 페루에서의 한국문화와 한국학 소개 및 전파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DORA ALICIA BAZÁN MONTENEGRO DE DEVOTO | Universidad Ricardo Palma | 2015 | 국외 | 해외
-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심영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한국형 발전모델의 70년사: 한국 발전 경험의 확장과 융합의 역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훈 | 중앙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예제사회(禮制社會)의 성립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정주 | 단국대학교 | 2016 | 국내 | 경기
-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해영 | 경상대학교 | 2013 | 국내 | 경남
주제어사전(62)
-
상제 / 尙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시부의 정8품 관직. 정원은 6인이다. 궁궐 내의 청소업무를 총관하였다. 환관으로 임명되었다.
-
상제 / 祥祭 [정치·법제]
국상에서 고인의 두 번째 기일에 지내는 제사. 상제는 초상에서부터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25개월째 되는 두 번째 기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다만 내상이 먼저 난경우에는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13개월이 되면 첫 번째 기일에 지낸다. <주자가례>에는 소상과 대상이 있는데
-
상제교전 / 上帝敎典 [종교·철학/신종교]
상제교의 교리서. 1920년 최유현이 시천교총부에서 편집 간행하였다. 원래는 '시천교전'이었으나 나중에 '상제교전'이라고 제목을 바꾼 흔적이 있다. 그 이유는 시천교가 1925년에 상제교로 교명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천주장, 인생장, 시천장, 입교장, 도심장
-
상제례초 / 喪祭禮抄 [사회/가족]
주자의 『가례』 중 상례와 제례에 관하여 서술한 예서. 지은이 미상. 간행연대 미상. 1책. 인본(印本). 규장각 도서에 있다. 초상제구(初喪諸具)·복제(服制)·상복(殤服)·강복(降服)·상복식(喪服式)·관질식(冠絰式)·부고서(訃告書) 등의 20여 항목으로 간추려서 기
-
상제요록 / 喪祭要錄 [사회/가족]
조선시대 학자 안로가 상례와 제례에 관하여 관하여 저술한 예서. 1책. 사본. 안로는 『가례부췌(家禮附贅)』를 찬술한 안공(安㺬)의 친척으로 『가례부췌』에서 그 예설(禮說)을 많이 참고하기도 한 예학의 대가였다. 그는 『상제요록』 외에도, 김정국(金正國)이 저술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