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장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7)
사전(307)
- 상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중앙군의 최고지휘관. [내용] 이군육위에 각 1인씩 소속되어 8인의 상장군이 편제되어 있는데, 무반으로는 최고의 품계인 정3품이다. 정1품의 품계까지 승진할 수 있는 문관에 비하여 무관의 지위가 뚜렷이 격하되어 있음을 알...
- 상장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중앙군인 2군6위의 최고 지휘관으로 정3품 서반직.정의고려시대 중앙군인 2군6위의 최고 지휘관으로 정3품 서반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angjanggun | MR표기sangjang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상장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진(秦)나라 때부터, 가장 높은 등급의 무관직.정의중국 진(秦)나라 때부터, 가장 높은 등급의 무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ngjanggun | MR표기sangjang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上將軍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5_D_0114 上將軍誥 서적-문집 千人尹, 擢置 李奎報 D_10_05_40 대동운부군옥 10권 5장 4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5장 4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근장상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중앙군 중에서 이군인 응양군과 용호군에 소속된 상장군. [내용] 이군과 육위에는 모두 최고지휘관으로 정3품의 상장군 1인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이군이 왕의 친위군으로서 육위보다 우위에 있었던만큼, 근장상장군은 육위의 상...이칭별칭반주
고서·고문서(184)
- 유산집_遺山集 龍虎衞上將軍珠赫公神道碑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50 중국 문집 유산집 001 기타 遺山集 龍虎衞上將軍珠赫公神道碑 生而靜之謂性靜而應之謂材材與性出于天其初則通而中有大不同者蓋性者材之體而材者性之用體喻則璞也用喻則璞之雕也然性不害爲不及而材每患于有餘惟其不及故勉于成惟其有餘故趨於壞人知椎鈍朴魯拙於變通艱於鐫...국가중국 | 서명유산집 | 왕대기타
- 금문최_金文最102 龍虎街上將軍術虎公神道碑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121 중국 총서 금문최 019 기타 金文最102 龍虎街上將軍術虎公神道碑 用行臺薦收充奉職 宣諭良厚 大安初 奉詔使高麗 立節清介 不聽以館伎給使令 互市之利 僅不廢故事而已 御史上之 卽日授中宮護衛 尋遷之御前 至寧初 右丞綱軍居庸 詔公爲參謀 數與綱議不合...국가중국 | 서명금문최 | 왕대기타
- 俄向將軍索외무부三次飭令收地原文未知何意今又添兵入城東邊道派鳳凰廳暫護俾袁道赴京由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러시아가 장군에게 탐색하기를, 외무부가 세 차례 명령을 내려 지역을 회수하도록 한 원문의 의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하고, 지금 또 군대를 추가하여 입성하니, 동변도(東邊道)를 봉황청(鳳凰廳)에 파견하여 잠시 호위하고 원도(袁道)를 북경으로 파견하도록 하는 연유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29年09月26日;1903-11-14
- 1541년 손광서(孫光曙)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41년(중종36) 손광서(孫光曙)가 상장군(上將軍)최(崔)아무개로부터 밭을 사들이고 건네받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이 밭은 최아무개의 여자종 신덕(申德)의 이름으로 토지대장에 등재되어 있다. 토지대장이 소유권 확인에 앞서 세금을 부과하는 기본...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강화창(江華倉)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00 B017300 강화창 江華倉 정치행정 『高麗史』 26卷, 世家26 元宗2 元宗[庚午]十一年 秋七月 己亥 朔頭輦哥命上將軍徐均漢秘書丞藩阜御史金光就等發江華倉賜群臣百姓출처전거『高麗史』 26卷, 世家26 元宗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경상남도 밀양시_1. 이후 소리 2. 옹헤야 3. 마을길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억조창생, 부릴적에 늙을 마음이 있단말가, .... 장사로다 장사로다 초패왕이 장사로다 ....... 홍문연 높은 잔치, 상장군이 되야있어 백만대병, 거나리고 ....... 2. 여러 사람 3. 일부 종사 굳은 마음 1. (솔)도레미솔‘도’ 2. 미녹음지역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청운리 | 녹음날짜1989.4.25 | 가창방식1~3. 멕받형
신문·잡지(5)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8 跋: 貞祐三年乙亥(1215)五月日無衣子慧諶跋 刊記: 萬曆三十二年甲辰(1604)秋能仁菴開刊移鎭雙溪寺 誌: 守大師門下侍中上柱國上將軍判吏部御使臺事崔沆誌 H4, p.732. 국립중앙도서관 한貴古朝-21-371 국립중앙도서관 전체제공(흑백) 고서...대표표제어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2 | 대표서명看話決疑論 | 한글서명간화결의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1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6.5x16.1 跋: 守太沙門下侍中上桂國上將軍判吏部御使臺事崔沆(?~1257) 誌 刊記: 萬曆三十二年甲辰(1604)秋能仁庵開刊移御雙溪寺 H4, p.724. 경북 청도군 적천사 無 識記 : 萬曆三十八年庚戌三月日琵瑟山湧泉寺 合綴: 看話決疑論 韓國典籍...대표표제어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13 | 대표서명圓頓成佛論 | 한글서명원돈성불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한양_1978_17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고려의 해상장군 배중손 최용진 95 추석 신상인 104 문우에게 이호철 108 한...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8
- 은하수_1987_06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철 17 조선의용군의 발자취를 더듬어 김엽 21 사색이란 속향홍 22 풍옥상장군과 선물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7
- 동북후비군_1999_35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8 혈육의 정보다 더 뜨거운 사랑 60 풍옥상장군의 몇가지 처사 62 1955년 군함수여사의 동기...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9
주제어사전(10)
-
상장군 / 上將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중앙군의 최고지휘관. 이군육위에 각 1인씩 소속되어 8인의 상장군이 편제, 무반으로는 최고의 품계인 정3품이다. 정1품의 품계까지 승진할 수 있는 문관에 비하여 무관의 지위가 뚜렷이 격하되어 있다. 응양군은 용호군과 함께 근장이라 하여, 왕의 친위군으로서
-
근장대장군 / 近仗大將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중앙군 중에서 이군인 응양군·용호군에 소속된 대장군. 이군은 육위와 함께 고려 중앙군의 기간이었으나, 왕의 측근으로 친위대적 성격이 강하여 그 상장군은 근장상장군, 대장군은 근장대장군으로 불리었다.
-
대장군 / 大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종3품 무관직. 중앙군에서 상장군 다음가는 직위로, 이군육위 8개 단위부대에 각 1인씩 배속되어 총 8인에 이르렀다. 각 군·위의 부지휘관 임무를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상장군과 더불어 합의기관인 중방(重房)을 구성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무신의 권력
-
반주 / 班主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이군육위 중 응양군의 최고지휘관인 상장군을 가리키는 명칭. 응양군의 상장군은 이군육위의 대장군과 함께 구성되는 중방회의의 의장을 담당하며, 전무반의 대표자격이었다. ≪고려사≫ 백관지 서반조의 응양군에 관한 기사에, 응양군의 상장군으로 군부전상서를 겸한 자를
-
김방경 / 金方慶 [역사/고려시대사]
1212(강종 1)∼1300(충렬왕 26). 고려 후기의 무신. 신라경순왕 후손, 할아버지는 민성, 아버지는 병부상서·한림학사를 지낸 효인이다. 서북면병마판관, 상장군, 행영중군병마원수, 도독사, 중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