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의원” 에 대한 검색결과 8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8)

사전(4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임금의 의복을 진상하고, 대궐 안의 재물과 보물 일체의 간수를 맡아보던 관서. [내용] 태조 때 설치되었다. 그 뒤, 1895년(고종 32) 상의사(尙衣司)로 고쳤으며, 1905년에는 상방사(尙方司)로 고쳤다. 고려시대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임금의 의복을 진상하고, 대궐 안의 재물과 보물 일체의 간수를 맡아보던 관서.
    정의조선시대 임금의 의복을 진상하고, 대궐 안의 재물과 보물 일체의 간수를 맡아보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nguiwon | MR표기Sangŭi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제(工製), 공조(工造), 공작(工作), 경공장(京工匠), 제색장(諸色匠) 상방(尙方) 내탕(內帑), 잠실(蠶室), 의대(衣襨), 상의사(尙衣司), 상방사(尙房司), 상의국(尙衣局), 장복서(掌服署) 정치행정...
    하위어공제(工製), 공조(工造), 공작(工作), 경공장(京工匠), 제색장(諸色匠) | 동의어상방(尙方) | 관련어내탕(內帑), 잠실(蠶室), 의대(衣襨), 상의사(尙衣司), 상방사(尙房司), 상의국(尙衣局), 장복서(掌服署)
  • 근대신어 : , 상원()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7254 , 상원 사항 英國會議其事 영국 에서 만나 그 일을 회의하고 法電補錄 漢城旬報 5 博文局 1883 11 10 11 중) : 페데...
    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단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 상원()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7255 , 상원 사항 爲貴官爵紳會議之所 은 높고 귀한 관작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회의하는 곳이다 爲貴官爵紳會議之所 은 높고 귀한 관작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회의하는 곳이다
    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단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단행본(1)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자료연구실 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발끝까지 꾸미기 4. 왕실복식을 책임진 기구 (1) , 왕실의 보물창고 (2) 제용감, 또 다른 내탕고 (3) 호조, 왕실의 윤활유

고서·고문서(242)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40_017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奉旨於讀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2130 奉旨於讀書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상의사(尙衣司) 탈복의차 발기(脫服衣差發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왕친어의대계품안(王親御衣襨啓禀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주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 정유년 탈복 의차 발기(脫服衣差發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신문·잡지(150)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會議 1919년 9월6일 평양 평양 평양상업회의소 역원회에서 물가조절의 의미 하에 설립된 구매조합에 대해 영업자...
    대표표제어商議員會議 | 연월일1919년 9월6일 | 지역평양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選擧 1919년 11월25일 대구 대구 대구상업회의소에서 평의원을 투표로 선출하였는데 일본인은 14명이고 조선...
    대표표제어商議員 選擧 | 연월일1919년 11월25일 | 지역대구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京總會 1931년 7월1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가 의원총회를 개최하여 1930년도 결산 및 사업보고 승인의
    대표표제어京商議員總會 | 연월일1931년 7월1일 | 지역서울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朝商新 1935년 6월12일 기타 기타 조선상공회의소 은 이번에 2명을 증원하기로 되어 오는 정기총회에서
    대표표제어朝商新常議員 | 연월일1935년 6월12일 | 지역기타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仁補選 1936년 5월14일 인천 인천 인천상공회의소는 의원 3명의 보결선거를 6월 3일 공회당에서 집행할 예정...
    대표표제어仁商議員補選 | 연월일1936년 5월14일 | 지역인천

기타자료(1)

  • 10.「학생의날」제정에관한건의안(조기 류준 조덕현의원 이용택의원외 24인 발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10.「학생의날」제정에관한건의안(조기 류준 조덕현의원 이용택의원외 24인 발의) 10.「학생의날」제정에관한건의안(조기 류준 조덕현의원 이용택의원외 24인 발의) 교육 문헌
    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1대국회본회의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주제어사전(2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임금의 의복 진상과, 대궐 안 재물과 보물의 간수를 맡아보던 관서. 태조 때 설치되었다. 그 뒤, 1895년(고종 32) 상의사(尙衣司)로 고쳤으며, 1905년에는 상방사(尙方司)로 고쳤다.

  • 의대의복계품단자 / 衣襨衣服啓稟單子 [정치·법제]

    에서 국왕에게 올린 의대, 의복, 계품단자. 국왕 및 세자의 의대, 면복 외 각종 옷감, 왕비의 의대, 법의 외 각종 옷감, 공주, 옹주의 의복, 의빈의 의복, 유모, 보모, 기비의 의복 등의 명칭과 수량을 열서한 단자로, 국왕이 그 물목상에 어필로 직접 존,

  • 공제 / 工製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과 군기시에 소속된 종7품 잡직관직. 이는 장인 기능직으로서 이 계통의 최고위직이었다. 의 정원은 4인이었는데, 능라장·야장·환도장으로 충원하였고, 군기시의 정원은 5인이었는데, 궁인·시인·갑장·야장으로 충원하였다.

  • 다회 / 多繪 [생활/의생활]

    여러 겹으로 합사한 명주실로 짠 끈. 다회는 나무껍질이나 짐승가죽을 찢어 만든 끈을 더 질기고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두 가닥 이상으로 꼬아 쓰던 것에서 발전된 것으로 여겨진다. ≪대전회통≫ 공전(工典)에는 끈을 치는 장인(匠人)인 다회장을 본조(本曹)에 2인,

  • 공조 / 工造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관청소속 장인들에게 주었던 종8품 잡직. 공조에 1인, 교서관·사섬시·조지서에 합쳐 4인, 에 1인, 군기시에 2인, 선공감에 4인을 두었다.