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적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6)
- 상적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금이 중심이었다. 특히, 소금은 곡물과 더불어 중요한 식료품의 하나로서, 상적창에서도 내고(內庫)ㆍ안국사(安國社) 등 궁실의 창고와 마찬가지로 적지않은 염분을 장악하고 창고의 재원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충선왕이 소금의 전매라 할 수 있는 각염법(榷鹽法)을...
- 정칠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창(常積倉)ㆍ제용사(濟用司)의 승, 내알사(內謁司)의 내전숭반 등이 정7품 관직으로 설치되었다. 합문 지후는 중문(中門)의 종6품 관직으로 승격되고, 군기감의 승과 액정국의 내시백은 혁파되었다. 이와 함께 동경과 남경이 각각 계림부(鷄林府)와 한양부(漢陽府)로...
- 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창(豊儲倉)‧광흥창(廣興倉)‧상적창(常積倉)‧자운방(紫雲坊)에는 정5품 정원 1인, 제용사(齊用司)에는 정5품 정원 4인, 선공사(繕工司)에는 종5품 정원 2인, 의영고(義盈庫)‧장흥고(長興庫)‧상만고(常滿庫)에는 종5품 정원 1인으로 두어졌다. 영조국(營造局...
- 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서 파견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1308년 충선왕이 복위해 관제를 개혁했을 때, 인신사(印信司)‧응방(鷹坊)에 종4품 정원 2인, 자운방(紫雲坊)‧제용사(濟用司)에 정6품 정원 2인, 풍저창(豐儲倉)‧광흥창(廣興倉)‧상적창(常積倉)에 정6품 정원 1인, 영조국(營造局...이칭별칭부령|부제거
- 정육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의시(典儀寺)의 주부(注簿), 사온서(司醞署)‧사선서(司膳署)‧사설서(司設署)‧내알사(內謁司)의 승(丞), 자운방 (紫雲坊)‧풍저창(豊儲倉)‧광흥창(廣興倉)‧상적창(常積倉)‧제용사(濟用司)의 부사, 세자부(世子府)의 직강(直講), 제왕자부(諸王子府)의 반독(伴讀...
고서·고문서(1)
- 高麗鹽法論 【附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其利,國用何由可贍?今將內庫常積倉ㆍ都鹽院ㆍ安國社及諸宮院ㆍ內外寺社所有鹽盆,盡行入官。估價銀一斤六十四石,銀一兩四石,布一匹二石,以此爲例,令用鹽者,皆赴義鹽倉和買。郡縣人皆從本管官司,納布受鹽。若其私置鹽盆及私相貿易者,嚴行治罪。” 於是始令郡縣,發民爲鹽戶,又令營置鹽倉,民甚苦之。楊廣道鹽盆一...권차명經世遺表 卷十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상적창 / 常積倉 [정치·법제/법제·행정]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설치된 왕실의 출납창고. 관원으로는 정5품의 사 인, 정6품의 부사 1인, 정7품의 승 1인이 있었다. 창고보유의 물화는 곡물과 아울러 소금이 중심이었다. 상적창에서도 내고(內庫)·안국사(安國社) 등 궁실의 창고와 마찬가지로 적지않은 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